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매개의 관점에서 본 백남준의 TV 작업

        이수연(Sooyoun Lee) 현대미술사학회 2014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6

        Nam June Paik, an early pioneer of television and video art, drew the new media into the artistic methodology of modern art through the strategy of remediation. In his hands the new technological medium of the television was used to remediate the exist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older media influenced not only the content of the new medium but its evolution as well. Paik applied the medium of television to older art and ways of life, and used them as a springboard for new possibilities. Television became part of the challenge of modern music to traditional Western music through its use in remediating musical instruments like the piano, while the Fluxus intermedia method of mixed senses and interactivity set the direction for the form and substance of experimental television art. Fluxus concepts and the tradition of painting also led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synthesizer, along with the available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levision industry. After Paik’s television media experiments of the 1960s and 70s, the medium has maintained its experimental artistry in contemporary art as a catalyst for remediation through constant shifts in content and form. The strategy of remediation, presented by an early pioneer, became a crucial force for television to evolve and adapt in the complex world of contemporary art.

      • KCI등재

        산사태 발생예측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비교평가

        이수연(Sooyoun Lee),정관용(Gwanyong Jeong),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는 산지에서 지형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ena,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그리고 Geomorphons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은 가평군, 횡성군, 김천시, 여주시/이천시이며, 2001부터 2014년까지 군단위로 수집된 산사태 자료를 사용하였다. Catena 방법은 분류기준자가 명확하며, 지역 간 분류기준자의 객관화와 비교가 가능하고, 분류된 결과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지형분석 및 통계분석 절차가 까다로우며 자동화가 어려워 일반인이 쉽게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TPI와 Geomorphons 방법의 경우 분류절차가 간단하고, GIS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계산하는 방안의 크기에 따라 결과에 큰 차이를 보이고, 사용하는 지형단위가 형태적인 특성에 한정되어 지표에서 나타나는 지형형성작용과의 공간적 연결성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세 지형분류방법 간 호환성이 낮게 나타나,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지형 단위에 대해 통일된 개념 규정이 필요하다. 각 지형분류법이 산사태를 예측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지 중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상위 50%의 지형단위를 선택한 뒤, 지형단위에서 나타나는 산사태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산사태 예측력(Predictive Ability)’이라고 정의하였다. ‘산사태 예측력’에 의해 구분되는 지형이 전체 지역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취약지 면적(Vulnerable Area Ratio)’이라고 규정하였다. 종합적인 판단을 위해 산사태 예측력을 산사태취약지역으로 나누어 점수화한 결과, Catena 방법의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in mountainous region in Korea.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s used in this study are Catena, TPI, and Geomorphons. Study sites are Gapyeong-gun, Hoengseong-gun, Gimcheon-si, Yeoju-si/Yicheon-si in which landslide occurrence data were collected by local governments from 2001-2014. Catena method has objective classification standard to compare among regions objectively and understand the result intuitively. However, its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hard to be automated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it. Both TPI and Geomorphons have simple procedure and GIS-extension, therefore it has high accessibility. However, the results of both systems are highly dependent on the scale, and have low relevance to geomorphological formation process because focusing on shape of terrain. Three systems have low compatibility, therefore unified concept are required for broad use of landform classification.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rediction on landslide by each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50% of geomorphological classes with higher landslide occurrence are selected and the total landslide occurrence in selected classes are calculated and defined as ‘predictive ability’. The ratio of terrain categorized by ‘predictive ability’ to whole region is defined as ‘vulnerable area ratio’. An indicator to compare three systems which is predictive ability divided by vulnerable area ratio was developed to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As a result, Catena ranked the highest in suitability.

      • KCI등재

        동성애 가족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이수연(Sooyoun Lee),양성은(Sungeun Yang)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7 No.3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ame-sex marriage legalization in Korea, occurring at a time of different opinions on homosexuality, and through this,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same-sex families. The paper describes the participants' views on same-sex marriage legalization and the reasons behind these perspectives, and explains their opinions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in same-sex families after the legalization. Methods: 58 college students attending metropoli tan higher-learning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is s tudy.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for protocol descrip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and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pect for individual freedom and human rights was the primary core value for college s tudents in forming views on same-sex marriage legalization. Second, they were concerned that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would be in conflict with the values of heterosexual families and create social confusion. Third, even if their views on legalization were positive, participants showed reservations about same-sex families based on van ous difficulties that such children may face during their development. Fourth, college students emphasized that same-sex parents should guarantee their children's right to self-detennination and protect them from social stigma.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explores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ame-sex marriage and same-sex families contrary to heterosexism. Amid van ous discussions on the legislation of same-sex marriage currently under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scholarly discourse on children of same- sex families.

      • KCI등재

        이벤트 구동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종훈(Lee Jonghoon),현득창(Hyun Dukchang),이수연(Lee Sooyoun)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 No.2

        본 논문은 이벤트 구동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메타포어로써 정적 이벤트와 동적 이벤트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씬(scene)을 제안하였으며, 이벤트로서는 텍스트, 라스트 이미지, 도형, 오디오, 비디오와 같이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제어가능한 기본 프레젠테이션 단위를 채택하였다.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써 미디어 편집기, 객체 편집기, 이벤트 편집기, 동작 편집기, 씬 편집기 등의 저작도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의 처리나 표현을 위해 이벤트의 시간적 순서를 관리하는 이벤트 스케쥴러 뿐만 아니라 이벤트 변경자와 이벤트 프로젝터를 구현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based on an event-driven method. We introduce a scene as a presentation metaphore, which consists of events such as static and dynamic events. For events, presentation primitives such as text, raster image, line drawing, audio and video have been adopted As authoring tools, media editor, object editor, event editor, action editor and scene editor have been designed to support multimedia presentation. In order to process and present the diversity of media, not only the event scheduler which can control the sequence of events in terms of time domain, but also processing modules such as event modifier and projector, have been implemented.

      • KCI등재

        그룹웨어를 위한 그룹통신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정희경(Hoekyung Jung),최경호(Kyungho Choi),이수연(Sooyou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상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 사용자들간에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그룹웨어를 위한 그룹 통신 플랫폼을 설계, 구현하였다.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참석자들간에 사용되는 공유객체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멀티캐스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ITU-TSS T.MCS모델에 기본한 중앙집중형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에 필요한 서비스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통신 프리미티브를 정의하였으며, 사용자 응용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처리되는 IDU(Interface Data Unit)와 프로세스간 통신 모델을 설계하였다. 참석자 관리 모듈을 설계하여, 사용자에게 분산환경에 투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통신을 제거하였으며, 동적으로 변화하는 참석자들을 관리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프로세스 테이블, 프로세스 그룹 테이블, 호스트 그룹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그룹 통신 플랫폼을 이용한 화일 전송 응용을 통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를 위한 화일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 구현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roup communication platform capable of cooperative works between users in distributed environment. A centralized model based on ITU-TSS T.MCS(Multicast Communication Service) model has been adopted to provide multicasting service while maintaining the consistency of shared(common) objects used in cooperative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design an interprocess communication model and IDU(Interface Data Unit) intervened between user application client and server, service requirements have been analyzed and communication primitives have been designed. Participants management module containing Process table, Process group table and Host group table has been designed not only to effectively manage dynamically-varing-participants but also to eliminate unnecessary communications while providing an user friendly interface transparant to distributed environments. File transfer protocol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o verify results of this study in file transfer application.

      •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Parser를 이용한 SGML Document Editor의 설계에 관한 연구

        현득창(Duckchang Hyun),홍온선(Onsun Hong),이수연(Sooyou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점차 정보화 사회로 되어감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처리의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간의 문서의 상호 교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국제표준안 International Standard Ossociation 8879(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에 대한 syntax 연구와 SGML parser의 설계 및 SGML Document Editor의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설계된 parser는 실제 ISO 8879에 제공하는 SGML Basic parser의 prototype이며, SGML Document Editor는 그 prototype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한문서의 logical structure을 정의하는 Document Type Definition(DTD)는 Report라는 document의 logical structure을 구성하여, SGML Parser를 통해 parsing한 후 SGML Document Editor에서 SGML Document를 작성 하였다. 본 SGML Document Editor는 사용자가 쉽게 SG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tool로써 제공 될 것이다. This paper study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8879(ISO 8879: Standard Generallzed Markup Language[SGML]) and proposes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 of SGML parser and SGML Document Editor The SGML parser is the prototype of SGML parser according to ISO 8879 and the SGML. Document parser is implementded with the prototype parser. In this paper. DTD which is consist of logical structure of documant called "Report" is composited. After SGML parser parses the DTD. SGML Report document is composited on the SGML Document Editor.

      • KCI등재

        다행위자시스템을 이용한 산림정책별 토지이용 변화와 영향 분석

        박수진(Soojin Park),안유순(Yoo Soon An),신유진(Yujin Shin),이수연(Sooyoun Lee),심우진(Woojin Sim),문지윤(Jiyoon Moon),정관용(Gwan Young Jeong),김일권(Ilkwon Kim),신혜섭(Hyesop Shin),허동숙(Dongsuk Huh),성주한(Joo Han Sung),박찬열(Chan R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3

        최근 지표환경변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계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다행위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한국의 산림정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산림개방의 문제를 사례로 토지피복변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다행위자시스템(Multi-Agent System)을 개발하여, 강원도 평창과 정선의 가리왕산과 그 주변지역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다행위자시스템은 LUDAS(Land Use DynAmic Simulator)로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의 공간적인 이질성과 상호작용을 동적으로 구현하는 강점이 있으며, 산지개방에 따른 사회·경제 및 자연환경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모형은 인간 행위자와 그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인문환경시스템, 자연환경과 산림생태계를 대표하는 자연환경시스템, 이를 연결하는 상호작용 연결고리와 정책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모의 결과는 산림정책의 결과로서 지역주민의 소득과 생태계서비스의 가치, 소득 불평등의 정도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산림정책 시나리오는 지형을 고려하여 산지를 개방하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개방하며, 휴양지 목적의 산지 개방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산림정책 수립과 토지이용 관련 정책연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 multi-agent system model of land-use and cover changes, which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Gariwang-san and its vicinity, located in Pyeongchang and Jeongseon-gun, Gangwon province, Korea. The Land Use Dynamics Simulator (LUDAS) framework of this study is well suited for represent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and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and capturing the impacts of forest-opening policy interventions to future socio-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 changes. The model consists of four components: (1) a system of human population, (2) a system of landscape environment, (3) decision-making procedures integrating human(or household), environmental and policy information into forest land-use decisions, and (4) a set of policy scenarios that are related to the forest-opening. e results of model simulation by dierent combination of various forest management scenarios are assessed by the levels of household income, ecosystem service value and income inequality in the study region. As a result, the optimal scenario of forest-opening policies in the study region is to open the forest to local residential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ive topographical featur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various land-use polic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