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적 박탈경험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소득불평등 인식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수비,정슬기,이수영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6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7 No.2

        Objectives: Income inequality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and was reported to be the highest in Asia in 2016. Based on the health inequity perspective, inequality leads to health problems among its members, and the path is usually explained by a psychosocial factor playing the mediating rol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conomic deprivation on problem drinking, with a specific focus on understanding the path between economic deprivation and problem drinking. Methods: The study utilized the 8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2013), using a sample of 13,553 adults. Main variables included the experience of economic deprivatio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depressive mood, and problem drinking. Results: Results from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economic deprivation and problem drinking, and the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depressive mood. Another path indicated that the economic deprivation influenced perceived income inequality, which led to increased problem drinking via higher depressive mood. The path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problem drinking was non-significant, confirming the notion that perceived inequality influences one’s health via psychosocial factor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pported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one’s health.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include the need to examine problem drinking from a broader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factors.

      • KCI등재

        청년의 상대적 박탈감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미래전망과 사회적 고립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수비,신예림,윤명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사회 구조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시기에 청년층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미치는 미래전망과 사회적 고립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비례할당을 통하여 모집된 전국 19~39세 청년층 521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대적 박탈감이 자살위험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적 박탈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증가하고, 미래전망을 부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사회적 고립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이 높을수록, 미래전망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위험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즉, 상대적 박탈감이 미래전망과 사회적 고립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자살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 통합적 지원체계 개발 및 자살 예방정책 그리고 서비스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년의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비수도권 청년 비교 -

        이수비,전예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6

        본 연구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의 사회적 고립에 대해 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그 예측요인을 심리정서적, 사회경제적, 사회경제 상태에 대한 인식 등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비례할당으로 모집한 전국 19~39세 청년층 521명을 대상으로 SPSS ver.25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과 상관없이 연령, 상대적 박탈감, 우울과 대인관계능력 요인이고립을 강력하게 예측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도권 청년의 고립 예측요인으로 직업유무, 물리적 박탈감, ‘현재 집값의 적정성’과 ‘주택 마련 시 부모지원 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수도권 청년에서는 경제위기시 통제 가능, 미래전망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립의 예측요인이 수도권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토대로 청년층의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통합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를고려한 정책방향 및 서비스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영구염모제로 처리한 흰 모발과 흑갈색 모발의 구성 원소성분 변화

        이수비,장병수,김영철 대한미용학회 2020 대한미용학회지 Vol.16 No.2

        In the present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al composition of a permanent hair dye mixture were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sitional changes in gray hair before and after permanent hair dyeing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black-brown hair. SEM micrographs showed the formation of spongy-type holes of various sizes on the surface of the permanent hair dye mixture. EDX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manent hair dye mixture consisted of C, O, N and S elements. Before hair dyeing, the sulfur content of gray hair (3.32%) was found to be lesser than that of the blackbrown hair (4.40%). After hair dyeing, the sulfur content decreased both in the gray and black-brown hairs.

      • KCI등재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미치는 영향- 교육태도의 조절효과 검증 -

        이수비,안진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4

        The service industry needs face-to-face customer service, which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training for workers.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o look at whether education training for work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The success through education training will be due to the combined role of various factors. In this regard, the study focuses on how the attitude of workers in education training can play a role rather than jus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raining alon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n employee’s attitude toward education training, which was considered necessary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was a regulator to further impro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raining. After all, the more positive workers are about education training, the better workers’ job performance can be. Therefore, promoting employee’s education attitude before education training needs to be a priority, and further studies may call for more in-depth examination of the role of education training attitude. 서비스산업은 면대면 고객응대가 필요하며 이는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본 연구는 교육훈련을 통한 성과가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역할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하고 단순히 교육훈련만의 효과를 검증하기보다 교육훈련에 임하는 종사자의 태도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맞추고 있다. 연구의 결과,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보다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여겨진 교육훈련에 대한 종사자의 태도는 교육훈련에 대한 교육만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절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교육훈련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교육훈련이 직무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교육훈련전 교육태도에 대한 고취가 우선시 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연구에서는 교육태도의 역할에 대해 더욱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 비교

        이수비(SooBi Lee),이수영(Su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문제음주와 빈곤의 다차원성과 불평등을 의미하는 다차원적 박탈과의 인과관계를 성별 차이(gender difference) 중심으로 종단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을 기준으로 2018년도까지 6개 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성 3,770명, 여성 5,632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을 규명하고, 이 잠재집단에 다차원적 박탈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문제음주의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은 남성, 여성 모두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지만, 그 발달양상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중간수준’ 이상의 잠재집단은 여성에 비해 문제음주 수준이 높았으나, 성별에 따른 ‘높은 수준의 음주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남성은 유지하는 추세를 보였고, 여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성은 사회적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은 사회보장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낮은수준 음주군’ 대비 ‘높은수준의 음주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erformed a longitudinal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ity of problem drinking and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meaning the inequalit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rough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argeting total 3,770 men and 5,632 women by using the 6th-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from 2013 to 2018, and then conduct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factors on this latent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according to gender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groups in both men and women while the development aspec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le latent group with ‘moderate level’ or higher showed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an women. However, in case of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according to gender, as time passed, the men tended to maintain it while the women tended to increase it.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e 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deprivation and the wo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security deprivation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compared to the ‘drinking group with low level’. Based on such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ussed the preventive/intervention measures for problem drinking according to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