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단락이행의 용접 스패터 발생량 예측

        이상아,유회,서강명 대한용접접합학회 2023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41 No.1

        In this study, a machine learning method is proposed to predict the weld spatter generation rate, regardless of the type of short-circuit waveform. Short-circuit waveform data are collected at a high sampling rate of 10–20 kHz, and then, compressed using a new preprocessing method to effectively process the data at a high sampling rate. To predict the spatter generation rate, the welding waveform is converted into an image using the proposed data pre- processing method, and the converted data are fed into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parametric study on data augmentation and data resolution is conducted concurrently to enhance the prediction accuracy with limited amount of data.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상아,최진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과 함께 환경 조절 전략과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포함한 것으로, 각 전략의 세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진행되었다. 중재는 연구 대상 아동들이 내원하고 있는 아동발달센터 내 일대일 중재가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실에서 15회기씩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 ‘시작 발화’와 ‘반응 발화’를 포함하는 자발화와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진술하기, 주관적 진술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중재, 유지와 일반화를 위한 중재 후 기초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전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과 중재 후 기초선에서 나타난 연구 대상들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It’s More Than an M-shape: The Political Economy of Female Non-Standard Workers in the Republic of Korea

        이상아,Shorie Park,이승윤,Jeong-eun Cho,Sophia Seung-yoon L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entrance of female workers into the Korean labor market. We highlightthat women in their 40s have the highest rate of employment among all female workers and that alarge proportion of these women are entering into non-standard employment. In approaching thisquestion, we examine the political economy of this phenomenon by first discussing the demand sideof the Korean labor market using the gendering of the varieties of capitalism argument and thenthe supply side with the work–life balance argument. When examining re-entrance into the labormarket, women with general skills with lower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both found it morefeasible to re-enter the labor market as non-standard workers. While work–life balance is a prominentreason for women’s choice of opting out of the labor market, work–life balance choice matteredless for wome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as non-standard workers in their 40s and 50s butinstead firmly based skill formation mattered more. In addition, the retail service industry is suggestedto absorb a large number of female workers with lower skill levels who would have had difficultiesin re-entering other male-oriented companies.

      • 다양한 요철 형상에 대한 고압터빈 노즐 냉각유로의 냉각 성능 최적화

        이상아,이동호,김규홍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4

        고압터빈 노즐의 냉각성능향상을 위해 내부 냉각유로에 설치되는 요철의 형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대상이 되는 내부유로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최적화 대상으로 경사요철, V-형 요철, A-형 요철 등 3종류의 요철 형상을 고려하였다. 각각의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 3~5개의 형상변수가 사용되었고 실험계획법을 이용해 크리깅 근사모델을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근사모델과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해 최적해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요철 형상에 대해 낮은 압력손실과 높은 열전달 성능을 가지는 파레토 선단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요철 형상 별로 비교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s shape optimization of rib turbulator on the internal cooling passage having triangled cross-section of high pressure turbine nozzle. During optimization, various type of rib including angled, V-shaped, A-shaped are considered to improve cooling performance. Design of Experiment, Kriging surrogate model and genetic algorithm are utilized to draw a Pareto front which has low pressure drop and high heat transfer coefficient at the wall and optimization result of each type of rib turbulator are compared.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 신문기사 분석: 조기선별과 조기중재를 중심으로

        이상아,최범성,최진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the text mining method. Method: The analysis targets 39 newspaper articles from Jan. 2014 to Sept. 2019. Newspaper articles were ected through Big KindsⓇ and analyzed through Textom and UCINET. Result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terest in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maintained. Second,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rm was commonly used after the activ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Act. Third, the wor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Fourth, in the N-gram analysis, the relationship of upper related words was shown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 ch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amil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brain’. Fifth,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influential words appeared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 and ‘therapy’. Sixth, the CONCOR analysis has divided the major clusters by the 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and suppor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rly intervention’ and ‘government policy’.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a way forwar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중재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우리 사회의 인식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분석대상은 2014년부터 2019년 9월까지의 신문기사 39건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에서 수집하고, 텍스톰과 UCINET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 사회는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중재와 관련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에 대한 용어는 발달장애인법이 통과된 후 범용적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요 단어 중 ‘발달장애’가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했다. 넷째, N-gram 분석에서 상위의 연관 있는 단어의 관계는 ‘발달장애-아동’, ‘발달장애-가족’, ‘발달장애-뇌’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미연결망 분석에서 영향력 있는 단어는 ‘발달장애’, ‘아동’, ‘치료’로 나타났다. 여섯째, CONCOR 분석으로 ‘발달장애 특징과 지원’, ‘조기중재’, ‘정부정책’의 범주별 주요 클러스터가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주재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의 인식을 탐색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을 이용한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의 정적 공탄성 해석에 관한 연구

        이상아,박경현,김정화,전상욱,이동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4

        본 연구에서는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 모델에 대해 공력 축소모델(Reduced Order Model;ROM)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를 이용한 정적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Full order 공력해석을 통한 Snapshot을 추출하기 위해 3D Euler Solver를 이용하였으며, 이들 Snapshot들을 통해 날개 주위 유동장의 거동을 모사하는 POD의 기저벡터를 계산 하였다. 계산된 기저벡터는 POD의 공력해석 검증과 정적 공탄성 해석을 위한 공력-구조 연계해석에 적용 하였다. 해석대상이 된 날개는 구조적 대변형이 발생하는 유연날개 구조를 가지므로 비선형성이 고려된 정적 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는 full order 3D Euler Solver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POD를 이용한 정적 공탄성 해석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static aeroelasticity analysis using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 is performed for HALE aircraft wing. Three dimensional Euler equation is solved to exclude snapshot data of the full order aerodynamic analysis, and then a set of POD basis vectors reproducing the flow field around the wing is calculated from these snapshots. The POD basis is applied to validation of POD and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or static aeroelasticity. Because the wing analysed in this study has characteristic of flexibility of large deflection, the study has performed with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FEM)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full order analysis and accuracy and efficiency of POD are confirmed.

      • KCI등재

        역할창조과정에서의 매체 특성에 따른 화술훈련 연구

        이상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14 연기예술연구 Vol.6 No.1

        오늘날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보급이 확대되고 방송과 인터넷이 만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공연형태의 새로운 매체들이 계속 출현하고 방 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늘어나면서 연기자의 직업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연기자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연기자가 갖추어야 할 연기적인 요소 또한 중시되는데 그 중에 서도 화술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연기자의 화술은 자신의 말이 아닌 극중 인물의 언어를 가상의 공간 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자신의 상대역 뿐 아니라 제 3의 인물, 즉 관객 또는 TV를 포함한 모든 영상분야를 시청하는 이들에게 내용과 줄거리, 감정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상의 말하기와는 다른 영역임을 인식 하고, 연극연기와 카메라연기에서 화술에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매체의 특성에 맞는 화술을 보다 효과 적으로 구사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기에 있어 연극과 카메라라는 두 매체는 화술의 구사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들 뿐 만 아니라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방식, 작업환경과 방법에서 차이점을 인식하고, 거듭되는 훈련을 통 해 다양한 캐릭터의 창조적 개성과 자발적 충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운용하여 진실 된 화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cultural art industry of our society has changed rapidly. That means the condition of the actors also has done so.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media, technical elements and given situation affect performer how to do the intensity of expression and feeling continuous and cut off due to the interference. In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the performer should change or configure the different style of acting and narrativ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is to help the perform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utual media when the he/she creates the role and present narrative more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o they both have common in training in way of making sound,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nar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how to deliver the method or accept the media. The performer can make more truthful and accurate narrative by training constantly for recognizing the technical mechanism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s such, this study shows that at the present time, the performer who acts to a wide variety of the media, there are some differences when the performers express their narrative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lso this study is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education that teaches the differences. Furthermore,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for the actors and make efficient narrative needs more subdivided acting direc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 KCI등재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

        이상아,안지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instances of the teaching-learning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literature. In the pre-existing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art was utilized in an instrumental capacity under the justif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convergence in art education must be applied when it actually contributes to teaching-learning by linking with areas outside of art. In view of this,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 rather, it examines what significance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might hold vis-à-vis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aspect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is often conducted in the form of transferring knowledge regarding artworks. This is because, based on the work itself, viewers find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work’s context and to appreciate it in an independent manner. Focusing on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that gives rise to difficulties in appreciation – i.e., non-representation – and concretizing it through omission, symbolic coloratio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these elements may be understood more effectively via convergence with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ctivity of understanding beforehand, via literary material, about these elements and how they accord with the overall significance of a work may serve as scaffolding for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Because language is used as the material, the rpretative context of literary texts that are characterized as being relatively more descriptive can be transferred to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play a scaffolding role. As such, the convergence of art and literature can help foster the capacity for active appreciation by facilitating access to the experience of independent appreciation. 본 연구는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융합 교육 담론에서 미술은 융합 교육 시행의 당위 아래 도구적으로 활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융합은 미술 외의 영역과의 연계가 교수‧학습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아닌, 융합 교육에 있어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현대미술 감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미술 감상 교육은 작품에 담긴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감상자가 그림 자체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감상자들이 감상 시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현대미술의 주된 특징 중 한 가지인 ‘비재현성’을 중심으로 이를 생략, 상징적 색상, 구도와 배열로 구체화해본다면 이 요소들은 문학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해당 요소들이 전체적 의미와 조응하는 바를 문학 제재를 통해 선(先)이해하는 활동이 현대미술 감상의 비계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제재로 하였기에 상대적으로 설명적인 특성을 지니는 문학 텍스트에서의 해석 맥락은 현대미술의 감상에 전이되어 비계로 작용될 수 있다. 이처럼 미술과 문학의 융합은 주체적인 해석 경험에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능동적인 감상 능력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