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방 고형 종괴의 출력 도플러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최대 미세혈관수와의 관련성$^1$

        신호,Guk, Sin-Ho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2

        Purpose: To compare the power Doppler ultrasonographic (PDUS) findings of angiogenesis occurring in solid breast with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cases of pathologically proven solid breast lesions (eight benign, 23 maligna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cusing on tumor size (< 3 cm, $\geq$ 3 cm), the amount (none, mild,marked), morphology (none/linear, branching, disordered) and pattern (none/peripheral, central, penetrating), as demonstrated by power Doppler ultrasonography. We compared the PDUS findings with microscopic micro-vessel density (Max-MVD, the number of micro-vessels revealed at pathologic examination after factor - VIII stai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x2-test. Results: Max-MVD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fumor size, but the relation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lid breast lesions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observed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Doppler signals and increased Max-MVD (P < 0.05). Morphologically, branching and disordered vessels were more often seen in malignant lesions,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finding and increased Max-MV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enetrating and central Doppler signals were more frequent in malignant lesions and showed close correlation with increased Max-MVD (P < 0.05). Conclusion: The increased intensity of Doppler signals and the central and penetrating pattern of solid breast lesions seen at power Doppler sonography were closely related with increases in Max-MVD. 목적: 고형 유방 종괴의 출력 도플러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종양의 신생혈관의 정도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방 고형 종괴 총 31예 (악성 23예,양성 8예)의 출력 초음파 소견은 종괴의 크기(<3 cm, $\geq$3 cm), 도플러 신호의 양(없음, 소량, 많음), 모양(선형, 분지형, 불규칙한형), 분포 유형 (변연성, 중심성, 침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신생혈관의 정도는 조직 표본을 Factor VIII으로 특수 염색한 후에 측정한 최대 미세혈관 수(Maximum Micro-Vessel Density; 이하 Max-MVD로 표기함)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초음파 소견이 MVD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x$^2$-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Max-MVD와 종괴 크기와의 관계는 크기가 커질수록 Max-MVD의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도플러 신호 양의 증가와 Max-MVD의 증가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0.05). Max-MVD와 도플러 신호의 모양과의 관계를 보면 악성에서 비교적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분지형이나 불규칙한 모양의 경우 Max-MVD의 증가와 유의적 상관관계가 없었다.Max-MVD와 도플러 신호 분포 유형사이에서는 악성에 특징적인 중심성 및 침투성의 경우 Max-MVD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5). 결론: 유방 고형 종괴의 출력 도플러 소견에서 도플러 신호 양의 증가와 도플러 신호 분포 유형 중 중심성 및 침투성은 Max-MVD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유방암의 고해상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예후인자의 상관성

        이신호,조나리야,정혜경,김승자,차주희,조경수,문우경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2 No.5

        Purpose: We wanted to correlate the kinetic and morphologic MR findings of invasive breast cancer with the classical and molecular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even patients with invasive ductal carcinoma NOS underwent dynamic MR imaging at 1.5 T, and with using the T1-weighted 3D FLASH technique. The morphologic findings (shape, margin, internal enhancement of the mass or the enhancement distribution and the internal enhancement of any non-mass lesion) and the kinetic findings (the initial phase and the delayed phase of the time-signal Intensity curve) were interpreted using a ACR BI-RADSⓡ-MRI lexicon. We correlate MR findings with hist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tumor size, lymph node status and tumor grade) and the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biomarkers (ER, PR, p53, c-erbB-2, EGFR and Ki-67). Un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were then performed. Results: Among the MR findings, a spiculated margin, rim enhancement and washou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ognostic factors. A spiculated margin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established predictors of a good prognosis (a lower histologic and nuclear grade, positive ER and PR) and rim enhancement wa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a higher histologic and nuclear grade, negative ER and PR). Wash out was a independent predictor of Ki-67 activity. Conclusion: Some of the findings of high resolution dynamic MR imaging were associated with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se findings may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cancer. 목적: 침습성 유방암의 동역학적, 형태학적 자기공명영상(MR) 소견과 전통적, 분자생물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침윤성 선관 암종으로 확진된 8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5 T 기종으로, T1강조 삼차원 FLASH(Fast low angle shot) 기법으로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형태학적 소견인 종양 조영증강의 모양, 변연, 내부 조영증강 특성 또는 비종양 조영증강(Non-Mass-Like enhancement) 의 분포, 내부 조영증강 특성 그리고, 동역학적 소견인 시간에 따른 신호강도 변화 곡선(Time-Signal Intensity curve) 의 초기 유형, 지연기 유형을 ACR BIRADS-MRI lexicon(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s - Magnetic Resonance Image)으로 해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소견과 조직병리학적 예후인자인 종양의 크기, 액와림프절 전이의 수와 종양의 핵 분화도, 조직학적 분화도 그리고, 면역조직화학 염색법 표식자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53,c-erbB-2, EGFR, Ki-67를 단변량, 다변량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MR 소견 중 침상변연, 테두리조영증강,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가 예후인자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침상변연은 좋은 예후가 예상되는 인자인 낮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핵 분화도, 양성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테두리조영증강은 나쁜 예후인자인 높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핵 분화도, 음성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관련이 있었다. 조영증강의 빠른 감소는 Ki-67 활성도와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결론: 역동적 고해상 자기공명영상의 일부 형태학적, 동역학적 소견들은 유방암의 예후인자와 상관관계가 있는 바 유방암의 예후 예측인자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3축 제어용 시뮬레이터의 로드 프로파일 재현 소프트웨어 개발

        정상화,이규태,장완식,신호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1 機械技術硏究 Vol.4 No.2

        실제 운동조건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는 다축 제어용 시뮬레이터는 설계나 평가에 있어 대단히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여 준다. 일반적으로 완성차의 경우 설계에서부터 개발, 실험에 이르기까지 시간과 개발과정에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 부품업체에서는 완성차업체의 부품 검사서의 요구에 의해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재현소프트웨어의 미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아자동차의 내구로(belgian road), 대우자동차의 도시로(city road), 고속도로(highway), 자갈로(gravel road)등의 신호를 입력하여 실제 실험을 수행함으로서 로드 프로파일 재현 소프트웨어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험차량의 현가장치와 타이어가 비선형이기 때문에 초기 구동화일에 대한 응답신호는 요구되는 신호와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 오차는 반복 개선작업을 통하여 최소화시키면서 응답신호가 요구신호에 일치하도록 반복작업을 되풀이하였다. Full scale durability test in the laboratory is an essential of any fatigue life evaluation of components or structures of the automotive vehicle. Component test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oday's highly competitive industries where the design to reduce weight and production costs must be balanced with the necessity to avoid expensive service failure. Generally, Hydraulic road simulator is used to carry out the fatigue test and the vibration test. In this paper, the algorithm and software to realize the real road profile are developed. The operation software for simultaneously controlled 3-axial simulator is developed and the input and output data are displayed window based PC controller in the real time. Futhermore, the software to generate the real road profile are developed. The validity of the software are verified by applying the belgian road, the city road the highway, and the gravel road.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 show that the real road profiles are realized well after 10th iteration. .

      • KCI우수등재

        진공포장돈육에 있어서 진공정도에 따른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

        이신호,이무하,송인상 ( S . H . Lee,M . H . Lee,I . S . Song ) 한국축산학회 1986 한국축산학회지 Vol.28 No.1

        Boneless pork chops were vacuum-packaged at the various degrees of vacuum to have 4 different levels (17.6%, 9.8%, 3.1% and 0.4%) of initial residual oxygen in the packages.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21 days at 4℃, changes of reisdual oxygen content, total bacteria count, psychrotrophs count, anaerobes count, lactic acid bacteria count and fluorescent pseudomonads count were investigated.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all treatments showed no difference in both psychrotrophs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However, control gave the highest numbers in total bacteria, anaerobes and fluorescent pseudamauads count. According to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appeared that high vacuum-packaging would be more practical method than the other three in terms of microbiological shelf-life.

      • SCOPUSKCI등재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추출물이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이신호,최우정,임용숙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2

        천연식물(오미자, 부추, 산수유, 후박, 황백, 형개, 향부자)중 일반 가정에서 제조한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성장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오미자, 솔잎이었으며 오미자 추출물 1% 첨가는 35℃에서 김치 유산균의 초기 성장을 뚜렷이 억제한 반면 배양 18시간 이후 억제 효과는 감소하였다. 솔잎 추출물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억제효과는 오미자 추출물에 비해 낮았다. 오미자 알콜 추출물을 김치제조시 1%, 2% 첨가량을 달리하여 10℃에서 숙성시키면서 미생물, 화학적 변화를 검토한 결과 숙성 10일째 대조구의 pH는 4.78, 1%, 2% 오미자 첨가구는 각각 4.63, 4.25로 대조구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뚜렷하게 변화하였으나 오미자 첨가구는 숙성 초기 pH인 4.72, 4.08과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숙성 10일째 대조구에 비해 오미자 첨가구의 산도의 변화도와 환원당 이용율은 낮았으며, 숙성 25일째 각 처리구별 환원당 이용율을 대조구 62%, 오미자 1% 첨가구 48.5% 그리고 오미자 2% 첨가구는 42.6%이었다. 오미자 첨가 김치의 숙성중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전 숙성기간동안 1-2 log cycle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첨가에 의해 김치의 숙성은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 첨가구의 경우 뚜렷히 억제 되었다. 김치 숙성 10일 째 맛, 풍미, 종합적 기호도에 관한 관능검사 결과 오미자 첨가구(1%)는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5% 수준에서 유의성은 인정되었다. Shizandra chinensis(SC) and Pinus regida(P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3 strains(B-5, D-1, A-1)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among eight kinds of plant extracts such as Shizandra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cornus officinalis, Pinus regida, Allium tuberosum, Machilus thunbergii,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loia. The growth of LAB was inhibited apparently in modified MRS broth contianing 1% Schizandra chinensis at 35℃. Pinus regida showed weaker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solated LAB than Shizandra chinensis. pH of SC added kimchi did not change greatly compare with control during 25 days of fermentation. Degree of titratable acidity change and ratio of reducing sugar utilization in control were more higher than in SC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Growth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inhibited about 1 to 2 log_10 cycle by addition of SC extrac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r 10 days at 10℃. Fermentation of kimchi was delayed about 5 to 7 days by addition of 1 or 2% of SC. extract, but sensory quality (fal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C added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