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Scandinavian Stroke Scale과 Motricity Index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영은,노현석,이동혁,양승보,이현중,조승연,박성욱,정우상,문상관,박정미,조기호,고창남,Lee, Young-eun,Jamiyandorj, Budlkham,Noh, Hyeon-seok,Lee, Dong-hyuk,Yang, Seung-bo,Lee, Hyun-joong,Cho, Seung-yeon,Park, Seong-uk,Jung, Woo-sang,Moon, S 대한한방내과학회 201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6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ndinavian Stroke Scale (SSS) and the Motricity Index (MI) in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Methods: We studied 75 inpatients within a month after the onset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July 2012 to November 2013.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SSS and MI by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A significant moderat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SSS and MI in the total patient cohort and in a Fire-heat group, Dampness-phlegm group, Qi deficiency group, and Deficiency syndrome group. A significant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SS and MI in the Excess syndrome group. The Yin deficiency group showed a weak positive linear correla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SS and MI in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could differ depending on pattern identification.

      • SCOPUSKCI등재

        산욕초기 어머니 역할획득을 위한 신생아실 간호사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이영은,박춘화,박금자,김영순,박봉임,Lee Young Eun,Park Chun Hwa,Park Geum Ja,Kim Young Soon,Park Bong Im 한국아동간호학회 199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4 No.2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s crucial toward in recovery from childbirth and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Maternal role attainment is a complex social and cognitive process of stimulus-response accomplished by learning. Helping for maternal role attainment is one of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Based on King's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this study was planned a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nursery room nurse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several variables of personal, interpersonal, and working system of nurses in nursery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 help maternal role attainment of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mother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nursing theo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3 to 28 by questionnaires with 273 nurses in nursery room.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parts : 21 questions for rot performance of nurse. 37 questions for personal system of nurse including 31 questions for role perception of nurse : 65 questions for interpersonal system including 63 questions for job stress of nurses , 18 questions for working system of nurse. The toos to measure role performance and role perception, and job stress of nurs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9612, 0.9058, and 0.9649.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A.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items of role performance was 2.12(SD=0.55) in Likert's 4 points scale. 2.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ole perception(p=0.0001), age (p=0.006), educational background(p=0.002) , and certificate of midwife (p=0.03)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3.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tress (p=0.0001) and numbers of children(p=0.006) amo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system of subjects. 4.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ving opportunities for baby(p=0.03), the degree of flexibility to bring baby to mother's room(p=0.046), the scope of visitor for baby(p=0.016) , the degree of flexibility of visiting for baby (p=0.049) ,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nurse in establishing visiting rules(p=0.017),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rules for breast feeding(p=0.010) ,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education for breast feeding (p=0.009), existence and/or nonexistance of breast feeding room(p=0.013) , concert methods for breast feeding (p=0.003), working place (p=0.0001), and career(p=0.019) among variables of personal system of subjects.

      • KCI등재

        영구대구치(永久大臼齒)의 교합면상(咬合面上)에 나타난 발육구(發育溝)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이영은,Lee, Young-Eun 대한치과기공학회 1989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11 No.1

        The development of the lobe pattern in the human dentition plays a part in the form and function of each individual teeth. In order to determin the morphological categories used to describe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s, the variation of the developmental grooves which separate each lobe in the molars was examined and analysed. The obtained conclusions were as follow. 1. Mos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with more distinct and more developmental grooves than the other molars but in most cases of the third molar, a heart-shaped outline due to poorly developed or abscent distolingual cusp was most frequent and in this case the third molar had the 3 cusps separated by the central developmental groove and the buccal developmental groove. 2. In most cases, the mandibular first molar had the 5-cusp type that the groove patter resembles a Y, the second molar the 4-cusp typ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buccal and lingual developmental grooves meet the central developmental groove at right angle on the occlusal surface and many instances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had the 5-cusp thpe with a+groove pattern which separatess the mesiolingual cusp from the distobuccal cusp and the 4-cusp type with a+groove pattern. 3.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hird molar were most variable in the developmental groove.

      • KCI등재후보

        Bedside Estimation of the Length of Nares-Vocal Cord in Children

        이영은,신터전,김종철,이상훈,장기택,김정욱,김영재,현홍근,한효조,김현정,서광석,Lee, Young-Eun,Shin, Teo-Jeon,Kim, Chong-Chul,Lee, Sang-Hoon,Jang, Ki-Taeg,Kim, Jung-Wook,Kim, Youmg-Jae,Hyun, Hong-Keun,Han, Hyo-Jo,Kim, Hyun-Jeong,Seo, Kw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siology 201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1 No.2

        배경: 협조가 불가능하거나 진정법 하 치과치료가 여의치 않을 경우 전신마취 하 치료를 계획하게 된다. 하지만 전신마취 하 치료시 기관내 삽관이 여의치 않은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와같은 경우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다. 기관지 내시경을 환자의 성문에 근접하게 전진시킬 경우 기관지 내시경 하 시야확보가 용이한 점을 감안 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추정하게 되면 맹목적 비강내 기관내 삽관을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방법: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 치과치료가 예정되어 있는 62명의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변수와 비공 - 성대거리와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소아환자들에 있어 비공 - 성대간 거리는 환아의 신장, 체중, 연령 등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공 - 성대간 거리와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들 중 에서 신장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다음과 같은 회귀식을 구하였다. 비공 - 성대간 거리 = (4.8 + 신장(cm)) ${\times}$ 0.07 고찰: 본 연구에서 구해진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도유지가 어려운 소아의 기도유지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영향요인

        이영은,김미경,최은아,임민숙,Lee, Young Eun,Kim, Mi Kyung,Choi, Eun Ah,Im, Min Su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3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인 실업계(남자, 여자) 2곳, 인문계(남자, 여자) 2곳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229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동년 5월 31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은 성별(t=-3.377, P=0.001), 주관적 건강상태(t=3.334, P=0.001), 주관적 학교생활만족도(t=3.233, P=0.001), 부직업(t=2.393, P=0.018), 호스피스 사전인지경험(t=-7.181, P<0.001), 호스피스, 죽음 관련 교육경험(t=-2.120, P=0.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내 몸에 대한 태도와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호스피스 사전 인지 경험,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 주관적 학교생활 만족도, 성별로 총 설명력은 34.5%였다. 결론: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를 높여줄 수 있는 좋은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c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9 students in four high schools in B city from May 1, 2015 through May 31, 201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ternal review board.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ce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vious recognition of hospice (${\beta}=0.412$, P<0.001), attitude towards death preparation among sub-variables of attitude towards death (${\beta}=-0.244$, P<0.001), subjective school life satisfaction (${\beta}=-0.215$, P<0.001), and sex (${\beta}=0.191$, P<0.001).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s my body after death and that towards death preparation was,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for hospice wa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34.5%. Conclusion: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osp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hospice education program to help them with their attitudes towards death prepar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hospice.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 일개 지역에서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이영은,최은정,박정숙,신성훈,Lee, Young Eun,Choi, Eun Joung,Park, Joung Suk,Shin, Seong Ho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4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하는 의사 84명, 간호사 172명으로 총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4월 5일부터 동년 4월 30말까지 실시되었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목적에 대한 인식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호스피스가 질병으로 더해오는 통증을 완화시켜주고 편안을 도모한다'는 항목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말기 환자는 감정의 변화를 많이 겪는다' 라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은 두 군 다 낮게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통증과 증상관리'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가 간호사보다 지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의사: $6.97{\pm}1.82$, 간호사: $5.68{\pm}1.93$, P<0.001). 죽음에 대한 태도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및 지식의 향상과 죽음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마련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and attitude toward death.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84 physicians and 172 nurses in Bu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2012 to April 30, 2012. Results: Regarding the purpose of HPC, the most popular perception was "To alleviate pain and accommodate comfort" among both physicians and nurses. For the need for HPC, "Terminal patients need a separate ward for emotional fluctuation" the answer chosen by both groups the most. Both groups scored low on knowledge of HPC. For pain and symptom management, physicians scored higher than nurses (physicians: $6.97{\pm}1.82$, nurses: $5.68{\pm}1.93$, P<0.001). Conclusion: Considering the survey results, we suggest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and knowledge of HPC and attitude toward death.

      • KCI등재

        호스피스 간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이영은,최은정,Lee, Young-Eun,Choi, Eun-J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1985년부터 2009년까지 24년 동안 발표된 국내 호스피스 간호 관련 논문 총 183편으로 간호학위논문 62편과 비학위논문으로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21편이었다. 본 분석대상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를 이용하여 호스피스(완화) 간호, 말기(암)환자의 핵심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결과 호스피스 관련 국내 학위논문과 대한간호학회지, 아동간호학회지, 정신간호학회지, 성인간호학회지, 병원간호사회지, 행정간호학회지, 종양간호학회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호스피스 학술지, 호스피스 논집 등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위논문 중 학술지에 게재된 것은 학술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단, 종설과 인터넷으로 원문수집이 불가능한 논문은 제외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간호 관련 논문 수가 급증하였고, 연구설계 유형은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분석대상 논문에서 도출된 주요어는 5개 영역에서 총 74개가 도출되었고, 총 225개의 주요어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시 윤리적 고려는 서면동의가 많았고, IRB를 통과한 연구가 극소수이며, 다학제간 연구 지원금은 점차 증가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말기암환자의 간호문제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조사연구보다는 질적연구 방법의 접근이 많이 필요하고, 연구개념도 삶의 질과 더불어 죽음의 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중재연구에 있어서는 말기암환자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통증완화, 기타 주요 신체간호, 그리고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간호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간호학 연구를 넘어 다학제적 팀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아동호스피스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데, 이에 관한 연구가 더 시행되어야함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trend in studies of hospice care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83 studies related to hospice care which were found at http://www.riss.kr. Results: Of the 183 studies, 62 (33.9%) were for thesis studies for a degree, 121 (66.1%) for academic journals. There were 159 (87.8%) quantitative studies, 18 (8.9%) qualitative studies, and 6 (3.3%) Q-Method studies. The most frequently used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e majority of study participants were terminal cancer patients, patients' family members and health care personnel. The thesis articles were searched by using key words as follows: health, nursing, environment, children's hospice, and othe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f hospice care has increased, and research key words varied. Furthermore, more experimental research is needed on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pain relief, alternative therapies and hospice care for children.

      • KCI등재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의 베이지안 추론

        이영은,박태영,Lee, Youngeun,Park, Taeyoung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1

        Asymmetric jump-diffusion models are effectively used to model the dynamic behavior of asset prices with abrupt asymmetric upward and downward changes. However, the estimation of their extension to the multivariate asymmetric jump-diffusion model has been hampered by the analytically intractable likelihood function.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oblem using a data augmentation method and proposes a new Bayesian method for a multivariate asymmetric Laplace jump-diffusion model. Unlike the previous models, the proposed model is rich enough to incorporate all possible correlated jumps as well as mention individual and common jumps. The proposed model and methodology are illustrated with a simulation study and applied to daily returns for the KOSPI, S&P500, and Nikkei225 indices data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15. 비대칭 점프확산 모형은 자산 가격의 비대칭적 변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변량 모형으로 확장한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은 가능도함수가 닫힌 해로 존재하지 않아 모형의 추론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료 확장 기법을 제안하고 새로운 베이지안 추론 방법을 개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형은 단일 점프와 공통 점프 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조합으로 발생하는 점프를 반영한 확장된 다변량 비대칭 라플라스 점프확산 모형이다. 이러한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붕괴된 깁스 샘플러를 고안한 베이지안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형과 방법을 모의실험 자료 및 2005년 1월 3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관찰된 일별 KOSPI, S&P500, 그리고 Nikkei225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Successful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Ameloblastic Fibroma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ase Report

        이영은,안효정,이수언,김은철,최성철,Lee, Youngeun,Ahn, Hyojung,Lee, Sooeon,Kim, Euncheol,Choi, Sungchul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진성 혼합 치성 종양으로 10~20대의 어린 환자의 하악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치료는 종양부위의 제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양부의 제거는 보존적 방법과 광범위한 제거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아직 논쟁이 되는 사항이며 저자에 따라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재발률과 악성으로의 전이 가능성 때문이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4세 환아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을 적출술과 소파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meloblastic fibroma (AF) is a rare odontogenic ectomesenchymal tumor that is frequently seen in the first two decades of life, and occurs in the mandible. The most proper management of AF has been a recent topic of debate because of its recurrence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This report describes AF in a 4-year-old male, which was a unilocular radiolucency on the maxillary right primary molar area with a scalloped border and corticated margin. The tumor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enucleation and curettage, and the decision was made to preserve the right primary second molar. A biopsy confirmed it as AF. During the 43 months of follow-up, the patient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or malignant transformation. Moreover,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the generation of tooth germ to be a permanent second premolar. This report shows a case of AF in the posterior maxilla of a 4-year-old boy and discusses the conservative therapeutic approach to this tumor. Therefore, the age of the patients should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choosing conservative or radical surgery in a young AF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