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예비교사가 경험하는 정서의 특성과 역할 탐색

        이순아(SoonAh Lee),김현진(Hyunjin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첫 교생 실습에서 경험하는 정서의 원천 및 특성을 밝히고 그 정서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남부 T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소속된 32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교생실습 보고서와 기말설문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매우 다양한 긍정 혹은 부정 정서를 경험하였고 한 사건 안에서 두 가지 이상의 정서를 복합적으로 드러내며 급격한 정서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둘째, 예비교사의 정서적 경험은 학교현장에서의 주요 상호작용 대상인 아동과 현장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비롯되었는데,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경험하는 정서는 예비교사들이 가진 기존의 학생에 대한 기대와 교육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과 관련되었다. 한편 현장지도교사와의 관계에 있어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상하관계로 인식하였고, 그에 따른 압박감과 불안이나 긴장감 등의 부정 정서를 많이 보고했는데, 이는 그들의 부족한 현장경험과 교사로서의 낮은 자기효능감과도 연결되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정서는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 인지적 지각 및 해석과 행동반응 뿐만 아니라 미래교사로서의 자신의 이미지 형성과 미래행동의 결단에까지 역동적으로 관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가 되기 위한 예비교사의 배움과 성장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이 중요하며, 교사양성 교육에서 일반 학습자나 경력교사와 구별되는 예비교사의 정서적 경험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ypes and sources of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their first inter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32 American students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prepared students for Pre-K to 4<SUP>th</SUP> grade teaching certification. Data sources included 96 reflective journals describing critical incidents during their internship and students’ responses on the open-ended survey that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Data analysis took an induc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methods proposed by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interaction with their pupil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se emotional experiences were influenced b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students and by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Ts. In line wit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oles of emotions in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played an active role in triggering disciplinary or teaching actions(as well as future actions) and also reflected their unstable identities as future teac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are essential parts of learning to teach and developing their teacher identities. Insights into emotions and emotional chang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are important in order to provide better support they need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생애목표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불안 수준과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이순아(Lee, SoonAh),김현진(Kim, Hy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생애목표와 단위수업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불안과 자기주도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지역 6개의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일부터 19일까지 생애목 표, 불안, 자기주도성 및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생애목표는 수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외재적 생애목표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생애목표는 자기주도성에 정적 영향을,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재적 목표는 자기주도성에 부적 영향을,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과 자기주도성은 생애목표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를 보였는데, 생애목표 내용에 따라 차별적인 구조관계를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표 내용이 현재 단위수업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반응과 학습 주도성 및 수업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goals on their cours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cour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We analyzed the data of 578 students(male=136 and female=442), which were extracted from six universities in five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This results indicated that intrinsic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urse satisfaction, whereas extrinsic goals had no direct effect on course satisfaction. Second, intrinsic goal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ness and negative effects on anxiety, whereas extrinsic goals showed the opposite resul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varied with the contents of life goals. In particular, there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separat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ul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individu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elping university students develop intrinsic life goals in order to promot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ir courses and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그림책 관련 초등교육 연구 동향 및 그림책 활용 양상 연구

        이순아 ( Lee Soonah ),임성만 ( Lim Sungm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은 학년에 상관없이 널리 활용되고 있고 그림책 관련 연구들이 2000년대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초등교육을 다룬 국내 그림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종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유·초 연계교육과 독서교육이 강조된 2015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에서 그림책이 어떻게 접근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그림책 활용 양상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초등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 교육현장과 관련된 그림책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99편을 7가지 대범주와 43개의 코드로 구성된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리뷰방식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난 20여년간 초등교육에서 국내 그림책 연구들은 꾸준하게 명맥을 유지하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유아교육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연구대상이 초등 전학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그림책은 학년 구분 없이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교육매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일반 수업활동 자료 및 매체이자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는 상담 및 치료 도구로서 활용 측면이 확대되었다. 넷째, 언어 및 문학교육에서 그림책의 활용도가 높았고, 교육과정 연계성을 실제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초등현장에서 서사그림책 위주 활용 경향성이 높았으며, 교수·학습적 자료 유용성과 이야기 주제적합성 측면의 접근과 활용이 두드러졌다. 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장르의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그림책이 가진 다표상성과 상호작용성에 주목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사회 및 과학교과 영역으로 확대·적용하고 창의력, 상상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미래역량 발달을 위한 그림책의 초등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studies and explore how to use picture books more effectively in elementary teaching. We analyzed 9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9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using narrative review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types, approaches to picture books, picture book genres, developmental are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nection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Regar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first, the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increased for the past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is still not abundant compar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across all grades, which meant that picture books would be helpful educational media. Third,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as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and as counseling and healing tools for help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th, picture books’ utility tended to be higher in particular, in the language education areas such as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nd less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Lastly, story picture books tended to be the most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Th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ory topics or specific characteristics as language learning materials such as easy vocabulary, simple sentences, or repetitive expressions. To expand practical uses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teaching contexts, the approach to picture books focused on their multimodality and intertextuality will be needed. Presenting foreign teaching cases, we suggest that picture books should be used in more various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history, or science. They would also be useful to increase elementary student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