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60 : Free Paper Presentation ; Serum Reactive Oxygen Species Modulator 1 (Romo1) Level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이승현,이은주,민경훈,허규영,이승헌,이승룡,김제형,이상엽,신철,심재정,강경호,인광호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modulator 1 (Romo1) is novel protein which localizes in the outer mitochondrial membrane and induces mitochondrial ROS generation through the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It has been reported to be increased in most cancer cell lines and related with carcinogenesis. However, its serum level in patients with malignancy has not been studied. We investigated the serum Romo1 level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NSCLC (n=40) and healthy population without cancer (n=30), and measured serum Romo1 level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median Romo1 level of NSCLC patients was 301.6 pg/mL (range: 7.2-1389.1)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healthy population (7.14 pg/mL, range: 1.3-38.0) (p<0.001). 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at the optimal cutoff value of 38.8 p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was 88.5% (95% confidence interval [CI]: 69.8-97.6) and 100% (95% CI: 59-100), respectively. Serum Romo1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was not 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lymph node involvement or tumor stage. Conclusions: Serum Romo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NSCLC regardless of cell types or tumor stage. It could be a diagnostic marker for NSCLC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whether it is related with clinical outcomes or also increased in other malignancies.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modulator 1 (Romo1) is novel protein which localizes in the outer mitochondrial membrane and induces mitochondrial ROS generation through the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It has been reported to be increased in most cancer cell lines and related with carcinogenesis. However, its serum level in patients with malignancy has not been studied. We investigated the serum Romo1 level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NSCLC (n=40) and healthy population without cancer (n=30), and measured serum Romo1 level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median Romo1 level of NSCLC patients was 301.6 pg/mL (range: 7.2-1389.1)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healthy population (7.14 pg/mL, range: 1.3-38.0) (p<0.001). 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at the optimal cutoff value of 38.8 p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was 88.5% (95% confidence interval [CI]: 69.8-97.6) and 100% (95% CI: 59-100), respectively. Serum Romo1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was not 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lymph node involvement or tumor stage. Conclusions: Serum Romo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NSCLC regardless of cell types or tumor stage. It could be a diagnostic marker for NSCLC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whether it is related with clinical outcomes or also increased in other malignancies.

      • 신민회 시기 안창호의 구국운동 구상

        이승현 도산학회 2010 도산학연구 Vol.13 No.-

        혁명가 안창호는 한말 꺼져가는 국운을 극적으로 되살려 보려고 필사의 노력을 한 바 있다. 안창호는 당시 상황을 위기의식을 갖고 바라보았으며, 그의 인식은 신민회 발기 취지서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안창호는 대외주권의 훼손에 대하여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당시, 일본이 외교권을 박탈하여 외치를 좌우하고 있는 상황을 위기로 간주한 것이다. 안창호는 대내주권의 훼손에 대해서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당시, 외국인이 차관으로 앉아 실질적으로 내정을 좌우하고 있는 상황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식한 것이다. 안창호는 각종 이권과 영토의 할양이 진행되는 현실을 국권 소멸이 진행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대한제국의 생명이 1905년 에 이미 백척간두의 위기상황에 놓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략을 고민한 것이다. 그는 정치체제를 개혁함으로써 한민족의 국권을 지킬 수 있다고 판단했고 이를 실천하기에 이른다. 그는, 대한제국의 멸망을 막을 수는 없지만, 한민족의 국가주권을 보전해야겠다는 판단아래, “신민회”라는 비밀 정치 결사체를 조직하였다. 신민회를 결성할 즈음에 안창호의 활동을 추적해 보면 그가 구상한 정치 체제가 공화제 수립으로 모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기준으로 보면, 황제의 나라를 전복하고, 공화제 정치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므로, 가히 혁명적인 발상이라 할 수 있다. 지금 기준으로 복원하자면,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를 폐지하고 공산주의 체제를 수립하자는 비유와 유사한 것이다. 안창호는 신민회를 통해, 새나라 새국민 운동을 전개하여, 공화제를 수립하고자 하였고, 나라를 구하는데 실패한 이후에도 좌절하지 않고 국가주권을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의 길로 나서게 된다. 공화제의 수립을 주장했던 안창호는 국권회복의 방법으로 “전쟁을 통한 독립운동”을 제시한 바 있다. 안창호는 신민회를 통해 이상적인 정치체제로 공화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꺼져가는 국운을 되살려보려 하였다. 공화제의 주인이 될 신민을 양성하고, 스스로 실력을 기르기 위해 경제, 교육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국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국권을 상실하자 이를 회복하기 위하여 독립전쟁을 주장하고 준비하여 실천하고자 했던 것이다. 신민회 활동이 어려워진 1910년대 안창호의 독립운동 구상안을 보면 신민회 활동 경험이 바탕이 되었음을 잘 알 수 있다. 그의 독립운동 구상 안이 기초, 진행준비, 완전준비, 완전결과의 단계를 설정하고 있고 세부적인 활동계획을 구상하고 있는데 이 구상의 내용들은 신민회 활동의 경험과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다. 독립운동 구상안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신민회는 기초단계(준비단계)의 중심조직으로 구상한 것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다. 이 글은 먼저, 안창호가 펼쳤던 구국운동의 지향점으로서 공화제를 살펴 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공화제의 주인인 근대적 시민의 양성을 위해 펼쳤던 신민운동 그리고 실력을 기르기 위해 펼쳤던 경제, 교육운동을 정리해 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도산의 구국구상이 공화제로 부터 출발하였음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동복지시설 위탁처분(6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승현 한국소년정책학회 2010 少年保護硏究 Vol.15 No.-

        According to Juvenile Act article 32(1)6, the protective disposition No.6refers child whose delinquency is not deepened but guardian or family is not appropriate to fully protect the child, to a Child Welfare Institution regulated by Chile Welfare Act or other protective facilities. Although the protective disposition No. 6 is one of the institutional treatments, i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dispositions sending the juveniles to a reformatory governed by nation in that No. 6 is based on the private institution. Even though the need to revitalize No.6 is getting bigger resulting from increase of child crime, the rate of disposition of No. 6 is under 3%recently because of lacking facilities. The reason why the No. 6 has not been widely used is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for the No. 6 are divided to two groups: child welfare institutions by Child Welfare Act and juvenile protective facilities by court's order. The division has made constant support of budget and personnel for the facilities impossible. Second, the facilities could not carry out its own purpose and the real function of the facilities has been changed to the accomodations for the poor youth because the recipient of the No.6 is child and there are so many poor children. Third, the institutions for the No.6 assigned to each community are significantly lacking and the personnels are not professional enough. Fourth, the educational programs are not appropriate for the individual recipients since almost all facilities accommodate both juvenile delinquent and normal juvenile. Therefore, the execution of the disposi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which facilities the recipients referred to.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hild welfare facilities by Child Welfare Act should be excluded. Also,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juvenile delinquent such as Department of Justice should appoint certain private facilities so that the facilities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and supervised. Moreover, there should be provisions for systemic support of juvenile delinquent on the Act on the Treatment of Protected Juvenile,etc. Also, the capacity of the facilities should be limited to 20 people and programs should be specialized according to age, sex, the type of delinquency, etc. Finally, whole juvenile system needs to be changed to shorten the required time for the process of the disposition considering 3∼6 months are usually required for the whole process.

      • KCI등재

        PCA 및 변수 중요도를 활용한 냉동컨테이너 고장 탐지 방법론 비교 연구

        이승현,박성호,이승재,이희원,유성열,이강배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frozen container operation data of Starcool provided by H Shipping. Through interviews with H's field experts, only Critical and Fatal Alarms among the four failure alarms were defined as failures, and it was confirmed that using all variables due to the nature of frozen containers resulted in cost in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frozen containers through characteristic importance and PCA techniqu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e select variables based on feature importance through tree series models such as XGBoost and LGBoost, and use PCA to reduce the dimension of the entire variables for each model. The boosting-based XGBoost and LGBoost techniques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reproduction rate by 0.36 and 0.3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esults of supervised learning using all 62 variables. 본 연구는 H해운사에서 제공받은 Starcool사의 실제 냉동 컨테이너 운영데이터를 분석하였다. H사의 현장 전문가와 인터뷰를 통해 4가지 고장 알람 중 Critical 및 Fatal Alarm만 고장으로 정의하였고, 냉동 컨테이너 특성상 모든 변수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을 초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 중요도 및 PCA 기법을 통한 냉동 컨테이너 고장 탐지 방법을 제시한다.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XGBoost, LGBoost 등과 같은 트리계열 모델을 통해 변수 중요도(Feature Importance)를 기반으로 변수 선택(Feature selcetion)을 하고 선택되지 않은 변수는 PCA를 사용하여 전체 변수의 차원을 축소시켜 각 모델별로 지도학습을 수행한다. 부스팅 기반의 XGBoost, LGBoost 기법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결과가 62개의 모든 변수를 사용한 지도 학습의 결과보다 재현율(Recall)이 각각 0.36, 0.39씩 향상되는 되는 결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