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참여가 공적권위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숙종 ( Sookjong Lee ),유민이 ( Minyi Yo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정관리연구 Vol.8 No.1

        문화는 한 세대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같은 존재로, 사회구성원들은 의도적·비의도적으로 문화를 학습하고 전수한다. 따라서 시민들의 사회 및 국가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 문화는 중요한 영향변수이다. 그럼에도 문화의 효과는 측정의 어려움 뿐 아니라 정의의 모호성과 같은 문제로 많은 연구에서 소홀히 여겨졌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여 사회참여와 공적권위수용성의 관계의 정도가 개인의 문화적 성향, 개인이 속한 사회문화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0 국가정체성 여론조사>로 공적권위수용성에 대한 사회참여의 영향, 개인성향·사회문화의 영향, 사회참여와 문화의 조절효과를 순차적으로 위계적 조절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참여 중에서도 이차참여가 높은 사람은 공적권위를 더욱 수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개인이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사회문화적 환경이 집단주의적이고 수직주의적일수록 공적권위수용성이 높았다. 문화의 조절효과 역시 검증되었다. 이차참여 활발한 개인이 집단주의적 성향을 가지면 공적권위수용성이 낮아지는 한편, 수직주의적 문화상황에 놓이면 공적권위에 대한 수용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가 많을수록 공적권위수용성이 높아짐을 발견함으로서 공적권위에 대한 불응에 따른 사회적 고비용을 해결하려면 시민의 사회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화적 특성이 공적권위수용성과 같은 정치적 태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ulture as shared norms i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learned by people and transmitted to next generation. Accordingly, culture is influential in forming people`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ir society and nation. Nevertheless, the study of cultural influence on political attitudes has been neglected due to its definitional ambiguity and measurement difficulty. This study tries to respond to this gap by analyzing people`s individual and collective cultural orientations that affect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compliance to public authority. Using the National Identity Survey Data of East Asia Institute, we ra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xamining the causal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ultural orientations upon people`s acceptance of public authority, and subsequently their moderating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 Our results show that people tend to accept public authority the more they participate in civic associations, the more they have collectivist values, and the more they engage in group oriented and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factors are valida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cially active people tend to accept public authority less when they hold collectivist individual values. But, they confirm to public authority more when they are put into hierarchical social situ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creasing people`s social participation is desirable for reducing high transaction costs deriving from noncompliance to public authority.

      • KCI등재

        < 기획특집 > 국정관리연구 10주년 기획: 지속 가능한 사회와 국정관리 : 한국의 종교적 신앙 기반 NGO(FBO)에 관한 탐색적 연구 -종교 유형별 현황분석과 조직 유형화 논의를 중심으로

        이숙종 ( Sookjong Lee ),이대웅 ( Daewoong Lee ),권기헌 ( Giheon Kwon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최근의 국제사회에서 주목하는 ``신앙에 기반한 조직(Faith-Based Organization, FBO)``에 대한 한국 연구의 상대적 부족에 문제의식을 지니고 시작하였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종교적 신앙 기반 NGO가 차지하는 양적·질적 측면의 영향력에 비추어 봤을 때, 이는 학술적·정책적으로 반드시 필요시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종교적 신앙 기반 NGO에 있어 자료 조사를 통해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Ronald J. Sider & Heidi Rolland Unruh(2004)의 조직 프레임에 근거한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주요 종교적 신앙 기반 NGO의 조직 특성·프로그램/프로젝트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황 분석 결과, 한국의 비영리법인 12,514개 가운데 FBO는 312개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기독교 기반 FBO가 229개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한국의 FBO는 특히, 사회서비스 활동(193개)에 다수 집중하고 있으며, 이어서 법, 옹호, 정치, 교육, 국제, 환경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분석 결과, 조직적 특성 측면에서 INGO로써 한국 월드비전은 신앙중심형·신앙동반형 사이로 나타났으며, 국내 자생단체인 굿네이버스는 신앙동반형·신앙배경형으로 도출되었다. 한국 세이브더칠드런은 비종교 기반 단체로써 세속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한국의 기독교 기반 FBO의 주요한 두 단체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앙이 조직 운영에 주요하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앙적 헌신성으로 인한 조직적 일체감과 교회 등 관련기관과의 협력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하여 재정의 안정적 확보 등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프로그램/프로젝트의 측면에서는 사업 운영에서의 갈등과 사회적 비판으로 인해 비교적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프로그램/프로젝트 특성은 한국 월드비전과 굿네이버스 모두 신앙동반형·신앙배경형 사이로 분석되었다. 전술한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종교적 신앙 기반 NGO의 학술적·정책적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Faith-Based Organization(FBO)`` has attracted a fair amount of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In Korea, FBOs have had considerable impacts on society. Curiously, despite the rise of social influence of FBOs, few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the research according FBOs of Korea. Thus,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explore th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FBOs in Korea, and attempt to make a classification of Korea`s FBOs. For this classification,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y on Korea`s FBO, employing an organization frame of Ronald J. Sider & Heidi Rolland Unruh.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irstly, in Korea, there is the total of 312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largest of FBOs is the Christian religion. Secondly, the result from case study shows that the Korea World Vision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GOs is at between faith-centered and faith-affiliated in terms of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But the Good Neighbors is at between faith-affiliated and faith-background and the Korea Save the Children is at Secular. Therefore ``faith`` is considerable influence on operating of the organization in FBOs, especially based on Christian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Korea World Vision and Good Neighbors are at between faith-affiliated and faith-background. This research suggests an implication about development direction of academic and policy of FBOs in Korea.

      • KCI등재

        시민활동가의 정치참여에 대한 유권자인식 영향요인 분석

        한성민 ( Seongmin Han ),이숙종 ( Sookjong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권자들의 시민활동가의 정치참여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대한 유권자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야당성향으로서 시민단체에 가입하였거나 가입할 의사가 있는 여성의 경우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매우 높았다. 여당성향 혹은 중도성향이면서 평화적 시위에 참여했거나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경우도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반대로 여당성향 혹은 중도성향이면서 평화적시위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경우 긍정적 인식은 절반정도에 그쳤다. 야당성향으로서 정당에 대해 매우 불만족 할 경우도 긍정적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세웠던 가설 가운데서는 대통령신뢰로 측정된 정부신뢰는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고, 예상대로 정치참여가 활발할수록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을 지지했다. 반면에 가설과는 달리 국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입을 지지했다. 시민활동가의 국회진출은 시민사회가 국회를 비판하는 대안세력으로 남기 보다는 이들과 협력하여 책무성과 대응성을 높여 제도권 정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때 더 가능하다는 시사점을 얻게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Korean voters` perceptions on for citizen activists becoming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2012 Survey data, overall perceptions were favorable. Women, who supported the opposition parties during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nd had the intention to become a member of a civil society organization, tended to support the citizen activists` entry to the Naional Assembly. Voters, who supported the ruling party or had participated or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peaceful protest, also showed the favorable attitude. On the contrary, only half of voters who supported the ruling party or did have no specific party to support and had no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eaceful protest, remain to support citizen activists becoming their representative. Opposition party supporters unsatisfied with political parties were also less favorable. Among the hypothesized factors that can affect voters` perceptions, government trust measured through the trust in President was irrelevant. As expected, voter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favorable attitude. Against our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the more voters were satisfied with the National Assembly the more they supported citizen activists` entry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finding suggests tha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re better to collaborate with the Assembly,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and only monitoring its performance, if they want their activists become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유희정 ( Hijeong Yu ),이숙종 ( Sookjo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6 한국사회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수준을 측정하고, 갈등유형 별로 원인 및 관리에 대한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다수의 시민들이 사회갈등 수준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유형별로는 계층ㆍ계급갈등과 이념갈등을 공공 및 지역갈등 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둘째, 연령, 거주 지역, 직업상의 이유로 갈등쟁점에 노출될 확률이 높을수록 사회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한국사회의 전반적 갈등수준을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에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기능 및 해결의 관리방식에 대한 인식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계층ㆍ계급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에서 사회갈등의 외부적 원인과 순기능에 대해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해결의 관리방식 중에서 법원판결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공 및 지역갈등 유형의 경우 갈등수준에 따라 사회갈등의 내부적 원인과 갈등의 역기능 정도를 다르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념갈등 수준별로는 사회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과 갈등기능의 인식차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갈등유형별 원인이 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구조적 접근을 통해 명확히 규명되고, 사회갈등의 건설적 전개를 위한 관리 방식이 다양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measures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of conflict types. On average, the level of social conflicts citizens perceive is above 3 on the 5-point Likert scale and the levels of public and regional conflicts are lower than other types. Citizens are often exposed to conflict issues regarding socioeconomic status consider social conflicts as much more serious problem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in terms of social stratification, public, regional, and ideological conflict. These results show, to understand causes of conflict, it is helpful to consider interaction attributes among stakeholders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In addition, our findings imply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the strategic managements by conflict types.

      • KCI등재

        사회자본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사회공정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욱(Donguk Kim),홍상우(Sangwoo Hong),이숙종(Sookjong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연구 Vol.34 No.1

        Trust in government has declined gradually in the Republic of Korea in recent times. For this reason, many scholars have focused on social capital to explain this situation. However, many studies reveal that social capital has an uneven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This unevenness suggests the existence of some mediating variables between social capital and trust in government. We postulated that the social justice perceptions of people could play such a role, as many people regard social justice as essential in today’s politics. Our analysis finds that, first, among the social capital variables, social trust had only a direct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Second, social trust,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ense of local community influenced social justice perception, which is a mediator variable. Third, social capital (social trust, social participation, and a sense of local commun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through social justice. Based on our research, we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people need to believe that justice prevails if social capital boosts trust in govern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needs to nurture a just social system, guaranteeing fairer social opportunities and distributional benefits.

      • KCI등재

        사회교환이론을 통한 공공기관 상사신뢰의 영향력 탐색: 개인-조직 적합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화연 ( <sub>h</sub>hwayeon Kim ),오현규 ( Hyungyu Oh ),이숙종 ( Sookjong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2015년도에 실시된 『공공부문 기업가 정신에 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상사신뢰, 개인-조직 적합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높은 상사신뢰는 개인-조직 적합성에, 그리고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 중에 규범적 몰입에 직접적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높은 개인-조직 적합성은 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몰입 모두에게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조직 적합성은 상사신뢰와 조직몰입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공공기관 내에 발생하는 관리적 현상들을 해석하고, 다양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rawing upon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Starting from a premise that positive exchange is a key antecedent condition for a trustful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plores how and to what extent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 affect person-organization fit and subsequently the thre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Employing the 2015 Public Sector Entrepreneurship Survey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determine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the employees are prone to trust their supervisor, the higher person-organization fit and normative commitment will be. Also, this study reveals that person-organization fit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Considering the context of Korean public sector organization, implications for public management are elaborated in the concluding section where the study`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