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드뮴에 의한 수생식물 창포의 생리적·구조적 장해

        이성춘,김완순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4

        국내 자생 수생식물인 창포의 중금속 카드뮴(Cd)에 대한 생리적·구조적 장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Cd 농도에 따른 생장률, 광합성, 뿌리활력의 생리적 반응과 잎과 뿌리 조직의 해부학적 상해 반응을 조사하였다. 잎이 5매 전개된 식물체를 대상으로 Cd 농도를 반치사농도 범위 이하 조건에서 0(control), 10, 25, 50μM로 15일간 처리하였다. Cd에 대한 생리적 장해는 10-25μM, 구조적 상해는 25-50 μM 범위에서 나타났다. 생리적 장해의 경우 지상부(광합성)는 10μM, 지하부(뿌리활력)는 25μM에서 발생하였다. 구조적 상해의 경우 지상부(엽육조직)와 지하부(뿌리조직) 모두 25μM에서 시작되었으나, Cd 농도가 증가할수록 엽육조직보다는 뿌리조직의 상해 정도가 현저하였다. Cd에 대한 창포의 생리적, 구조적 장해 반응을 고려할 때, Cd 오염지역에서 창포의 경관적 가치와 지속적인 생장을 유지할 수 있는 Cd 한계농도는 10μM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nd structural damages to cadmium (Cd) in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s a native aquatic species in Korea. In addition to the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plant growth, photosynthesis, and root activity, the structural damages in leaf and root tissues were observed through light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y. The five-leaf plan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d concentrations 0, 10, 25, and 50 μM for 15 days. The plant damages to Cd were significant at 10-25 μM Cd physiologically and at 25-50 μM Cd structurally. The physiological damages in the shoot part (photosynthesis) started at 10 μM Cd whereas those in root part (root activity) were serious above 25 μM Cd.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damages began at 25 μM Cd in the leaf and root tissues similarly, but the plant tissue destruction was more serious in the roots than in leaves. Based on the plant physiological and structural damages, 10 μM was assumed to be the limited concentration for sustainable growth and landscaping ability in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to Cd.

      • 투명아크릴 밀폐형 방음상자를 이용한 석재절단공장 소음저감

        이성춘,박상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7 소음 진동 Vol.7 No.1

        Friction between stone and saw of stone cutting machine generates the noise of 96-104 dB in the frequency range of 2kHz-8kHz, which may cause occupational hearing loss. By designing enclosures which are made of transparent acryl, PVC panel and absorption materials, about 15 dB noise reduction has been achieved in the stone cutting factory. It is demonstrated that this kind of enclosures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duce the noise in the stone cutting factory.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신년사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지속과 변화

        이성춘,Lee, Sung Choon 한국융합보안학회 2014 융합보안 논문지 Vol.14 No.6

        집권 3년차의 김정은 시대 북한의 지속과 변화 분석은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한 결과 보다 합리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의 신년사를 활용하였다. 북한에 있어서 신년사만큼 영향력 있는 사항은 드물며 북한사회의 제 분야에 있어서 한해의 길라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 신년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종합된 신년사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구분하여 발표방법, 내용구성, 기타사항을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북한 정권별 신년사 특징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의 지속과 변화를 전망해 보았다. 먼저 지속적인 사항으로 제시한 사항은 사회주의 체제 고수와 선군정치의 통치방식이다. 변화사항으로는 (1)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부분적인 개방문제, (2) 북한의 핵문제, (3) 자본주의 성격의 유입과 사회주의 통제력 약화, (4) 김정은의 해외 유학경험 등을 4가지 사항을 변화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김정은 시대의 북한 사회의 변화와 지속요인은 복합적으로 작동될 것이다. 김정은 시대의 북한의 지속과 변화문제는 남북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핵심 사항들이다.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국론결집 노력 강화와 변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It may be meaningful that analysis of possible continuity and change of North Korea's Kim Jong-un's ruling in its third year. For this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more rational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is study takes advantage of the new years' messag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un. In North Korea, the new years' messages are rare enough to give influence to every field of the North Korea's community and the New Year's message performs tutorial role throughout the whole year. The said messages of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un regimes have been researched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summarized New Year's Message by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are separated,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regime by presentation method, configured information, and others followed by New Year message'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North Korean regime that have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f Kim Jong-un era, possibility of its continuation and change is forecasted. Above all, for possible continuation of the ruling, sticking to the governing socialist way and military-first politics are presented. For possible causes of change, such the four factors as partial opening to overcome economic problem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flux of the nature of capitalism, and Kim Jung-un's control weakness have been presented. Such the factors of possible change and continuation of the North Korea Kim Jung-un ruling are expected to work as a combination of factors. The issue of continuation and change of North Korea Kim Jong-un's control is a key point for us to solve the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In the situation that the whole people of South Korea have a national consensus in the effort of gathering the public opinion, it is a high time that we needed to have much flexibility to actively cope with the North Korean issues.

      • KCI등재

        종자처리 양파(Allium cepa L.)의 포장직파재래 생육 특성

        이성춘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4 No.2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environmental condi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 treatment seed in direct sowing with different sowing date, and to suggest new cultivation model. The emergence percentage and hours were down as the delayed sowing date. Optimum sowing time was Sep. 10, and sowing must end before Sep. 20 for safety yield. When did sowing ended before Sep.20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the seedling growth(SG) and No of roots of direct sowing seedling were larger than transplanting cultivation . At March 8 evaluated seedling, the SG of direct sowing seedling was higher than transplanting, and at Sep. 2(1 those were similar. The missing plant rate in transplanting cultivation was under 3 %, and that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was about 13∼18%, and the extent were sever as delayed sowing date. The bulb fresh weight was decreased as delayed sowing, and those in direct sow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were 230, 217g, respectively. The blot rate was high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and that was decreased as delayed sowing. The yield in direct sow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were 5,134, 5,300kg, respectively, and those were decreased as delayed sowing. The average yield in early and medium-late maturity cultivars were 3,750, 4,908kg, respectively, and Sonic was highest yield in early maturity cultivars and Nongwoodego was highest in medium-late maturity cultivars. The emergence weed were 9 species as Loportea bulbifera Weddell and others, and Loported bulbifera Weddell, Digitaria violascens Link and Persicaria longiseta Kitagawa were dominant species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with black hole vinyl mul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