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상강좌:이석원의 음향학 교실16]인성

        이석원 낭만음악사 2003 낭만음악 Vol.- No.58

        지금까지 악기 음향학에서 다루었던 현악기와 건반악기 관악기는 대부분 시대적 필요에 따라 구조와 기능이 바뀌었음을 보았다. 이들 악기는 서양 고전음악 문화의 산물이며, 음악양식의 변화에 따라, 또 연주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악기와 연주법 역시 변화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인간의 목소리는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든 공통적으로 있어온 악기이다. 아담 스미스가 “노래와 춤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이라고 말했으리만큼, 인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본능적으로 목청을 이용해 노래를 불러왔다. 이 연재의 마지막 회가 될 이번 장에서는 인성을 낼 수 있는 악기로서 인체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인성의 여러 가지 요소에 관해 살펴본다.

      • KCI등재

        지식공유형 ODA 사업의 평가: 정책형성이론과 KSP 사업 실증 분석결과를 활용한 대안적 평가 프레임워크

        이석원,신재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2

        As knowledge sharing ODA (such as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initi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2004) has been gaining strategic importanc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such projects is also being emphasized.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apply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to knowledge sharing ODA due to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ODA program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evaluation framework is necessary in order to evaluat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dequately.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framework for knowledge sharing ODA programs utilizing policy formulation theory, theor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KSP data. The evaluation framework is then applied to evaluate the KSP projects for Agro-Processing Development in Cambodia, from which a thorough analysis of project outcomes and restraints based on the structured evaluation frame and standards was possible. 우리나라에서 2004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nowldege Sharing Program: KSP)과 같은 지식공유형 ODA 사업은 범지구적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ODA 사업 유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체계적 평가의 중요성 역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지식공유형 ODA 사업은 다른 통상적인 개발협력 사업과는 다른 특수한 형태의 개발협력 사업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평가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대단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지식공유의 결과가 수원국에서 실제로 정책적 효과성을 발생시켰는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식공유형 사업의 특수성에 특화된 대안적 평가 프레임워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학의 이론 중 정책형성 이론,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평가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이론기반평가(Theory Based Evaluation: TBE) 방법론, 그리고 KSP 사업의 과거 실적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들을 결합하여 지식공유형 ODA 사업의 평가에 특화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캄보디아 농산물가공산업 육성 KSP 사업의 평가에 적용하여, 사업의 성공여부와 성공 및 한계요인을 구조화된 틀과 평가기준에 맞추어 분석 하였다.

      • KCI등재

        최양업 신부 관련 사료 현황과 검토

        이석원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9

        최양업 신부 탄생 200주년인 2021년을 맞아 최양업 신부 관련 사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소개된 자료를 정리하 여 그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 향후 새로운 사료 발굴에 대한 전망과 과제를 제시했다. 최양업 신부 관련 사료는 최 신부가 작성한 자료와 다른 이들이 작성한 자료로 양분할 수 있다. 최 신부가 작성한 자료는 서한이 대표적이지만 서 한 외에도 천주가사, 번역문까지 포함된다. 다른 이들이 작성한 자료는 다 시 동료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제들이 작성한 자료와 신자들의 증언 기록 과 구전 자료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최양업 관련 사료를 정리, 검토했으며, 해당 자료들의 내용과 전거 등을 도표화하여 부록에 정리했다. 이러한 검토 작업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최양업 신부 관련 사료를 계속 발굴해야 한다. 최양업 신부와 연관된 중국 천주교회의 자료를 검색해야 하고, 교회뿐 아니라 관련 있는 프랑스 와 다른 유럽 국가의 정부 문서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동시에 기존 자료 에 대한 재검토 작업 역시 필요하다. 사료의 서지 사항과 내용을 확정하는 정본화(定本化) 작업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자 료의 재검토와 새로운 사료 발굴, 정본화 작업을 바탕으로 이미 자료집으 로 간행된 사료와 흩어져 있는 사료를 종합하여 새롭게 자료집을 편찬해 야 할 것이다. Since 2021 commemorates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Father Choi Yang-eop, there is a need to compile and organize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him. This paper compiled the materials that have been introduced on Father Choi Yang-eop, identifie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resented the prospects and tasks for discovering new historical materials in the future. Historical materials on Father Choi Yang-eop can be divided into the materials written by Father Choi Yang-eop himself and the materials written by others. The most well-known materials written by Father Choi Yang-eop are his letters, but there are other materials, including his Catholic gasa and translations. Materials written by other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materials written by the missionaries from the Society of Foreign Missions of Paris(MEP), testimonial records from Catholics, and oral records. This paper compiled and analyzed the historical materials on Father Choi Yang-eop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and presented tables of the content and references of the materials in the appendix.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for future researchers. The search for mor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Father Choi Yang-eop should continue. Researchers should search for materials related to Father Choi Yang-eop from the Chinese Catholic Church. Their search should also encompass relevant government documents from France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church documents. At the same time, scholars should also review existing materials. A standardization process to determine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th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first. Finally, a new collection of materials should be published by reviewing existing materials, discovering new historical materials, standardizing the materials by gathering previously published materials and scattered materials.

      • KCI등재

        조선후기 진잠과 주변 지역의 천주교 신앙공동체

        이석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Although Jinjam Prefecture was a small administrative unit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populace faced economic difficulties because the region had a large population of yangban (aristocrats), who did not pay taxes. Surrounded by mountains, Jinjam was on the boundary of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and was bordered by Gongju City to the north, Jinsan County to the southeast, and Yeonsan Prefecture to the southwest. Such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served as an impetus for the transmission of Catholicism to the masses and mountainous borderlands rather than to the upper classes and central areas. With the Jinsan Incident (where a family of believers abolished Confucian ancestor worship and led to government persecution) of 1791 as the occasion, Catholic communities came to be formed in Jinsan, Geumsan County, Gosan Prefecture, and Yeonsan. With Thomas Gim Yu-san’s residence in the Sanmak-dong neighborhood in Jinjam, Catholicism came to be transmitted to Jinjam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790s. There is no extant record on the Catholic faith in the region until one confirming the residence of a group of believers in the Jang’andong neighborhood in Jinjam from before 1836. In particular, Han Jaegwon served as the head of the gongso (an assembly center without a priest) in Jinja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40s to the first half of the 1850s. During the government’s persecution of Catholics in 1866, Paul Yi (first name unknown), Joseph Gang Sun-ji, Peter Jeon Ja-yeon, and Stanislaus Gim (first name unknown), all residents of Baranggol and Apjae Villages in Jinjam, were taken to and martyred in Gongju. Likewise, in 1878, Jang Jeong-seon, a resident of Oriul Village in Jinjam, was arrested together with believers from other areas and martyred in Seoul. According to materials, believers in Jinjam lived in what are now the Jang’an-dong and O-dong neighborhoods in the Seo-gu ward of Daejeon City, concentrated in mountainous villages on the boundary of Jinsan to the east and Yeonsan to the west. This was because mountainous borderlands, from which relocation to neighboring areas was easy and where one could avoid public attention, were appropriate for Catholics. Most believers who relocated to Jinjam had connections to Chungcheong Province. They relocated to mountainous inland areas in order to avoid governmental persecutions of Catholics in the Naepo region (an unofficial region in Chungcheong Province encompassing present-day Yesan County, Dangjin City, Seosan City, and Hongseong County) and to engage in religious practices more faithfully. On the contrary, as for cases of relocation from Jinjam to other regions, believers moved to mountainous areas in what is now northern Jeonju Soyang township(now northern Wanju County in North Jeolla Province). It was because believers who settled in mountainous villages moved along mountain routes even when relocating elsewhere and followed others’ movement routes. 조선시대 진잠현은 작은 지역이었으나 양반사족들이 많이 거주하면서 조세 부담을 지지 않아 일반 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산으로 둘러싸인 진잠 지역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접경으로 북쪽으로 공주, 동남쪽으로 진산, 서남쪽으로 연산과 접하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지리적 배경은 천주교가 상류층이나 중심지역보다는 일반 민들과 산간 경계 지역에 전파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1791년 진산사건을 계기로 진산, 금산, 고산, 연산 지역에 천주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김유산이 진잠 산막동에 거주하면서 1790년대 후반 진잠지역에 천주교가 전파되었다. 이후 진잠에 대한 기록이 나오지 않다가 1836년 이전부터 신자들이 진잠 장안동 일대에 거주했던 것이 확인된다. 특히 한재권은 1840년대 후반~1850년대 전반 사이에 진잠의 공소 회장으로 활동했다. 1866년 박해 때는 진잠 바랑골과 앞재에 살던 이 바오로, 강순지, 전자연, 김 스타니슬라오가 공주로 잡혀가 순교했다. 1878년에도 진잠 오리울에 살던 장정선[장희철]이 다른 지역 신자들과 함께 잡혀 서울에서 순교했다. 자료에 나타난 진잠 지역 신자 거주지는 현재 대전 서구 장안동과 오동 지역으로 동쪽으로는 진산, 서쪽으로는 연산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산골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인근 지역(진산, 금산, 연산, 고산)으로 이주하기 쉽고 타인의 이목을 피할 수 있는 산골 경계지역이 신자들에게는 알맞은 생활터전이었기 때문이다. 진잠으로 이주해온 신자들 대부분 충청도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었는데, 내포 지역에서 박해를 피하고 신앙생활을 더 잘 하기 위해 내륙 산골 지역으로 이동한 것이다. 반면 진잠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경우에는 현재 완주군 북부의 산간 지역으로 옮겨갔다. 이는 산골에 터전을 잡은 신자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할 때도 산길을 따라 이동했고, 다른 신자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움직인 것이다.

      • KCI등재

        천주교 ‘박해시기’ 순교자 시신의 수습, 안장, 이장에 관한 자료 연구

        이석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이 논문은 천주교 ‘박해시기’ 순교자 시신의 수습, 안장, 이장 관련 자료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여 그 특성을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1791년(신해) 이후 1879년(기묘)까지 순교한 신자들과 관련된 자료들을 통해 시신의 수습·안장 여부가 확인된 순교자는 275명[안장 231명, 안장 못함 44명]이다. 조선 정부의 기록에는 신자들의 시신이나 무덤에 대해서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순교자 시신에 관한 천주교 측의 기록은 선교사제나 신자들의 서한[보고서], 순교자의 행적[약전], 시복 수속을 위한 증인 재판[시복재판록]에 나오는데, 시복재판록 기록이 가장 상세하고 신빙성이 높다. 재판 조목 중에 시신의 수습과 안장, 이장, 관련된 영적(靈蹟) 사실을 묻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순교자 시신의 수습·안장 관련 자료에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는 상대적으로 선교사제에 대한 기록이 풍부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시신이나 무덤에 나타나는 영적에 대한 증언이 많은 반면 수습·안장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이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신 수습과 안장 여부가 확인된 순교자 275명을 시기별 지역별로 분류해 도표로 제시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1839년과 1846년 박해 때처럼 신자들이 순교자의 시신을 수습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조직적으로 나섰을 경우 수습·안장 비율이 높았다. 반면, 1801년과 1866년 박해 때처럼 천주교 박해가 혹독하여 신자들이 나설 수 없는 상황에서는 수습·안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순교자 시신의 수습·안장 수치를 지역별로 비교하면 순교자의 지역별 수치와는 비례하지 않는다. 1866년 이후 박해가 혹독했던 경기 지역은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신의 수습·안장 비율은 낮았다. 충청 지역은 1868년 박해가 격화되면서 순교자 시신·안장은 1866~67년에 주로 이루어졌다. 1866년 박해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전라와 경상 지역에서 수습·안장된 시신은 대부분 1839년 이전에 순교한 경우이다. ‘박해시기’라는 특성 때문에 안장된 순교자의 시신이 이장되는 경우는 서양 선교사제와 김대건 신부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how the bodies of martyrs during the period of Catholic persecution were recovered, buried, and reburied by compiling relevant materials. This study identified 275 martyrs (231 buried, 44 not buried) whose recovery of bodies and burial have been confirmed based on the materials on the martyred Catholics from 1791 to 1879. Records kept by the Joseon government did not display much information about the bodies and graves of the Catholics. Catholic records of the martyrs’ bodies were found in the reports written by missionaries or Catholics, short biographies of martyrs, and the beatification trial records. Among them, the beatification trial records were the most detailed and reliable, as the questions asked in the trials raised issues such as the recovery and burial of the martyrs' bodies and their miracle stories. The records shared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relatively more records on missionaries. Second, while there were many testimonies on the martyrs' bodies and the miracles that appeared on their graves, not much information could be found on the recovery and burial of the bodies. This paper classified the 275 martyrs whose recovery of bodies and burial were confirmed by period and region using charts and identified their characteristics. The body recovery and burial rate were higher when the Catholics made an organized effort out of their own initiative, as in the persecutions in 1839 and 1846.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persecutions in 1801 and 1866, the bodies were rarely recovered or buried when the persecution against Catholicism was so severe that the Catholics could not make any effort. The rate of recovery and burial of martyrs by region did not coincide with the number of martyrs by region. While many martyrs were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where persecution was severe since 1866, the rate of recovery and burial of bodies was low. In the Chungcheong region, most recoveries and burials of martyrs took place from 1866 to 1867 as the persecution became even more severe in 1868. The martyrs whose bodies were recovered and buried in the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where persecution was relatively less severe in 1866, were mostly martyred before 1839. Since it was an era of persecution, most of the martyrs' graves remained unmoved, aside from the grav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Father Kim Taeg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