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스닥 상장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업의 디자인 활용 인식에 대한 연구

        이연준(주저자) ( Youn Joon Lee ),이연준(교신저자) ( Youn Joon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견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에 대한 인식이 기업 퍼포먼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코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업의 디자인 활용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인식이 기업 디자인실 운영과 기업 성장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코스닥 상장기업 중 654개 제조업기업 181개 서비스업 기업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기업 웹사이트와 공시자료를 통해 기업의 디자인 활용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하였다. 해당 기업의 매출액(2012~2014), 고용인 수, 디자인실 운영 여부에 대한 자료 수집 후, t-test,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교 시 서비스업은 Theme1(디자인 고객중심) 점수화가, 제조업은 Theme 2(디자인의 문화형성) 점수화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디자인실 운영 유무는 서비스업 기업의 디자인실 운영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두 기업 모두 디자인실을 운영하는 비율이 낮아 디자인을 위탁하는 경향이 강하며, 디자인을 하나의 외적 기능으로 인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rspectives on design utilization impact on corporation performance. In detail,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perspectives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corporations listed on KOSDAQ, and how their perspectives’ impact on corporate growth and the operation of design departments. 654 manufacturing corporations and 181 service corporations listed on the KOSDAQ were categorized. Then, content analysis was undertaken after collecting data regarding perspectives on design utilization from corporate websites and disclosure materials. Along with this, information was gathered on total sales (2014~2014), numbers of employees, operation of design department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test, chi square test, logit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d a comparison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corporations, Theme 1 (customer-centred design), scoring in service corporations, and Theme 2 (cultural development for design), scoring in manufacturing corporations, were comparatively higher. Even though service corporations account for a higher proportion of the operation of a design department, corporations in both industries accounted for a low rate of operation for design departments. This implies that they perceive design as an external function.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 디자인을 통한 문화 관광 형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 경동시장을 중심으로

        이영림(Lee, Young Rim),이연준(Lee, Youn Joo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1

        정부지원 육성사업의 일환인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사업은 시설 현대화사업의 예산이 월등하게 높은 비중으로 추진 되었지만 하드웨어적인 시설기반만으로는 전통시장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한계가 있다고 한다. 조사 자료에 의하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전통시장들의 직접적인 활성화 영향이나 매출의 성과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장에 대한 현대화 시설의 지원과 같이 특정시설이나 유통기능 개선만으로 상권의 활성화로 연결되기 어렵다는 결과를 산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적인 개발의 변화가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시장과 주변상권에 대한 기반 인프라를 구축 할 수 있는 커뮤니티 디자인의 활용으로 관계 확장을 한다면 지역사회의 사업 확장으로 지역경제의 활성화까지 기대 해 볼 수 있다. 본론에서는 현재 정부 지원 사업인 문화 관광 형 시장육성사업을 확대하여 전통시장 주변 환경의 역사와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연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고 조사, 연구 하였다. 시장과 지역의 특색을 개발 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과 전문가의 참여는 새로운 관계의 확장으로 이어지며, 지역사회사업의 특성화를 높이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시범적으로 경동시장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소비자 의식조사를 현장에서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커뮤니티 디자인을 통한 경제 환경과 문화 환경의 결합은 전통시장의 활성화와 지역 재생에 활력까지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해 본다. The government-sponsored support project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which is part of the government-funded land project, has been pushed for with an unusually high percentage of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but the hardware infrastructure alone has limited th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market. Traditional markets selected for support or sales performance is assessed to be insufficient, and the result is that improvement in specific facilities or distribution functions alone, such as support of modern facilities for traditional markets, will not be possible. This study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a change in software development would help to strengthen the continuous competitiveness. If we expand our relationship by utilizing a community design that can build an infrastructure for the market and its surrounding businesses, we will look forwar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expanding the business of the community. The main paper explored and researched ways to develop and link the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raditional markets by expanding the market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currently a government-funded project. In order to develop marke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experts leads to the expansion of new relationships, and can enhance the characterization of local company business and maximize the effect. As a pilot, the Gyeongdong Market was selected as the target for the survey and the consumer awareness survey for cultural and tourism was conducted as a field survey. It is hoped that this combination of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s through community design will energize local regeneration.

      • KCI등재

        그래픽디자인 보호를 위한 디자인보호법 문헌연구 - 성립요건과 등록요건을 중심으로 -

        이다현 ( Lee Da Hyun ),이연준 ( Lee Youn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현재 디자인권의 `디자인 정의`가 그래픽디자인의 `디자인 정의`를 포괄하지 못하여 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디자인 전공자의 관점으로 디자인보호법에 의견을 제시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과 판례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그래픽 디자인과 재판적용상의 디자인 정의에 대한 차이를 살피고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래픽디자인의 정의를 구성하는 요소는 지난 5년간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부호화 방법으로 도출 하였다. 총 7개의 요소로, 내용분석에 이용할 그래픽디자인 정의 요소 프레임에 적용하였다. 내용 분석의 대상은 2차원 그래픽디자인과 관련된 총 34건 판결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권의 `디자인 정의`는 그래픽디자인의 ``기능성`과 `전문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그래픽디자인은 적용된 물품에 기능이 한정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정보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보호받아야 한다는 인식과 독립된 하나의 디자인 전문 분야라는 것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ign definition` of the design field does not include the design definition of graphic design. From a design specialist`s perspective, it seeks ways to add opinions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Through the research on literature studies and preced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drawing a conclus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graphic design and `design definition` in terms of application at a trial, as well as proposing what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Firstly, to do so, elements that compose of the definition of graphic design are reasoned out through the coding for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ast five years of graphic design related literatures. Seven elements in total are applied to the frame that defines graphic design is structured. The subject of content analysis is 34 cases related to two dimensional graphic design. Lastly, interviews that deal with experts` views on the content of the study and the outcome of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design definition`` of the design field does not include `functionality` and `professionality.`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awareness needs to be raised: (1) graphic design is not limited to products by which it is applied, and (2) it is one independent professional filed of design.

      • KCI등재

        반려동물 사별에 따른 지속비애 예방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제안

        이해인(Lee, Hae in),김정녕(Kim, Jeong nyeong),이지혜(Lee, Ji hye),문정인(Moon, Jeong in),이연준(Lee, Youn j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4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continues to increase, the need for bereavement preparation, which inevitably comes with pet ownership, has emerg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services to support this ne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ervice that assists pet owners in their proper mourning process through systematic bereavement preparation and prevents the experience of prolonged grief.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ieving process, prolonged grief,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rolonged grief when a pet is lost were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a pet to analyze the stages of grief and identify their main nee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service concepts and core features were derived, proposing four key functionalities: ‘Recording daily life with your pet’, ‘Engaging in interactive activities with your pet’, ‘Recalling memories with your pet’, and ‘Writing a letter to your pet’. The service concept and core functions were validated through feedback from pet owners, confirming the necessity of the service and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ts integration of the pre- and post-grief experiences of pet owners, providing systematic bereavement preparation to facilitate an appropriate mourning process and prevent prolonged grief. Building on the direction of the study to offer a mor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loss and prolonged grief experienced by pet owners after the loss of a pet, we hope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diverse ser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적 메시지 광고에서 모델 이미지 타입이 수용자 성별에 따른 감정이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물학적 성과 사회심리적 성을 조절변수로 -

        전재희 ( Jeon Jae Hee ),이연준 ( Lee Youn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메시지를 활용한 제품 인쇄광고에서 이미지 요소인 모델성별 사진이 수용자 성별에 따라 감정이입과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인쇄광고의 비주얼 이미지 요소 중 수용자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인 모델사진의 성별과 수를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생물학적 성과 사회심리적 성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감정이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면, 인쇄 광고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통해 소비자의 감정이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녀 모델을 각각의 인쇄 광고로 따로 제작하는 것이 광고 효과를 높일 것이다. 또한, 광고의 타겟이 남성일 때 다수의 모델을 등장 시키는 것이 남성 수용자의 감정이입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인쇄광고의 비주얼 이미지요소를 세분화해 측정하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감정을 수량화한 시도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odel image of gender as an image element in the product advertisement with social message has empathy and interaction effect depending on gender of audience. For this study, the gender and the number of models in photographs, two of which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empathy of the audience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numerous visual image elements included in the print advertisement. A survey was also conducted on empathy with sex (defined by biology) and gender (defined by socio-psychological) as the moderating variables. To sum up, it would be effective to create print ads featuring male and female models separate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empathy in consumers via social message. It can be also deduced that the appearance of multiple models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the empathy level in male audi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ttempt to investigate visual image elements of print ads and to quantify consumer`s feelings regarding design.

      • KCI등재

        사용성 향상을 위한 공공 신고앱 긴급신고버튼 분석 - 어포던스 이론 측면에서 -

        사공선 ( Sakong Sun ),이연준 ( Lee Youn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2

        도시화로 사람들이 빠른 삶을 추구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인구는 증가하였다. 정부에서도 안전사고 대처방안으로 다양한 신고 앱을 출시하였으나, 신고버튼의 사용성이 낮아 신속한 신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버튼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긴급신고버튼에 주목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인지하고 누르게 하는 요소를 어포던스 이론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버튼을 구성하는 요소를 인지적, 물리적 어포던스로 분류하고, 각 요소 제작에 중요한 사항들을 선행 논문들을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요 사항들을 정리해 분석틀로 제안하고, 틀을 토대로 7개의 공공신고 앱 긴급신고버튼을 분석하였다. 그 중 '119신고 앱'을 대상으로 UI·UX 전문가 5명의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긴급신고버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버튼 디자인을 개선하였다. 어포던스가 반영된 개선 버튼이 실제 사용성을 향상시키는지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기존 버튼과 개선 버튼의 수행시간과 오류횟수를 측정하고 T-검증을 통해 사용성이 향상됨을 검증하였다. Since people seeking a faster lifestyle and use of smart phones have been increasing, the government has also launched various report apps as a countermeasure for safety accidents. However, most report button's usability is low and this interferes with prompt report.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report button which induces a user's correct action. Focusing on the emergency report button, this study explains which elements help the user quickly recognize and press the button in terms of affordance theory. First, we classify the elements of the button into a cognitive and a physical affordance. And then, we draw out important points of each element through related preceding thesis and established a framework for emergency report button design. We analyzed seven cases of public report app with the framework. Specifically choosing one of them(119 report app), we developed the button design by reflect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through usability test of five UI·UX experts. We measured the execution time and the number of errors for existing button and improved button, and finally verified through T-test for 40 people to prove if the improved button affects actual usability improvement and proved the improvement.

      • KCI등재

        스타트업에서의 디자인 역할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정지혜 ( Chung Ji Hye ),이연준 ( Lee Youn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3

        최근 실리콘밸리에서는 디자이너 출신의 공동 창업자가 속한 스타트업의 성공으로 인해 디자인에 대한 가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많은 스타트업이 생겨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에서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사례와 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의 CEO 및 구성원의 디자인 인식 수준과 이에 따른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스타트업의 디자인 인식 및 활용 활성화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스타트업에서의 디자인 인식 수준과 디자인 활용으로 나누어 설문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스타트업의 CEO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스타트업에서의 디자인 인식 중 디자인 역할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중 혁신에 관한 인식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활용에 경우, CEO의 디자인 마인드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디자인 활용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인식 수준과 활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CEO의 디자인 마인드가 스타트업 전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Curr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value of design due to a success of a startup company of which one of the co-founders used to be a designer.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a level of awareness of design among startup CEOs or employee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design utilization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Furthermore, I suggest possible implications on how to foster and utilize design in startups through investigating what specific elements affect design utilization. As methods of this study, questionnaire was composed in two parts into the design awareness and utilizati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Surveys were carried out targeting startup CEOs and its employee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among a number of elements on startups` awareness there was the highest awareness of design`s roles, while the lowest awareness was on design innovation. In the case of utilization, overall, design was not being practically utilized despite the relatively higher design minds among CEOs. Moreover, it was seen that CEO`s design mind-sets affected his/her whole startup company according to a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a level of design awareness and affecting factors to design utilization.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 한국과 영국의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강경화 ( Kyung-hwa Kang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서비스디자인은 국가와 기업이‘경제의 서비스화’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기 시작하며 짧은 기간 동안 급속도로 성장하였고, 그 활용 범주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서비스화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와 인간 중심적 가치를 고려하는 모습도 사회와 산업 그리고 공공분야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의 실재 현상을 객관적으로 짚어보고 연구하여 미래 전개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 제언하는 부분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록한 뉴스 기사에 나온 서비스디자인 활용의 내용분석을 통해 국내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범주를 파악하고 영국 뉴스 기사와 비교 연구하여 국내 서비스디자인 활용의 확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 선진국으로 평가받고 있는 영국과 국내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의 기사를 내용 분석하고 비교 연구하여 산업과 공공디자인 두 분야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기사 내용의 분석을 위해 국내와 영국의 언론사 순위 상위세 개를 선별하여 국내에서 서비스디자인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10년부터 2016년까지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기사를 조사하였다. 서비스디자인 활용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행 주체와 기사에 실린 활용 사례의 내용을 추출하였고 이와 더불어 뉴스 주제에 따른 사례, 프로세스의 적용, 접근방식, 소개, 계획, 과정의 신설 등, 활용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적 측면에서도 비교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기사에서 나타난 서비스디자인 활용은 공공디자인 분야보다 산업 분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과 교육 부분에서도 빈도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뉴스 내용의 질적 비교 시, 제조업과 관련된 서비스디자인 기사의 경우 국내는 최종 결과물인 제품 자체가 중요하게 설명되고 있지만, 영국은 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의 활용과 그 중요성에 대한 소개가 함께 보도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국내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있어 공공디자인 분야의 하위범주 중 보건, 복지, 사회참여 분야 등의 기사 내용이 영국보다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공공 디자인 분야의 서비스디자인 사례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유형화된 제품의 초점이 아닌 가치와 경험을 만드는 서비스디자인의 확장된 역할과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릴 방안이 함께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Service design has grown rapidly over a short period of time as countries and businesses begi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aking service from the economy', and its utilization categories are also becoming highly diverse. Consideration of user and human-centric value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s also being expressed across society, industry and the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study the actual phenomena in this process of change objectivel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category of domestic service desig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ervice design used in news articles that recorded the fact objectively, and to expand it with a comparison with British news articl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content of articles on the use of service design in the U.K. and Korea considered highly developed countries to explore the use of 'service design' in both industrial and public design areas. For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article,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service design from 2010 to 2016, when the service design started to be activated in Korea and in the United Kingdom. The contents of the service design use article were analyzed to extract the details of the use cases that are published in the report and the details of the application, approach, introduction, plans, and new processes according to the topic of news. Result According to a local article, the utilization of service designs is relatively higher in industry than in public design. Frequency was also measured high in manufacturing and education sectors. In a qualitative comparison of the news content, the Korean articles tend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the final product itself, but the British articles show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the service design in its products. Conclusion Among the sub-categories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articles on health, welfare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relatively more limited in the use of domestic service desig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rvice design case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In addition, in case of considering domestic par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anded role of the service design in making values and experiences, rather than focusing on a product, and how to communicate its u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