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공학에 의해 개발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에 의한 4-히드록시벤질 알코올 생산

        부연 ( Bu-yeon Kim ),정혜빈 ( Hye-bin Jungji-yeong Lee ),이지영 ( Lenny Ferrer ),페러레니 ( Henry Syukur Purwanto ),푸완토헨리슈쿠르 ( Jin-ho Lee1 ),이진호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2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8 No.4

        4-Hydroxybenzyl alcohol (4-HB alcohol)은 두통, 경련 행동, 현기증과 같은 신경계 질환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마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 중의 하나이다. 대사공학을 통해 4-hydroxybenzoate (4-HBA)를 생산하는 균주로부터 4-HB alcohol을 생산하는 재조합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개발하였다. 먼저 4-HBA를 생산하는 APS809로부터 염색체 내 NCgl2922 유전자에 Methanocaldococcus jannaschii 유래의 aroK 유전자를 삽입한 APS963을 개발하였다. 4-HBA의 카로복실 산을 4-hydroxybenzaldehyde (4-HB aldehyde)로의 환원을 촉매하는 Nocardia iowensis 유래의 car 유전자를 염색체에서 발현하는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NCgl1112 유전자 일부 단편에 car 유전자가 삽입된 GAS177를 개발하였다. 더 높은 농도의 4-HB alcohol을 생산하기 위해 4-HB alcohol을 aldehyde로 산화를 촉매하는데 관여하는 creG 유전자를 염색체상에서 제거된 GAS255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chorismate를 4-HBA로 전환하는 효소의 유전자 ubiC<sup>pr</sup>을 pcaHG에 삽입된 GAS355를 개발하였으며, 80 g/l 포도당을 함유한 삼각플라스크에서 발효하여 생산성을 평가한 결과, 2.3 g/l 4-HB alcohol이 생산되었으며 부산물로 0.32 g/l 4-HBA, 0.3 g/l 4-HB aldehyde가 축적되었다. 4-Hydroxybenzyl alcohol (4-HB alcohol) is one of the major active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beneficial effects on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headache, convulsive behavior, and dizziness. Here, we developed a metabolically engineered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 able to produce 4-HB alcohol from 4-hydroxybenzoate (4-HBA). First, the strain APS963 was obtained from the APS809 strain via the insertion of aroK from Methanocaldococcus jannaschii into the NCgl2922-deleted locus. As carboxylic acid reductase from Nocardia iowensis catalyzes the reduction of 4HBA to 4-hydroxybenzaldehyde (4-HB aldehyde), we then introduced a codon-optimized car gene into the genome of APS963, generating the GAS177 strain. Then, we deleted creG coding for a putative short-chain dehydrogenase and inserted ubiCpr encoding a product-resistant chorismate-pyruvate lyase into the pcaHG-deleted locus. The resulting engineered GAS355 strain accumulated 2.3 g/l 4-HB alcohol with 0.32 g/l 4-HBA and 0.3 g/l 4-HB aldehyde as byproducts from 8% glucose after 48 h of culture.

      • KCI등재

        A Cross Cultural Study on STEAM Education in Korea and United States

        Lee, BooYun(이부연),EunJung Chang(장은정)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STEAM education in Korea has originally begu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udents avoiding science and mathematic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TEAM education lied on resolving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 of severe examination and entrance-centered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Korean educators believe STEAM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global literacy of students in their future of a new global era(Yakman & Lee, 2012). In the US, STEM education has been a major component to 21st century learning, and the idea of moving STEM to STEAM is a hot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because the arts have the ability to open up new ways of teaching, learning, and think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STEAM education both in Korea and Unites states as one of the exemplary educational frameworks for the 21stcentury. This study employs cross-cultural research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findings of the accumulated theory and practice on STEAM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provide distinct standards for art educators to understan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arts in a STEM education and STEM-integrated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ring up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bout what developments, improvement, and changes are needed for the better direction towards STEAM edu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과 융합 STEAM교육을 통한 두뇌발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이부연(Lee, Boo 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해외의 STEM교육이 과학에 관련된 학과목으로 구성하여 과학과 관련된 창의적 인재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는 반면 한국의 STEAM교육은 융합형인재교육으로 칭하며 과학과 교육과 더불어 예술교육을 통한 융복합적 인재 양성이라는 차별화된 교육적 목표를 표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술과 융합 STEAM교육을 통하여 두뇌발달이 어떤 면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며 특히 미술과 융합STEAM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학생의 발달 중 두뇌발달의 중요성에 관해 연구하므로 교육적 효율성의 근거를 본 연구를 통해 입증하고자 한다. 앞으로 STEAM교육에서 미술과의 활용이 학생의 두뇌발달과 연관하여 그 중요성을 갖음을 알고 미술과의 활용이 그저 시각적 결과물로서만 아니라 학생의 발달의 측면에서 필수적 요소임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STEAM교육에서 미술과의 활용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을 기대한다. 미술과 융합 STEAM교육을 통한 두뇌발달은 과학과 미술의 융복합적 교육을 통해 좌뇌와 우뇌의 기능을 발달시켜 균형 있는 지능과 인성이 고루 발달된 인성교육에 목적을 둔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정지상태보다 움직임을 가질 때 두뇌의 발달이 활발해 진다고 보고 STEAM교육에서 움직임이 있는 미술과의 통합으로 두뇌가 최상의 조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인간은 각자의 능동적 인지과정이 달라 답을 얻기 위한 도구를 달리 활용하며 미술과 융합 STEAM교육을 통해 학생의 다양한 신경 가소성을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드높일 수 있다. 학생의 학습능력향상은 능동적 학습에서 보다 효율성을 갖으며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학습 등 전문가들의 일과 유사한 활동을 교육프로그램으로 제공함으로 학생들에게 실제 전문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접근법과 팀워크 수업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술과 융합STEAM교육을 통한 과학, 기술, 공학, 미술, 수학의 다중감각을 활용한 수업의 진행은 학습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흥미롭게 기억한 것은 비교적 영구적으로 기억되며 감정을 주고받는 것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볼 때 미술과 융합 이미지는 뇌가 이해하고 기억하기 용이한 방법의 하나이다. 미술을 통하여 개념을 시각화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효과를 높이는 교육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STEAM교육은 흥미로운 미술과목을 접목함으로 비교적 영구적으로 기억될 수 있는 학습을 시도할 수 있다. 미술이라는 흥미로운 과목을 통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학과목의 근접발달영역을 파악하고 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겠다. 미술과 융합 STEAM교육을 통해 학생의 두뇌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통합적이고 폭넓은 사고력을 두루 갖춘 미래지향적인 두뇌를 보유한 인재양성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international STEM education has a goal of creative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which are related to science and support from national level by composing science related subjects, Korean STEAM education is called itself as fused form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claims to have an education goal of differentiated education so called fused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art education in addition to national level support and scientific education. This paper tries to verify how fusion brain development which is a haracteristic of fused talent is conducted, and brain development of Korean STEAM education and brain development related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tudying importance of brain development among developments of students, which can be done through art and fused STEAM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brain development through art and fused STEAM education has a goal of education of humanism with balanced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by developing functions of both left and right brains through fused education of science and art. Students’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has more effectiveness from active learning and as active and practical learning will provide activities as educational program similar to expert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actual professional parts and through various approaches and teamwork classes, educational effects will be increased. Through art and fused STEAM education, left brain typ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right brain type thoughts and extensive perspective education, and right brain typ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left brain thoughts to enable them to have extensive perspectives. By providing a chance to maximize students’ function of brain through arts and fused STEAM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have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with future-oriented brain with comprehensive and extensive thinking skills just like Steve Jobs.

      • KCI등재

        The Development of an Art-centere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rogram Based 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Lee, Boo Yun(이부연),Hyun, Eun Ryung(현은령)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rogram, which has lately drawn much attention as a way to foster the creative elit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velop a workable art-centered STEAM program on the basis of three basic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s, which were spiral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in an effort to nurture the convergence elite in a systemized manner. During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it"s found that art subject was more characterized than any other subject of arts by "visibility," which is the most powerful stimulant to the five senses of learners. As there are various colors and forms in the output of art, it was possible to produce the somewhat stiff and difficult educational contents of mathematics in a manner to be intriguing and appropriate at learner level, which served, in turn, to facilitate the attainment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objectives.

      • KCI등재후보

        시각문화의 발달에서 오는 문제점과 이의 해결 방법으로서의 미술교육 방안 연구

        이부연 ( Boo Yun L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1

        본문시각문화의 발달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특히 한국은 IT강국으로 또한 시각문화의 혁명이라 할 정도로 그 발달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각문화에 관한 이론과 연구는 스베틀라나 앨퍼스(Svetlana Alpers)를 선두로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화 되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미술 영역의 진화로 미술의 새로운 장르가 시각문화의 형태로 새롭게 구축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시각문화의 발달은 청소년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각문화의 과도한 노출로 인한 중독, 범죄, 정신적 병리 현상에 이르기까지 시각문화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각문화의 재 개념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 개념화로서의 시각문화는 그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회복의 영역 즉 BT와 ET의 문화를 포함한 웰빙 시각문화, 그린 시각문화롤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도한 과학과 시각문화의 발달과 활용으로 오는 인간 피폐에서 오는 회복을 시각문화의 재 개념화를 통한 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 그 해결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The visual culture is a worldwide trend in the art world. Korea, in particular, as one of the strongest countries in IT field, has undergone rapid development in this field, and we call this movement as revolution of the visual culture. The study of the visual culture and its theory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by Svetlana Alpers and is studied by many other scholars as the trends of the society are changed. The new genres of the visual cultures are being created today and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as technology and art are evolved.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has profound effect on the youth of today. We need to re-conceptualize visual culture education to solve problems that are caused by rapid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such as internet addition, rise in crime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e re-conceptualized visual culture needs to extend its scope to the field of BT and ET, as well as in "wellness" and "green" sector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solutions against the lessening of the humanities caused by overly developed scientific techniques and visual culture.

      • KCI등재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에서의 표현 상태 비교

        이부연(Boo yon Lee),장미경(Mi kyung Jang)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5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6 No.2

        In this article, comparisons between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in psychological themes and stories expressed in sandplay therapy about their family and self/others have been mad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psychotherapeutically intervention for the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South Korean culture. The 15 adolescents were allocated in each group. The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started to live in South Korea since less than 5 years ago and they all had already experienced parents absence when they still lived in North Korea and murderous threats when they were defecting North Korea through foreign countries. Total 4 sandplay sessions were individually given to each subject. As a result,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less frequently made vegetative/animal scenes, human/ animal scenes and more frequently made destroyed than South Korean adolescents in overall atmosphere. South Korean adolescents more frequently made paired relationship, family, self-protective/self-assertive relationship, cooperative/constructive relationship in terms of structuring of relationships in shape of human or animals. In use of sand,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tended to touch sand in the beginning of sessions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touched sand more during the sessions and the beginning of session.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more frequently made very empty sandtray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in terms of use of tray.

      • KCI등재

        한국 중학교 교과서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이부연 ( Lee Boo 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2 No.-

        한국의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교육은 1956년 미국의 Peobody 교육사절단의 미술과 공예활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현대적인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교육의 발단이라고 볼 수 있다. 중학교 교과서의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교육을 살펴보면 각 학년별 미술과 교과서에서 중학교 1,2학년 교과서보다 3학년 교과서에서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의 비율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 대부분의 중학교 교과서에서 순수미술을 다루고 있는 비율이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을 다루고 있는 비율보다 높은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교과서의 집필자의 전공이 교과서의 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전공자들의 학교 교육에 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고 하겠다. 현 교과서에서 중학생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하고 있는 첨단 미술의 분야가 거의 다뤄지고 있지 않은 것은 현재 사용되고있는 미술교과서가 중학생들의 생활과 많은 거리가 있는 것으로 들어났다. 이에 해당하는 영상교재가 개발되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디자인 및 공예디자인교육은 한국의 국가적 경제발전을 위하여 더욱 심도있게 다뤄져야 할 것이며 현실감있는 교육으로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부단한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eobody educational support in 1956 from America influenced a lot to start modern Korean design and craft design education. In Korean Junior high Art textbook, in 3rd grade art textbook in junior high school they deal with design and craft design the most comparing to other grades. In most of the Korean Junior high Art text book, the percentage of fine Art is more than the percentage of design and craft design. This is come from the fact that most of the writers` majors of Korean Junior high school Art textbook are fine art. Korean designers and craft designers need to take attentions more of writing Art text book in Korean Junior high school. In Korean Junior high school Art textbook, We hardly find the high technique art which Junior high students are accustomed to and enjoy in thier present daily lives. Developing high technique art text book materials for student is necessary. Design and craft design should be dealt with in Korean junior high school Art text book more seriously and developed not only for students` rapidly changing lives, but also for Korean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