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여성 노인에서 출산력과 고관절 골절 발생간의 관련성 : 코호트 연구

        이승미,김윤이,윤경은,박병주,Lee, Seung-Mi,Kim, Yoon-I,Youn, Koung-Eun,Park, Byung-Joo 대한예방의학회 2002 예방의학회지 Vol.35 No.4

        Objectives : The reproductive history of women has been suggested to have a possible influence on the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reproductive history and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wome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drawn from women members of the Korean Elderly Pharmacoepidemiologic Cohort (KEPEC), aged 65 years or over, whose reproductive histories were available, and who were beneficiaries of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KMIC) in 1993 and lived in Busan city, Korea. The information on reproductive histories, and possible confounders, were collected from mailed questionnaires. Potential hip fracture cases were collected from the claims data obtained between 1993 and 1998, with a hospital survey conducted to confirm the final diagnoses. Rate ratio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calculated using a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Following up 5,215 women for 6 years, 51 cases were confirmed with hip fractures. When adjusted for age, weight and physical activity, the rate ratio of hip fractures in women who had given birth three or more times was 0.56 (95% CI: 0.25-1.25), compared with those who had given birth two or less times. When adjusted for age, number of births, weight and physical activity, the rate ratio in women who first gave birth when younger than 22 years was 0.60 (95% CI: 0.34-1.08) compared with those who had giving birth at 22 years or older.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se findings, an early age when first giving birth might decrease the risk of hip fractures in elderly Korean women.

      • KCI등재

        신개발지 일반주거지역의 용도쇠퇴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 둔산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

        이승미,강인호,Lee, Seung-Mi,Kang, In-Ho 한국주거학회 200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0 No.2

        In general, the decay of the residential district has been considered a phenomenon of old towns. But now it has become a problem of new development areas too, which have been a cause of the decay of old tow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cay of the residential district in the new development area. The survey site was Dunsan, a town-intow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even in the new development area, a high level of vacancy ratio was evident. ; 2) among the buildings above ground, 1st floor showed the highest vacancy ratio, which means the 1st floor was allotted to too many commercial facilities relative to the buying power size in this district. ; 3) there were many conversions in response to the decay of the district, from residential to commercial, and commercial to residential. ; and 4) the allocation of each type of conversion showed a spatial pattern.

      • KCI등재

        교육과정 이수 기간의 적정화 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 수준 초·중등 학제의 적합성 탐색 연구

        이승미(Lee Seung-M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 이수 기간의 적정화 방안을 마련을 위해 국가 수준의 초‧중등 학제의 적합성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50개국의 학제를 비교‧분석하였고,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 장학사, 학부모,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 50개국의 초‧중등 교육과정 이수 기간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초‧중등 교육의 총 이수 기간, 초‧중‧고등학교의 학교급별 교육 연한, 초등학교 취학 연령이 국외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델파이조사 및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학제가 학제의 적합성 판단 준거에 근거할 때 대체로 적합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학제 자체의 변화보다는 운영의 경직성 해소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중등 학제의 개선 방향으로 학제의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급별 교육과정 이수 기준을 명료화하고 그에 근거하여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의 확보 방향, 인간 발달 및 사회체제에의 적합성의 확보 방향, 국제적 통용가능성 및 미래지향성의 확보 방향, 연계성과 유연성의 확보 방향, 융통성과 포용성의 확보 방향, 효율성의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tional leve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ystem as a means to prepa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completion period.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delphi investigation, survey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comparing with the foreign school system, the Korea education system was applied generally to other countries. Moreover, Delphi investigation a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school system was inappropriate based on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system, and in order to improve it,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rigidity of operation rather than change of the school system itself. Conclusion: This paper underlined three suggestions, first, the standards for the comple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clarifi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school system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system for developing quality of public education. Second, as a plan for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securement plans, such as in equality and excellence of education field, the appropriateness for human development and social system field, the international applicability and future orientation field, the connection and flexibility field, the flexibility and inclusion field, and the efficiency field. Lastly, the standard of comple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solving the rigidity of the school system in Korea and recognizing diversity, and furthermore, as a standard for providing suffici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public education.

      • SCOPUSKCI등재

        페닐프로판올아민(PPA)과 출혈성 뇌졸중의 연관성에 관한 해외연구

        이승미(Seung-Mi Lee),박병주(Byung-Woo Yoon),윤병우(Byung-Joo Park) 한국역학회 2004 Epidemiology and Health Vol.26 No.2

        Objectives: Phenylpropanolamine (PPA) had been used widely as cold remedies or appetite suppressants. However, products containing PPA were withdrawn in sequence in the US, Japan, and Korea due to the increased risk of hemorrhagic strok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safety issues related with the PPA use and hemorrhagic stroke in view of pharmacoepictemiology and pharmacovigilance. Methods and materials: Researches conducted for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PA use and hemorrhagic stroke in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which involved case reports, case series, case-control studies, and cohort studies. Results: In terms of pharmacologic and clinical features, PPA may increase the risk of hemorrhagic stroke through increased blood pressure, heart rate, or vasculiti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PA use and hemorrhagic stroke among young women was suggested by case reports from spontaneous adverse events reporting systems or medical journals. The cohort study, using the large prescription database in the US and published in 1984, failed to reveal the association in the population aged below 65. The case-control study conducted as the Yale Hemorrhagic Stroke Project, published in 2000, was the first study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PA as appetite suppressants and hemorrhagic stroke among women ages 18-49 years by well-designed analytic epidemiological research. It led to withdrawal of all products containing PPA in the US and many other countries since 2000.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PPA and cerebral hemorrhage could not be confirmed by the case-control study conducted in Mexico due to inappropriate recruitment of control group. Conclusions : During several years case rep0l1s have suggested that hemorrhagic stroke could be induced by PPA, and the Yale Hemorrhagic Stroke Project revealed the association by case-control study and provided a useful model for pharmacovigilance. Nevertheless, their finding could not be applied to other population such as elderly women and male population. And they could not provide any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PA and stroke when PPA was used as cold remedy taken daily dose below 100mg.

      • KCI등재

        독일 헤센 주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편성 사례 연구

        이승미 ( Seung Mi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1

        본 논문에서는 독일 헤센 주의 교육과정 개정의 사례를 통하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 편성 및 구현 방법을 탐구하고자, 문헌 연구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헤센 주에서는 국제 학업 성취도 시험의 저조한 성적을 해소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통 역량, 교과 역량, 교과의 기본 개념 및 내용 영역으로 구성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학교에서 교과 역량과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비로소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수업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헤센 주의사례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한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정의 목적을 명확히 단순화 시켜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 및 교과 내에서의 학교 급간의 분절 문제가 해소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현 방법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rposes, design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the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Hessen.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he literature study and interview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ese. First, Hessen mad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overcome the low result of PISA and TIM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he basic structures of Hessen`s new curriculum are composed of common competencies, subject-competencies, the basic concepts and content-areas of the subject, Third, Hessen`s curriculum can be realized in the classroom, when the school-based-curriculum is made on the basis of the basic concepts and content-area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make the aims of curriculum revision definite, unravel the conflict between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and make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main structure of it.

      • KCI등재

        남아시아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이승미(Lee, Seung-mi),박소라(Park, So-ra),최보영(Choi, Bo-young)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아시아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남아시아 유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지각된 차별감, 삶의 질, 우울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남아시아 유학생의 우울이 지각된 차별감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은 지각된 차별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남아시아 유학생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felt by South Asi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erceived quality of life they enjoy. For this purpose, survey responses are gathered in May and June 2019, and 211 usable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discriminati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performing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our research. Depression i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 of current research can be useful in finding ways to improve South Asian college students’ quality of life. Also, suggestions and topics for further studie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법규의 관련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관련 교육법규를 중심으로

        이승미(Lee, Seung-Mi),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7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와 관련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관련 교육 법규의 규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더불어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가 교육과정의 구성 영역별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법규의 윤리적․규범적 성격, 수단적·기술적 성격, 조장적·지원적 성격을 갖추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서 국가 교육과정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 구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교 급별 교육목표, 학습윤리의 확립에 관한 내용, 부진아 교육에 대한 규정 등이 교육법규의 규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에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권과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과 관련하여 변화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을 교육현장에 구현하기 위한 직접적인 규정 등이 미흡하고, 초·중등학교의 교과를 전반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교육법규와 특정 교과 및 교육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교육법규가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충돌될 여지가 있다는 점 등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교육법규가 학교교육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구현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교육과정이 교육법규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법규의 규정 방안과 더불어 교육법규의 규정을 국가 교육과정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legitimacy and to seek the legal realization of 2009 National Curriculum. To fulfill this, this study reorganizes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component areas of curriculum, and examines the roles of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line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raits of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s a result, 2009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reflect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chool levels, moral principles in learning, the regulations about the retarded, and so on. And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do not regulate the right of school's role in curricular decision, and it is possible to come into confliction among the subject matters' interest in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To make adequate connections between them, I suggest the follow-up research which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 the light of curriculum, to make the desirable ways to revise them, and to make the appropriate methods to realize the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to the curriculum.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정 총론 개선 방향

        이승미 ( Seung Mi Lee ),김상돈 ( Sang Don Kim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3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여러 민족, 문화가 함께 어울려 사는 다인종,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면서 함께 사는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각 나라마다 중요한 사회적 요구로 대두되고 있는 한 편, 세계 각처에서 더 나은 배움과 삶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세계에서 통용되는 교육 수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으로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정책, 국가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을 갖춘 인간상의 성립, 세계화의 층위를 고려한 교육내용 및 조직 구현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으며,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방안을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의 총론 편제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통하여 세계화 시대의 교육과정 총론 개선의 단초를 제시하였다. 첫째, 총론의 교육 목표에서 국가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의 균형있는 진술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편성 및 시간 배당에서 세계화의 다양한 층위가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나 교과외 활동에서 교육내용의 세계화와 교육의 범위, 분량, 수준의 세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structuring of national curricular frameworks and standards for school curricula preparing for the global era which has changed the phases national politics and economics and also persona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ree parts: Fir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 for global era has to be based on the sound nationalism, friendly multiculturalism and leading globalism, because the global era, which we go through currently, has various aspects of globalism such as nationalism, reg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Second, school curriculum has to satisfy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1) Educational policies has to be built on the core need of curriculum not on the rough discourse of politics or economics. 2) The aim of global education is to educate the Koreans cherished with global citizenship as well as Korean citizenship. 3)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various levels of globalism;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and global level. Third, general guidelin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has to be reorganized and filtered through on the globalism which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hree conditions. In particular three factors of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and standards such as the aims of school curriculum, the formation and time table of subject matters, and the contents, and scope, quantity, and academic standard of subject matters, need to be restructured in the global perspective.

      • KCI등재

        의약품 정보 제공 용어의 이해도 평가: 당뇨 및 천식 처방약과 안전상비약을 중심으로

        이승미 ( Seung-mi Lee ),성종미 ( Jong-mi Seong ),송종화 ( Jong-hwa Song ),서동철 ( Dong-churl Suh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의약품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약안내문과 의약품 포장에 다빈도로 포함된 단어가 일반인 수준에서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응답자의 기본정보와 단어의 이해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단면적 연구로 설계하였고, 유의할당표본추출 방식을 이용하여 20세 이상 69세 이하의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건강보험표본자료에서 당뇨병과 천식에 자주 처방되는 의약품을 추출한 후 복약안내문에서 다빈도로 사용하는 단어 100개를 선별한 세트와 안전상 비약 포장과 설명서에 제시된 다빈도 단어 100개를 선별한 세트에 대하여 4점의 리커트 척도로 각각의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의약품의 제형을 의미하는 단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대상자를 조사기관에 초청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 이해력이 낮은 단어(3점미만)는 처방의약품의 복약안내문에 포함된 단어 중 7%, 안전상비약에 포함된 단어 중24%를 차지하였다. 제형에 대한 단어의 이해정도를 조사하였을 때, 투여경로에 대한 오답은 트로키제(44.6%)와 서방정(25.6%)이 많았고 복용방법에 대한 오답은 박칼정(73.1%)과 트로키제(70.2%)에서 많았다. 결론 : 의약품 정보에 대한 단어 중에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투약오류를 줄이고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환자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고려하여 의약품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개선하여야 한다.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the terms that are frequently included in medication instructions and patient packaging inserts/labels, which provide drug-related inform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designed to simultaneously measure both the basic information of responden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erms. Using purposive quota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5 non-health professionals aged between 20 and 69 years, living in Seoul. Drugs that are often prescribed for diabetes and asthma were extracted from health insurance sample data. Then the understanding of medical instructions was investigated via a four-point Likert scale regarding a selected set of 100 words frequently used in medication instructions and a selected set of 100 words provided on the packaging and leaflets of emergency household drugs. An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participants accurately understood words indicating the preparations of drugs was carried out. Data were collected by inviting participants to the study setting and asking them to complete a self-report survey. Results: Poorly understood words (lower than 3 points) accounted for 7% of words included in the medication instructions of prescription drugs and 24% of words included in emergency household drug instructions. Upon investigating the extent of understanding of words for drug preparations, many incorrect answers were found for “troche” (44.6%) and “slow-release tablet” (25.6%) among the routes of administration and for “buccal tablet” (73.1%) and “troche” (70.2%) among the administration methods. Conclusion: In the vocabulary for drug information, many words are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o reduce medication errors and use drugs safely, drug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for easy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 patients` health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