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학령 전기 아동의 의문사 어휘 발달 양상

        강혜미(Kang Hyemi),이봉원(Yi Bongwon) 한국언어학회 2017 언어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ts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type and frequency and the functions of ‘Wh’-words from 2 to 5 years old. The participants were 40 ordinary children of even genders from 2 to 5 years old. 15 ‘Wh’-words were analyzed for the number of the type and token frequency by age and gender. Each token was classified as interrogative, indefinite and discourse fun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the types of ‘Wh’-words increased by the age and the gender. Token frequency of ‘Wh’-words increased by the age of 4 but decreased in 4-5 years old, and the gap decreased in 5 years old. (2) Interrogative function was used the most, indefinite function the second and discourse function the third. The difference of interrogative function and indefinite function in its number is noticeable by age. Gender only affects on its number in interrogative function. It is inferred that the asking questions using ‘Wh’-words decrease as the age rises, because the number of the types increased according to age. However, token frequency decreased around 4 or 5 years old. This shows that ‘Wh’-words are used as indefinite and discourse function as well as for interrogative function. Also, this shows that production of ‘Wh’-words precedes comprehension of them.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의 발화에 나타난 보조용언 사용 양상

        이나래(Lee, Narae),이봉원(Yi, Bongwo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보조용언은 문법 발달의 지표인 동시에 양태적 정보를 통한 화자의 의사소통 의도를 보여 주는 지표로도 볼 수 있는데, 의사소통 의도 표현 능력은 초기 화용 능력의 기초로 언어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조용언 사용 양상은 언어발달 시기의 아동에 대한 임상적 진단 및 평가와 중재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학령전기 아동이 산출한 보조용언의 양적 정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2세부터 5세까지의 학령전기 아동들의 일상 발화를 수집한 코퍼스를 대상으로 보조용언의 유형 및 사용빈도, 그리고 보조용언의 기능별 하위범주의 사용양상을 살펴보았다. 학령기 아동의 코퍼스에서는 총 26가지 유형의 보조용언이 관찰되었는데 연령과 성별에 따른 보조용언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비교한 결과, 연령은 유형 수와 사용빈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 보조용언의 하위범주별로는 양태 기능의 보조용언이 가장 많이 출현했으며, 상, 부정, 피사동 순으로 사용되었다. 연령은 양태와 상 기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으며, 성별은 양태에서만 유의미하였다. 양태 범주의 비중이 높은 것은 초기 언어발달의 특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uxiliary predicates used by pre-school-age children in their daily life, as well as the patterns and tendencies in terms of their forms and frequency of use.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subcategories of auxiliary predic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forms of auxiliary predicates used by preschool childre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ge of the subject, with age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typ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 of each subcategory of auxiliary predicates showed that the modality subcategory was by far used the most, followed by aspect, negation, passive, and causative. The total usage frequency of the modality and negation increased gradually up till the age of four and then decreased. Conversely, the aspect, causative, and passive predicates increased in their frequencies as the child grew ol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