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케일녹즙 분말식이가 흰쥐의 혈중 지질,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효과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남영주(Young-Ju Nam),박정화(Jung-Hwa Park),황혜진(Hye-Jin Hwang),이양자(Yang-Cha Lee-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녹즙분말과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8주간 사육한 흰쥐의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녹즙군에서 낮았다(p<0.001).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식이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받아, H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보다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으며(p<0.001), L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다(p<0.05).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즙군에서 높았으며(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과 케일의 상호효과가 나타나 무콜레스테롤군에서만 녹즙에 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HDL/LDL 비율은 콜레스테롤 보충군에서 낮았으며(p<0.05), 녹즙보충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녹즙분말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엽산과 비타민 B₁₂ 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r=0.5632, p< 0.001)이 관찰되었으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혈중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엽산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녹즙보충시 나타나게 되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는, HDL 농도의 증가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이며, 녹즙내 엽산보충에 의한 호모시스테인 농도 변화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₁₂ in rats fed cholesterol (Chol.) or Chol. free diet.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n=40)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control diet group (CO), control diet plus 0.5 wt% Chol. (CC),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KO),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plus 0.5 wt% Chol. (KC) were fed for 8 wks.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examined by amino acid analyzer and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 were measured by competitive radioimmunoassay methods. In various serum lipid profiles, TG level was low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groups (CO, CC) (p<0.001).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HDL-Chol. level was lower (p<0.001) and LDL-Chol. level was higher (p<0.05) than Chol. free diet. HDL-Chol. level was higer (p<0.05) in kale juice powder groups. HDL/LDL ratio was lower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and tended to be high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too. Serum folat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vitamin B₁₂ level (r=0.5632, p<0.001), but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serum folate, vitamin B₁₂ and Chol. levels, respectively. In summary,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have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by increasing the HDL level and decreasing the TG level and have not altered homocysteine level under the sufficient supply of folate and vitamin B complex relating with the homocysteine metabolism.

      • KCI등재

        새우 부산물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평가

        조은혜(Eun Hye Cho),김경묘(Kyung Moe Kim),이양봉(Yang Bong Lee) 한국조리학회 2011 한국조리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offer basic data in order to develop sauces which can satisfy customers who seek special and unique tastes by using extracts from teriyaki sauce made from shrimp remnants. Compared with traditional Eel bone Teriyaki sauce, shrimp remnant teriyaki sauce was better. In the comparison between teriyaki sauces with different amounts of soy sauce, the one made from Korean M soy sauce has sweeter taste and stronger fish flavor than the one made from Japanese G soy sauce while the latter has saltier and more bitter tastes. However, the former was more preferred on the whole.

      • KCI등재

        콩 단백 성분 및 연령이 암컷 흰쥐의 혈장 지질 농도와 인지질 지방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김지영(Ji-Young Kim),안지영(Ji-Young Ahn),박정화(Jung-Wha Park),차명화(Myung-Hwa Cha),이양자(Yang-Cha L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

      • SCOPUSKCI등재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정은주(Eun-Joo Jung),김종필(Jong-Pil Kim),조지은(Ji-Eun Cho),이재우(Jae-Woo Lee),이양봉(Yang-Bong Lee),김우정(Woo-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 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종, acid류 5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Garlic oleoresins were made by extracting with four solvents of methanol, methyl acetate, hexane and acetone from chopped garlic, respectively, and the volatile compounds of each extract were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installed with polar (supelcowax-10™) and nonpolar (HP-5) capillary columns, respectively, and identified by matching mass data of mass selective detector and Kovat's retention index with references. The numbers of th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the garlic oleoresin by polar and nonpolar columns from in garlic oleoresins were 41 and 32, respectively. In polar column, 13 pyrans,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6 furans, 2 alcohols and 2 heterocyc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nonpolar column,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cids, 3 furans and eugenol were identified. The maj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oleoresins were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 The amount of these sulfur-containing compounds isolated from the oleresins were more abundant in polar column than in nonpolar column. The most efficient solvent for extracting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was methanol but the most useful solvent for extracting sulfur-containing compounds was methyl acetate of less polarity.

      • KCI등재

        제어용 직류 전동기의 동특성 해석에 관한 전산기 해법

        이은웅(Eun Ung Lee),이양범(Yang Bum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198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5 No.1

        In this study, a numerical method in the descretized version of the system dynamics is presented by the use of the digital computer. Several alternative methods on the similar subject have been presented already by many authers but most of them pursued the problem in the classical approaches in the complex frequency domain analysis and it reveals certain difficulties in obtaining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d the order of the treating system is high. and so, this recursive nture of the numerical method has shown incompatible merit to the classical method in getting the desired satisfactory solution; in more simple, accurate and rapid way. These models become basis of solving practical dynamic characteristics when the D. C motor is used as an actuator.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