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교통단속장비 개선 및 구현

        이상오,이철기,윤일수,Lee, Sang-O,Lee, Choul-Ki,Yun, Ilsoo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5

        The thesis is automated traffic control equipment system aims to improve. Areas where improvement is needed about the existing automated traffic control equipment by applying the latest technology and to improve the things that can be derived. Reflecting the derived improvements, we intend to present a plan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unmanned traffic control device. The main improvements were designed to change the housing material of the unmanned traffic control equipment,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reduce the weight of the equipment, and change the purpose of the software. In order to evaluate the objectiv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unmanned traffic control equip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requested to a public certification authority. The reliability of the equipment was secured through KC certification and durability test. It is intended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securing the marketability of the unmanned traffic control equipment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stallation cost with the existing unmanned traffic control equipment.

      • KCI등재

        Methylotrophic Yeast, Pichia pastoris에서 사람 락토페린의 발현 및 항균성 연구

        이상오,임은미,남은주,이현환,Lee Sang O,Im Eun Mi,Nam Eun Joo,Lee Hyune Hwan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사람의 모유에 많이 함유된 human lactoferrin(hLF)은 항균 및 항 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Lf를 메탄올자화 효모인 Pichia pastoris에 cloning하고 그 발현을 RT-PCR, Northern blotting, SDS-PAGE및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2.1 kb의 hLf 유전자가 P.pastoris의 염색체 DNA로 끼어들어가 안정적으로 hLf를 발현하였다. 이 재조합 P.pastotis로부터 hLf를 포함하는 세포 추출액을 얻어 항균 작용을 연구하였다. 발현된 재조합 hLf는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flavus 등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작용을 보일 뿐만 아니라 그람 음성 동물성 병원균인 Pseudomonas fluorescens ID 9631, E. coli ATCC8739, 25922,35 등과 Salmonella typhimurium 114,115 등 다양한 균에 대해서도 강력한 항균작용을 보였다. 이는 재조합 hLf가 생물학적 활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express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recombinant human lactoferrin (hLf) was studied from meth­ylotrophic yeast Pichia pastoris. The gene encoding hLf, isolated from human breast cDNA library, was subcloned into the expression vector, pPIC3.5K under the control of AOX1 promoter. The gene was integrated into the host chromosome and was identified by Southern blotting. The expression of the integrated gene was investigated by RT-PCR, Northern blotting,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Discrete band corresponding to hLf was detected from the SDS-PAGE, which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The expression was also confirmed by RT-PCR and Northern blotting.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recombinant hLf (rhLf) was investigated using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and Micrococcus flavus ATCC 10240 as test organisms. The rhLf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he bacteria. Furthermore, many Gram-negative animal pathogens such as E.coli ATCC8739, 25922, and Salmonella typhimurium 114 and 115, Pseudomonas fluorescens ID 963 I, P. aeruginosa KCCM 11802, and Gram-positive bacteria Bacillus mesentericus were also inhibited in their growth by the rhLf.

      • KCI등재

        「문화산업」: 교육가능성의 탐구를 위한 역사ㆍ해석학적 접근

        이상오(Lee Sang O) 한독교육학회 200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7 No.2

        Im 21. Jahrhundert wurde die kulturelle Industrie eine nationale Strategie. Deswegen bedürfen wir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der kulturellen Industrie. Dagegen steht Sozialwissenschaft immer kritisch und negativ. Kulturelle Bilder wechselen sich entsprechend des Bedarf der Konsummenten ins Produkt. In diesem Zusammenhang entwickelt sich die kulturelle Industrie. Die endscheidende Variation ist jedoch ein Massenmedium, uns zu stimulieren.. Bis zum heutigen Tage wird die Masse durch die kulturelle Industrie als politische Ideologie manipuliert. In diesem Prozess spielen die kulturelle Hersteller eine wichtige Rolle. Nun gibt es ein neuer Paradigmenwechsel von Potit.-Öko. zu Kultur-Öko. in Industriegebiet. Die kulturelle Industrie heute hat mehr komplexe Ideologie für den ökonomischen Alltag. Kulturelle Hersteller haben nie mehr Monopol, kulturelle Produkte zu kontrollieren. Stattdessen werden die kulturelle Konsummenten immer kräftiger, um kulturelle Industrie aktiv zu machen. Di kulturelle Industrie entwickelt sich nicht mit dem funktionalen Wert, sondern mit dem symbolisch-sinnlichen Wert. Im Kullturalismus muss unsere Bildung eine echte Kulturbildung sein, die wissenschaftlich für die Konsummenten mit dem kritischen Bewusstsein sorgen kann.

      • KCI등재

        학생 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이상오(Lee Sang O)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1

        In general, education begins with teacher s understanding of students. If we have no idea of students as educational objectives, we fail to educate them. Historically, our thought in daily life or in science has largely depended on the manipulated epistemology since the enlightenment. Especially our scientific development has played a great role in generating such trend. However, students must not always be the objectives who teacher observes and recognizes. Teacher s understanding of students can be correct, if they are to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eacher and students can not be separated for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To this end, our study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the ontological thought with the interpretative method. According to H.-G. Gadamer, a representative ontological philosopher, teacher has to continually interpret the tradition (history, experience, horizon) of student s life and endure till the merger of all horizons existing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Concretely, teacher must not see students only through his own eyes und he must hold his own justice and conclusion until they reveal themselves. For Gadamer, the approach to Being (Sein) is to be realized and achieved through dialogue . However, his dialogue is not to be led or initiated by someone or subjects. Dialogue exists already in the world and persons are being thrown in the field of dialogue continually. In this logic, human being is the animal of dialogue. Accordingly, dialogue is not an area of choice, but a necessity. Teacher s and students meet and merge each other in dialogue. Here the merger of horizons is the condition of understanding. In shor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able to be performed when the removal of contradiction generating in all horizons can be automatically realized Aufhebung in the Hegel s meaning - and finally merged. Thus the ontolog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also achieved. 교육은 ‘학생에 대한 이해’로부터 비롯된다. 왜냐하면 대상도 파악하지 못하고 교육할 수는 없기 때 문이다. 역사적으로 계몽주의 이후 우리는 사유는 ‘실증주의적으로 변용된 인식론적 차원’에 급격하게 편중되어 왔다. 특히 자연과학의 발달은 이에 큰 몫을 했다. 그러나 학생은 항상 교사의(인식의) 대상 일 수만은 없다. 심지어 학생이 인식론적 반성을 통하지 않은 ‘인식론적 오류’의 논리 속에서 접근된다 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개체로서의 학생은 교사의 인식대상 이외에도 스스로 드러나는 ‘존재’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생은 ‘반성적 인식’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존재론적 차원’에서 이해될 때 온전해질 수 있다. 전자는 또 다른 연구테마로서 본 연구에서는 제외된다. 존재론적 해석학자인 H.-G. Gadamer에게 서 존재 본질에의 접근을 구체화시켜주는 것은 ‘대화’이다. 그러나 그의 대화는 누군가가 주도하고 이끄 는 대화가 아니다. 대화 또는 대화의 장은 ‘세계’로서 미리 존재하고, 그 안에 개체(현존재)가 기투된다. 따라서 대화는 인간의 삶에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대화의 동물’이다. 대화 속 에서 학생지평(역사, 경험, 전통)과 교사지평 간의 융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평융합은 이해의 기본 조건이다. 즉 (진정한) 학생 이해는 대화에 참여한 학생지평과 교사지평 간의 모순이 스스로 지양되면 서 지평융합될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이로써 학생 이해를 위한 존재론적 접근도 성취된다.

      • KCI등재

        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철학"의 교육학적 의미

        이상오 ( Sang O Lee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상상력은-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 창의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상력 철학`을 창시한 Bachelard는 `상상력 교육`에 대해 깊이 생각하기를 좋아했다. 그는 우선 `이성`과 `상상력`을 대치시켰지만, 궁극적으로는 (전통적 개념의) 이성이 상상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성`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초합리주의 논리`를 수립하였다. 이는 자유와 자율의 상관관계와도 같은 논리이다. 즉 자유로운 상상은 그냥 흩어져 카오스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 영역인 이성의 우산 아래에서 자율 즉 새로운 질서 속으로 다시 모인다. 아울러 Bachelard는 의식과 무의식의 사이에 `몽상의 의식`을 위치시킴으로써 몽상과 상상으로부터 이성이 더 윤택해질 수 있다는 논리를 폈다. 이로써 그의 `상상력의 변증법`이 탄생한다. `상상력의 변증법`을 통하여 점점 더 윤택해지는 이성 아래에서 상상력은 심상(image)을 계속 새롭게 창조해 낸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에게 (훌륭한) 이미지가 잘 창조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상상력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때 `가치의 문제`가 남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Bachelard의 상상력 이론은 `대화의 철학`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e 21 century is the era of `creativity`. Imagination does not always lead to creativity. However, imagination must be a precondition for creativity. we need to educate and develop personal imagination in order to devote to the social desire for creative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philosophy, Bachelard`s philosophy was heterodoxy. First of all, he opposed `imagination` to the concept of "reason". However, he rejected the dichotomy. Thus, imagination -according to Bachelard-is not the opposition of reason, but the driving force of life. In addition, he did not reject reason itself. This reason (in the traditional concept) is able be enriched and matured through imagination. The contribution of Bachelard is the discovery of reason which can be flexible and open through the movement of imagination. This is the same with the logic to b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autonomy. Namely, the free imagination does not scatter in the chaos, but gather under the reason of transcendental realm in autonomy again. Meanwhile, the consciousness of Bachelard is that of a daydream which is positioned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t is the centre of consciousness, which is regarded as a dreaming consciousness. Imagination comes from a daydream and images are formed and deformed by imagination. This process of forming and deforming images continues to repeat owing to imagination. For Bachelard, this process is the `dialect of imagination.` Images continue to be constructed and destructed in this process. It is the process of creation. Thus, we have to educate imagination for students in order to have and creative good images for their lives. However, the rest issue for imaginative education deduced from Bachelard`s philosophy is the problem of `(general) valu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hilosophy of Bachelard needs to be compensated and completed by the philosophy of dialogue. Through dialogue our images are able to be reviewed, revised and reformed. Our Dialogue reinforces the intersubjectivity of personal images in the meaning of Bachelard.

      • KCI등재후보

        오산시 진로선택 지원 “얼리버드 사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사례 분석

        이상오(Lee Sang O) 한독교육학회 2018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3 No.1

        교육혁신도시를 목표하는 오산시에서는 관내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들 중에서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자체가 지원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서 2014년부터 진로선택 지원 프로그램(“얼리버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實行硏究)로 진행된다. 실행연구란 일종의 ‘현장연구’(field study)로서 현장밀착형의 학문적 연구로서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프로그램의 개선’이다. 연구의 결과는 불완전한 요구분석을 토대로 계획안이 수립되고 이에 준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결과적으로 많은 반성적 성찰거리를 남겨 놓게 되었다. 이러한 반성적 성찰의 과정이 제대로 피드백될 때 2017년도는 보다 성숙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프로그램 운영 결과에 대한 최대의 관심과 난제는 앞으로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의 프로그램 중도이탈율을 낮추고 졸업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전통을 가진 선진국들의 진로교육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프로그램 진행 중 학생들의 ‘중도 진로변경’을 자유롭게 보장하는 시스템을 도입 운영한지 오래되었다. 즉 선진국의 진로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관심과 호기심 그리고 심지어는 자신의 꿈과 끼 내지 적성과 재능, 능력도 늘 가변적이기 때문에, 진로교육은 이러한 학생들의 취향 변화와 눈높이에 맞추어서 진로변경의 노선을 항상 다양하고 용이하게 열어 두어야 한다는 취지의 ‘진로교육 철학’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얼리버드 사업은 이러한 사실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Osan City, which aims to become an educational innovation city, operates a career selection support program (“Early Bird Project”) from 2014. For this project, Osan City select 1st and 2n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in the city and support them as ‘after school program’. This study i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for this program. Action research is a kind of ‘field study’ which is a field-based academic research and is also a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ement of field program through action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incomplete needs, and as a result, th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resulting in many reflections. 2017 will be able to plan and implement a more mature program when this reflective reflection process is properly fed back. The greatest interest and challenge for the results of the 2016 program is to plan for and improve the graduation rate by lowering the drop-out rate of the students through ‘planning and operation of qualitatively improved programs’ in the future.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the developed countries with long traditions have long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by the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freely change their “career in the middle” during the program. In other words, career education in the developed countries is always in the interest of students, curiosity, and even their dreams, talent, abilities, which are constantly changing. Therefore, career education has established and applied ‘Career Education Philosophy’, which aims to always open various and easy lines of career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se students’ preference change and eye level. In this regard, the Early Bird project needs to consider this fact carefu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