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있는가?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 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키는 하나의 종합을 이루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들을 그리스도교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사고 안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의 많은 부분들을 변형시켰다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또한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그리스도교의 애덕(caritas)에 대한 진정한 개념의 중심적인 특징, 즉 최상의 의미 안에서의 인간적인 사랑(maxime amicitia)으로서 신에 대한 사랑(dilectio Dei)과 이웃에 대한 사랑(dilectio proximi)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philia)의 교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친애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은 원래 그리스도교의 애덕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애덕과는 정반대라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수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으로의 성공적인 통합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것, 또는 오히려 토마스 아퀴나스가,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지, 그의 통합적인 설명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의 몇몇 본질적인 국면들을 제외시켰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서, 첫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교설의 기본적인 특징들에 관련해서 완전한 친애로서 ‘탁월성의 친애’와 ‘동등성의 친애’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동등성 개념으로부터의 두 가지의 주요한 이탈들을 지적한다. 둘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전한 친애의 전제조건으로서 나 자신에 대한 잘 정돈된 관계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러한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제조건으로부터의 이탈을 언급한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신과 인간의 완전한 친애의 불가능성에 관한 교설을 논의한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로부터의 이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들을 넘어서지 않고 그것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한 사람을 가리켜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라고 부른다고 규정하는 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위에서 제시된 이유로 인하여 그 자신을 신의 친구라고 여길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단언하는 것이다. There are two moral precept systems in Thomas Aquinas’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heory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In this behalf, It is generally agreed today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ed many of Aristotle’s concept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Christian moral and religious thought. This is also true for the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which Thomas Aquinas uses to interpret the central features of his genuine conception of Christian love(caritas), namely love of God(dilectio Dei) and of neighbor(dilectio proximi), as friendship in the highest sense(maxime amicitia). Here I suggest that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is inherently opposed to Christian caritas in that Christian caritas implicitly or explicitly excludes the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Therefore, I point out that Thomas Aquinas’s reception of Aristotle’s thought on friendship cannot be characterized as a successful integration of Aristotelian theory into medieval Christian theology, or rather Thomas Aquinas, willingly or unwillingly, is forced by his integrative account to exclude some essential aspects of Aristotelian theory. In relation with this, First, After I check the friendships of the virtue and the equality in relation with a basic characteristics of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as a perfect friendship, I indicate two major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and equality. Second, After I examine a well ordered relation toward oneself as a precondition of the perfect friendship, I mention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precondition. Third, After I argue Aristotle’s theory on impossibility of a perfect friend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 present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theory. In conclusion,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 by which I mean a man holds consistently to Aristotle’s thoughts without going beyond them – cannot conder himself a friend of God. Namely,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cannot be a friend of God.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적 기질과 정념의 세 단계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우리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철학의 방법론과 내용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서 그의 교설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설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 교설 사이에 존재하는 아주 밀접한 관련성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적인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의 학자들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의 변형에 관하여 대체적으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나는 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해석이다. 이와는 반대되는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하는 그의 신학적인 태도에 기인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본 논문 안에서, 연구자는 후자의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을 인식하고 있을지라도,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이 진정한 덕들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이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논의한다. 첫째,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서 전개된 도덕적 기질들의 3단계적 성격, 즉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들 또는 후천적으로 획득된 덕, 주입된 덕, 그리고 성령의 은사들을 제시한다. 둘째, 연구자는 그에 의해서 명확하게 드러난 정념들의 세 단계적 지식, 즉 가장 기본적인 의미에서의 정념들, 지성적인 유사물들 안에서의 정념들, 성령의 열매들과 관련된 정념들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도덕철학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사실상 자신의 신학적 의도를 가지고서 철학적 작업이 아닌 신학적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그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도덕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When we study Thomas Aquinas’methodology and contents of moral philosophy,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Aristotle’s moral doctrines, It’s hard to say that we understand his doctrines correctly. Because there is a approximal relationship between Aristotle’s moral doctrines and Thomas Aquinas’moral doctrines. In spite of this. There are two different moral precepts in Thomas Aquina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As for this, On the discussion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lear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 In this paper, I argue in the latter view. I show that although Thomas Aquinas recognizes the Aristotelian virtues, he thinks they are not real virtues. I argue about these things by dividing into two in detail. First, I present three-layered character of moral dispositions deployed by Thomas Aquinas: the Aristotelian or acquired virtues, the infused virtues, and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Second, I offer three-layered lore of the passions disclosed by him: passions in the most basic sense, passions in their intellective analogues, and fruits of the Holy Spirit. After this, I maintain that Thomas Aquinas does not try to evolve a philosophical work but in fact evolve a theological work in the process of evolving his teaching on his moral philosophy with his theological intention. After all,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must have evolved his teaching on his moral teaching,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Thomas Aquinas evolves his teaching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moral teaching.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철학 안에 있는 교설들을 토마스 아퀴나스가 어떻게 해석하고 변형시켰는지를 논의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중요성을 충분히 잘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올바른 실천적 지식을 획득하고 보존하는 것 안에서의 도덕적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역할에 관한 『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검토한다. 그런데 이러한 간략한 논의는 두 가지의 주된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첫째, 도덕적인 삶의 목적은 어떻게 알려지는가? 둘째, 도덕적 탁월성은 올바른 목적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 어떻게 공헌하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들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답변은 무엇인지를 좀 더 세밀하게 검토한다. 첫 번째 질문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해결책은 도덕적인 삶의 일반적이고 특수한 목적들이 ‘우리가 어떻게 행위 해야 하는가?’에 관한 일반적인 표준이 되는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에 의해서 알려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은 좀 더 특수한 도덕학의 결론뿐만 아니라 자명한 실천적 전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문제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답은 도덕적 탁월성은 탁월성이 있는 개인이 진정으로 행위 하는 목적들이라 할 수 있는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을 보증함으로써 올바른 목적에 대한 지식에다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러한 맥락 안에서 ‘자기에게 고유하게 되는 것에 의한 판단’이라는 그의 교설에 의해서 또는 논증적이지 않은 실천적 지혜의 판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경향성에 의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직관’을 한층 더 발전시킨다. 그러므로 보편적인 그리고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이라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설은 그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자리를 이해하는 데에 적절한 체계를 제공해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안에 함축되어있는 것을 단지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는 실천적 지혜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개선한다. 그는 근본적으로 실천적 지혜의 의미와 범위를 변경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기본적으로는 충실한 철학적 주해를 했다는 것, 그리고 언뜻 보아서는 잘 알 수 없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명료화했을 뿐만 아니라 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그로 인하여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그 자신의 주해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사고의 원리들과 범주들의 도움으로 한층 더 발전적으로 확장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It is a very meaningful task that we discuss that how Thomas Aquinas exegetes and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ethical philosophy. In that sense, In order that full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he goal passage in Aristotle’s ethics, Above all I examines his Nicomachean account of the role of moral virtue and prudence in acquiring and preserving correct practical knowledge. By the way, This brief discussion raises two main questions. First, how are the ends of the moral life known? Second, how do the moral virtue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of right ends? I examine more closely What is Thomas Aquinas’s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omas Aquinas solution to the first question is that the general and specific ends of the moral life are known by means of ‘universal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general standards for ‘how one should act?’ They include self-evidence practical propositions as well as more specific conclusions of moral science. His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is that the moral virtues provide an affective support for the knowledge of the right end by securing ‘particular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the ends for which the virtuous individual does act. In this context, Thomas Aquinas further develops intuitions by way of his theory of the ‘judgment by connaturality’ or ‘by the inclination,’ which is a non-discursive prudential judgment. Therefore Thomas Aquinas’s theory of universal and particular practical princip;es provides the prope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lace of the goal passage in his ethics. Thomas Aquinas only making more explicit what is implicit in Aristotle. He improves the Aristotelian account of prudence. He fundamentally alter prudence’s meaning and scope. In conclusion, I insist that Thomas Aquinas basically made philosophical notes on the goal passage in the philosophical faithfulness, and clarified Aristotle’s underlying goal passage aand offered more systematic and coherent presentation. Then,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developed Aristotle’s goal passage within his own notes with the help of Aristotle’s own principles and categories of thought.

      • KCI등재

        연구논문 : 입법자 없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은 가능한가?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우리가 성 토마스의 자연법 교설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의 자연법 교설과 그의 교설에 아주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과의 관계를 검토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양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의 평가를 중심으로 연구해보려고 한다. 첫째, 본 연구자는 제이퍼의 주장, 즉 성 토마스의 자연법 안에 있는 법적인 성격이 하나의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 그리고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의 자연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과는 전혀 다른 그리스도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어윈과 스톤의 주장, 즉 성 토마스의 자연법 교설이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 그리고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 없이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의 자연법은 그리스도교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고도 충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일 수 있다는 단언을 통하여 제이퍼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서 이성적 원리로서 자연법, 자명과 사고의 훈련법으로서 자연법, 이성 공동체와 자연법 등을 제시할 것이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서 사물들의 객관적인 속성들에 대한 사실로서 자연법, 훌륭함으로서 자연법 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갈 주니어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인식론의 관점으로서 자연법이라는 논의들을 중심으로 해서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의 영원법과 자연법에 관한 논의 과정에서 비록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을 설정할 수밖에 없다 할지라도, 제이퍼의 주장과는 달리 그리스도교적인 신학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설명이 가능하다고 결론지을 것이다. When we make a study of St. Thomas natural law, It is essential for us to examine the relations his natural law with Aristotle`s moral teaching which has an very great influence upon his teaching. So I am going to make researches revolving around the two estima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First, I will make observation of Jaffa`s contention, that is, the contention that because a legalistic feature in St. Thomas` natural law contains not only a divine legislator and his legislation but also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 his natural law has the Chiristian character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Aristotle`s moral teaching. Second, I will carry on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Irwin and Stone`s allegation, that is, the allegation that because St. Thomas` natural law is possible without not only divine legislator and his legislation but also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 his natural law is able to be Aristotelian in its fullness. In this process, by way of foundations of a polemic against St. Jaffa`s allegation on divine legislation and legislation, I will come up with natural law as a rational principle, natural law as self-evidence and natural law as the disciplines of thought, reason community and natural law. After that, by way of foundations of a polemic against Jaffa`s allegation on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s, I will bring up natural law as the fact on the objective property of things and natural law as the fineness. And then lastly, Revolving around natural law by way of a viewpoint of teleological epistemology of Robert R. Gahl, Jr., I conclude that in the course of an argument on St. Thomas` eternal law and his natural law, though we can not but set up the divine legislator and legislation, as distinct from Jaffa`s assertion, Aristotelian explanation is possible without depending on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 KCI등재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상일(Sang Ill Lee),박기웅(Kee Woong Park),원옥재(OK Jae Won),박수혁(Su Hyuk Park),엄민용(Min Yong Eom),황기선(Ki Seon Hwang),김영태(Young Tae Kim),변종영(Jong Yeong Pyo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2 No.2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

      • KCI등재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즐거움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A주장(『니코마코스 윤리학』제7권 제11장-14장) 과 B주장(『니코마코스 윤리학』제10권 제1장-제5장)은『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서론으로부터 결론에 이르기까지 균형 잡힌 구성적 구절들의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해들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즐거움의 견해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또는 철학적 차원과 아우구스티누스적인 또는 신학적 차원을 이해하기 위한 더 넓은 기초를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연구자는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A주장과 B주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편집적 난제들과 철학적 난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A주장과 B주장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두 가지의 관점들, 즉 『윤리학 주해』와 『신학대전』의 관점들을 보여준다. 본 글 안에서, 먼저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윤리학 주해』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A주장과 B주장에 관해서 주해할 때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들을 설명하고 있음을 여러 가지 사례들을 통하여 드러낸다. 이와 반대로, 연구자는『신학대전』의 두 개의 항들은 『윤리학 주해』안에 존재하지 않는 아우구스티누스적인 요소들 또는 신학적 요소들을 도입했다는 것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A주장과 B주장 안에 있는 ‘즐거움’에 접근하는 방식은 그의『윤리학 주해』와 『신학대전』안에서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즐거움과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즐거움 사이의 차이들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차이가 필연적으로 양립불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신학적 공리, 즉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완성 한다”에 따라 그리스도교의 즐거움은 철학적 즐거움과 대립하지 않으며 오히려 완성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Aristotle’s A discussion(NE, 7, 11-14) and B discussion(NE, 10, 1-5) on pleasure should be seen in the context of symmetrical, framing passages from beginning to the end of the Nicomachean Ethics. These understandings provide broader basis for understanding the Aristotelian or the philosophical dimension and Augustinian or theological dimension on Aquinas view of pleasure. From this point of view, I review critically editorial challenges and philosophical difficulties that occur between Aristotle’s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And then, I show the two perspectives of the Commentary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nd the Summa theologiae on Aristotle’s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In this article, I reveal through various cases that whenever Thomas Aquinas comments on Aristotle’s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in his the Commentary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he explains Aristotles ex Aristotle. In his the Commentary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On the contrary, I present that both articles of ST introduce an Augustinian elements or theological elements that is not present in the Commentary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the Ethics. In conclusion, we know that Thomas Aquinas’s approach method to Aristotle’s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is not identical in his the Commentary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nd the Summa Theologiae. Thomas Aquinas acknowledges differences between Aristotle’s philosophical pleasure and Christian theological pleasure. But he did not think that these differences imply inevitably incompatibility. Because he thought that Christian pleasure does not confront philosophical pleasure but rather completes it, according to his theological axiom, in other words “grace is completed without destroying nature.”

      • KCI등재후보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상일(Sang Ill Lee),박기웅(Kee Woong Park),원옥재(OK Jae Won),박수혁(Su Hyuk Park),엄민용(Min Yong Eom),황기선(Ki Seon Hwang),김영태(Young Tae Kim),변종영(Jong Yeong Pyo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5 농업과학연구 Vol.42 No.2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