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념의 도덕적 속성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고대 철학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행위에 관한 그의 설명 안에서 ‘심사숙고와 선택’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스토아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와는 달리 인간 행위에 있어서 단지 의지 또는 정념에만 잘못과 죄, 그리고 이에 대한 책임의 원인으로서 도덕적 속성을 부여했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아 철학적 설명의 유형은 그리스도교의 전통 안에서 또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 당시 그리스도교의 전통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에 의하면, 비록 정념들에 영향이 잘못된 행위의 원인에 대한 일부가 될 수는 있을 지라도, 잘못은 단지 의지 안에만 또는 정념 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또한 이성 안에도 놓여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잘못과 죄는 의지 또는 정념들 자체로부터만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들과 함께 작동되는 행위자의 모든 능력들의 올바르지 못한 작용들로부터 유래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념’의 도덕적 속성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관하여 하나의 체계적인 답변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행위 안에서의 정념이 그 자체로써 도덕적으로 중립적인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응답한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하면, 사랑, 희망, 증오, 분노, 슬픔, 그리고 절망 등을 포함한 모든 정념들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다. 한 사람이 개별적인 정념에 반응하는 방식이 정념의 도덕적 속성을 결정하는 것이지 ‘정념 그 자체’가 정념의 도덕적 속성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두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서, 만일 정념이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 않고 도덕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면 그것은 어떤 경우에 선한 정념 또는 악한 정념이 될 수 있는 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또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답변을 제시한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하면, 정념들이 이성과 이성적 욕구로써의 의지를 따라갈 때, 정념들은 인간의 활동 안에서 인간의 행위를 풍성하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그것들은 선한 정념들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정념들이 이성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 수준과 정념들이 이성을 혼란에 빠뜨리는 방식들에 의해서 정념들은 이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악한 정념들이 될 수도 있다. 세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념의 도덕적 속성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안에서의 예외적인 정념은 없는지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정념들 중의 어느 것도 본질적으로 선하거나 또는 악하지 않다고 진술했을지라도, 단지 ‘절망’이라는 정념만은 본질적으로 육체와 영혼의 움직임 둘 다를 정지시킴으로써 항상 악한 쪽으로 작동될 뿐만 아니라 결코 올바르게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In ancient philosophy, Aristoteles puts emphasis upon the role of deliberation and choice in his account of human action. But the Stoics bestow the moral property as error and sin, and the cause of responsibility for these upon only the will or passions themselves, differently from Aristoteles, and this type of Stoic explanation will find expression in the Christian tradition as well. But Thomas Aquinas proceed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Christian tradition.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passion accounts for the wrong action, the error lies also in the reason, not only in the will or in the passion, or more precisely, error and sin do not result from the will or the passions themselves, but result from the incorrect operation of all the powers of the agent working together. Thus, I suggest a systematic account upon the question by analysing Thomas Aquinas’s moral property of ‘passion’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Thomas Aquinas’s ‘passion’ in the human action is morally neutral itself. According to Thomas Aquinas, all of the passions, including love, hope, hate, anger, sorrow and desire are morally neutral. The manner in which a person responds to a particular passion determines the morality of passion, and not the passion itself. The second question, “If passion is not morally neutral and has a moral property, can it be a good passion or a bad passion in a certain cas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When passions follow the reason and will as a rational appetite, as passions exert an positive influence which enriches the human action in human activities, they can be good passions. In opposition to this, passions can be bad passions by exerting negative influence upon reason, by the degree of intensify of influencing on reason and the way in which the passions disturb reason. The third questions is whether there is exceptional passions or not in Thomas Aquinas’s entire explanations for the moral property of passion. I maintain that the passion of despair is not morally neutral because it always works to an evil and is never felt rightly by stopping all movement, essentially alone, both of the body and the soul.

      • KCI등재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대한 비교 연구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하여 성 토마스의 변형을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설들을 성 토마스가 어떻게 변형시켰는가에 관해서, 최근 학자들 사이에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신학적으로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eudaimonia)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해석을 하는 학자들 중에서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의 성 토마스에 대한 논의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제이퍼(Harry V. Jaffa), 도나토(Antonio Donato),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등의 학자들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도이그의 논의들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첫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가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대하여 동의하면서 그의 교설들을 설명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인간 본성으로서의 행복”에 관한 내용으로서 관조적인 행복의 우월함, 도덕적인 행복의 열등함, 그리고 하나의 본성적인 목적으로서 완전한 행복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대한 도이그의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관한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서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신학적인 변형과 신학적인 의도로서 철학적인 변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James . C. Doig)가 성 토마스의 교설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설명하고 있는 “인간인 한에서 지극히 복된 사람”과 “신적인 것”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관하여,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여러 가지의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도이그의 주장, 즉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변형만을 시도했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 없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성 토마스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행복에 관한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On the discussion that how St. Thomas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rea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s 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s. As for this, I will try to find what St. Thomas`s discussion is, by centering about James C. Doig`s assertion among scholars who interpret philosophically on St. Thomas`s teaching about Aristotle`s eudaimonia.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James C. Doig`s assertion by centering about allegations of Harry V. Jaffa, Antonio Donato, and Denis J. M. Bradley. First, I will try find concretely on St. Thomas`s superiority of the contemplative happiness as "happiness on human nature, inferiority of moral happiness, and “the complete happiness as a natural end”. And as a refutation against James C. Doig`s and St. Thomas`s teachings about this, by centering about the assert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Jaffa, I will offer St. Thomas`s theological transformation, and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s a theological intention. Second, I will examine “the blessed as men” and “the divine” which James C. Doig estimates affirmatively and explains detailedly. And as for this, I will offer several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the opin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V. Jaffa. And then I will set forth argument that James C. Doig`s assertion, that is, the assertion which St. Thomas tries only a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bout the teaching of Aristotle`s happiness is never persuasive. Consequently, I will form a conclusion that St. Thomas must have expound on Aristotle`s happiness,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st. Thomas evlves his teachings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 KCI등재
      • KCI등재

        광절열두조충(廣節裂頭條蟲) 감염(感染)의 일례(一例)

        이상금 ( Sang Kum Lee ),정악승 ( Nak Seung Chung ),백인기 ( In Ki Paik ),고일향 ( Ill Hyang K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83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15 No.1

        This is a case of 53 year old male with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treated satisfactorily after application of a vermifuge, Niclosamide, and laxative, MgSo4. The patient had been eating raw fish of various kind off and on since long ago and many ova of Diphyllobothrium latum were found incidentally during his recent diabetic check up. Addition of this case is stressed that possibility of wide distribution of Diphyllobothrium latum and other parasite caused by raw fish eathing in Korea. Enlghtrnment with control of popular raw fish eathing habit among Korean is urged.

      • KCI등재

        연구논문 :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천적 지혜(prudentia)로 변형 논쟁에 관한 연구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본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와 기독교 신학의 종합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phronesis)로부터 성 토마스(St. Thomas)의 실천적 지혜(prudentia)으로 변형을 통한 성 토마스의 윤리학의 종합에 대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관점, 즉 성 토마스가 너무 기독교 쪽으로 기울어져서 그의 종합은 사실상 실패했다는 관점과 그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관점을 양심(synderesis)와 의지(voluntas)를 중심으로 논하고 있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양심의 문제에 있어서는 다니엘 웨스버그(D. Westberg)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그리고 의지의 문제에 있어서는 앤서니 케니(A. Kenney)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성 토마스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결론을 제시할 것이다. 양심(synderesis)의 문제에 있어서 해리 재파(Harry Jaffa) 등은 성 토마스의 시도 안에 있는 양심(synderesis)의 개념으로 말미암아 그의 시도는 너무 기독교 신학 쪽으로 기울어져서 그의 종합은 사실상 실패했다고 본다. 그러나 다니엘 웨스트버그(D. Westberg) 등은 성 토마스의 실천적 지혜(prudentia) 안에 나타나 있는 ``세부적인 일련의 규칙들(a detailed set of rules)`` 이라는 용어를 상기시킴으로써 반박하고 있다. 의지(voluntas)에 있어서는, 고티에(R. A. Gauthier)는 성 토마스의 실천적 이성에 있어서 기독교 신학의 의지의 약함(akrasia), 죄와 잘못, 칭찬과 비난, 보상과 처벌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의지(voluntas)의 강조로 인하여 그의 종합은 실패했다고 본다. 그러나 앤서니 케니 (A. Kenney)는 성 토마스의 (A. Kenney)는 단지 의지(voluntas)의 실패가 아닌 이성과 의지, 감정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전체(a Whole)로서의 실패로 봄으로서 이를 반박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있는가?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 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키는 하나의 종합을 이루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들을 그리스도교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사고 안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의 많은 부분들을 변형시켰다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또한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그리스도교의 애덕(caritas)에 대한 진정한 개념의 중심적인 특징, 즉 최상의 의미 안에서의 인간적인 사랑(maxime amicitia)으로서 신에 대한 사랑(dilectio Dei)과 이웃에 대한 사랑(dilectio proximi)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philia)의 교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친애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은 원래 그리스도교의 애덕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애덕과는 정반대라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수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으로의 성공적인 통합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것, 또는 오히려 토마스 아퀴나스가,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지, 그의 통합적인 설명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의 몇몇 본질적인 국면들을 제외시켰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서, 첫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교설의 기본적인 특징들에 관련해서 완전한 친애로서 ‘탁월성의 친애’와 ‘동등성의 친애’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동등성 개념으로부터의 두 가지의 주요한 이탈들을 지적한다. 둘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전한 친애의 전제조건으로서 나 자신에 대한 잘 정돈된 관계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러한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제조건으로부터의 이탈을 언급한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신과 인간의 완전한 친애의 불가능성에 관한 교설을 논의한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로부터의 이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들을 넘어서지 않고 그것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한 사람을 가리켜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라고 부른다고 규정하는 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위에서 제시된 이유로 인하여 그 자신을 신의 친구라고 여길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단언하는 것이다. There are two moral precept systems in Thomas Aquinas’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heory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In this behalf, It is generally agreed today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ed many of Aristotle’s concept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Christian moral and religious thought. This is also true for the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which Thomas Aquinas uses to interpret the central features of his genuine conception of Christian love(caritas), namely love of God(dilectio Dei) and of neighbor(dilectio proximi), as friendship in the highest sense(maxime amicitia). Here I suggest that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is inherently opposed to Christian caritas in that Christian caritas implicitly or explicitly excludes the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Therefore, I point out that Thomas Aquinas’s reception of Aristotle’s thought on friendship cannot be characterized as a successful integration of Aristotelian theory into medieval Christian theology, or rather Thomas Aquinas, willingly or unwillingly, is forced by his integrative account to exclude some essential aspects of Aristotelian theory. In relation with this, First, After I check the friendships of the virtue and the equality in relation with a basic characteristics of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as a perfect friendship, I indicate two major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and equality. Second, After I examine a well ordered relation toward oneself as a precondition of the perfect friendship, I mention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precondition. Third, After I argue Aristotle’s theory on impossibility of a perfect friend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 present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theory. In conclusion,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 by which I mean a man holds consistently to Aristotle’s thoughts without going beyond them – cannot conder himself a friend of God. Namely,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cannot be a friend of Go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