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이홍기 편 ?조선전설집?(1944)에 대하여

        이복규 ( Bok Kyu Lee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이 글은 이홍기 편 ?조선전설집?(1944)의 존재 양상을 자세히 알리고,이것이 한국 최초의 우리말 전설집이라는 사실을 주장한 논문이다. 그간에는 최상수의 ?한국민간전설집?(1958)을 최초 전설집이라고 인식해왔는데 그렇지 않다는 새로운 주장을 펼쳤다. 최상수의 것에 비해 그 완성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말로 엮은 최초의 전설집인 것이 분명하며, 도별로 엮은 점, 초기의 구비문학 연구자 고정옥에게 적극 활용된 것도 명백한 사실임을 밝혔다. 이홍기의 전설집은 모두 167편의 전설을 싣고 있으며, 지역별로 자료를 배열하고 있다. 경기도 10편, 충청도 7편, 전라도 6편, 경상도 10편, 황해도 8편, 평안도 9편, 강원도 5편, 함경도 11편이다. 수록 전설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지명(地名19편), 암석(8편), 고승(4편), 원령(怨靈4편), 씨족시조(3편), 총묘(塚墓3편), 불사연기(佛寺緣起3편), 용(3편), 수업(修業3편), 지소(池沼2편), 열녀(2편), 불상(佛像2편), 힘내기(힘경쟁담 2편), 보은형(2편), 용천(湧泉1편), 미혈(米穴쌀나오는 구멍 1편), 정자(亭子1편), 임진왜란(1편), 풍수(風水1편), 의견(義犬1편), 효자(1편), 기타(1편)이었다. 가장 많은 것이 지명전설(19), 그 다음이 암석전설(8)임을 알 수 있었다. 각각 전체의 28퍼센트, 12퍼센트를 차지한다. 이 같은 양상은 최상수의 책에 실린 전설의 유형 분류 결과와 유사하여 흥미롭다. 다른 자료집(북한에서 간행한 설화집 및 최상수가 펴낸 전설집)과 비교한 결과, 최상수의 전설집에는 없는 전설들이 이 전설집에 실려 있었다. 서로 중복되어 실려있는 자료라 할지라도 차이가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what Joseonjeonseoljip (1944), the anthology of Korean folklore compiled and edited by Lee Hong-gi, consists of and to establish the fact that it is Korea`s first Legends anthology written in Korean. A new claim is proposed against the Anthology of Korean Legends (1958) by Choi Sang-su that it is not the first anthology. Although compromising the degree of perfection, the collection is assuredly the first Legends anthology written in Korean and edited by a Korean, characterized by being compiled provincially and being actively quoted by Ko Jeong-ok, the first-generation scholar of oral literature. This book contains 167 stories in total, arranging them under the provincial titles: 10 stories for Gyeonggido, 7 for Chungcheongdo, 6 for Jeollado, 10 for Gyeongsangdo, 8 for Hwanghaedo, 9 for Pyeongando, 5 for Gangwondo, and 11 for Hamgyeongdo. To classify the types of folklore covered, there are 19 stories about geographical names, 8 about rocks, 4 about old monks, 4 about spirits with enmity, 3 about clan`s ancestors, 3 about graves, 3 about building a buddhistic temple, 3 about dragons, 3 about apprenticeship, 2 about bodies of water, 2 about fidelity, 2 about buddhistic statue, 2 about wrestling, 2 about gratitude, 1 about fountain, 1 about a hole for rice, 1 about pavilion, 1 about Imjin War, 1 about feng shui, 1 about a faithful dog, 1 about a filial pious son, and the rest. Legends about geography rank first, followed by those about rocks, which account for 28 percent and 12 percent respectively. This is interesting in that the classification is similar to that of Choi Sang-su. When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s such as the folklore anthology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that of Choi Sang-su, this book introduces more stories. Even the overlapped stories differ in textual terms. First of all, they differ in size as Lee`s stories are much longer. Secondly, Lee`s stories use more paragraphs. All these suggest that Lee and Choi very likely used different sources when they compiled their materials. The North Korean version turned out to copy virtually everything of Lee`s except that such surrealistic, much too fantastic, or superstitious elements as might contradict the North Korean ideology have been eliminated. This is a pioneering study of Lee Hong-gi`s Joseonjeonseoljip. Provided what the researcher claims in this study is valid, certain statements about ``the first folklore anthology`` ought to be corrected. Additionally, those issues should also be addressed properly such as who on earth Lee Hong-gi the compiler was and what value the stories themselves might retain.

      • KCI등재

        『이춘기일기』(1961~1990)에 나타난 근대적 일상생활

        이복규(Lee, Bok-kyu)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9 民俗硏究 Vol.0 No.38

        이 연구는 『이춘기일기』(1961~1990)에 나타난 일상생활의 근대적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주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일생의례, 교통·통신으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생의례의 경우, 혼인례, 상장례 등 일생의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혼인례에서, 신부의 집이 아닌 제3의 장소인 교회나 예식장에서 예식을 치르고 있으며, 목사를 주례로 모시고 있는 점은 근대적인 변화다. 하지만 피로연은 신부나 신랑의 집에서 가지고 있어 전통이 지속되고 있다. 상장례에서, 전반적인 절차는 유교식 전통이 유지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기독교적인 변용이 일어나 근대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교회가 상장례를 주관하는 주체로 참여하고 있는 점, 여성도 명정에서 그 직함과 이름을 밝히고 있는 점, 흉례든 길례든 기본정신만 유지하되 형편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점 등이 그렇다. 특히 여성의 명정에서 보이는 평등주의는 기존의 가부장적이거나 남녀차별적인 문화를 탈피한 것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둘째, 교통·통신의 경우, 전보, 완행열차, 공동 전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고속열차, 휴대폰이 등장한 지금에 비하면 느린 수단들이지만, 도보나 말을 타고 다니거나 인편으로 소식을 전하던 전근대와 비교하면, 발전한 양상이다. 이상의 내용을 총괄해 보면, 『이춘기일기』에 나타난 1960년대 초반, 익산 농촌 지역의 일상생활은 전통의 지속과 변화가 혼재하면서도, 근대적 변모 쪽으로 확실하게 달라져 가고 있었다고 보인다. 일생의례의 경우, 이춘기의 가정은 특히 기독교의 영향 아래 이런 변화가 더욱 촉진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odern features of daily life appeared in ‘Lee Chunki’s diary’. The reviewed results are on the lifetime rites,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so on mainly in early 1960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lifetime rites, the aspects of marriage, funeral rites, and so on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marriage, the ceremonies were held not in the bride’s houses but in the third places such as churches or wedding halls and inviting ministers as the officiants were the modern changes. However, wedding receptions were held in bride or bridegroom’s house demonstrating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In the funerals, the Confucian tradition was maintained in overall processes, yet, the Christian changes in the detailed contents were occurred demonstrating the modern aspects. They showed that the church participated in funerals as the main body, women revealed their names and titles in the funeral banner, and flexibility was allow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ough the fundamental mind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rites whether they were good of bad. Especially, equalitarianism shown in the women’s funeral banner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as breaking the discriminating cultur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in case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legram, local train, and common phone were reviewed. Compared to the present bullet train or cellphone, the are slow tools, however, they were the advanced features compared to the pre-modern period when the news had been distributed by walking, horse-riding, or the person. To sum up the above, it appears that early 1960s on Lee Chunki’s diary, the daily life of Iksan rural areas were clearly changing toward a modern change, while continuing and changing traditions. Lee’s family is believed to have promoted this change,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 KCI등재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odium fragile (SURINGAR) HARlOT in Korea Using Allozymes

        이복규,박소혜,허윤성,주무열,최주수,허만규,Lee Bok-Kyu,Park So-Hye,Heo Youn-Seong,Ju Mu-Teol,Choi Joo-Soo,Huh Man-Kyu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2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was carried out in the Codium fragile using allozyme analysis. Although this species has been regarded as a ecologically and economically important source, there is no report on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llozyme varia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four Korean populations of this species. Of the 15 genetic loci surveyed, nine (60.0%) was polymorphic in at least one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was high at the species level ($H_{ES}$=0.144), and, that of the popula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H_{EP}$=0.128). Nearly 87% of the total genetic diversity in C. fragile was apportioned within populations. The predominant asexual reproduction, population fragmentation, low fecundity, geographic isolation and colonization process are proposed a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low genetic diversity in this species. The indirect estimated of gene flow based on $G_{ST}$ was 1.69. The moderate level of gene flow in C. fragile populations is mainly caused by thallus developed from isolated utricles dispersal via sea current. 알로자임 분석을 이용하여 청각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종은 한국내 생태적, 경제적 중요한 자원이지만 유전적 분석이 수행되지 않았다. 전분 젤 전기영동으로 이 종의 한국내 네 집단에 대해 알로자임 변이와 유전 구조를 조사하였다. 15개 대립유전자좌위에 대해 9개 좌위(60.0%)가 적어도 한 집단에 대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종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높았다($H_{ES}$=0.144). 집단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비교적 낮았다($H_{EP}$=0.128). 청각에서 전체 유전적 다양도의 87%는 집단내에 내포되어 있었다. 청각의 번식방법은 유성생식보다는 무성생식이 우세하고, 집단의 단절, 낮은 자손의 생성, 지리적 격리, 그리고 정착과정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조사한 청각 집단에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1.69로 평가되었다. 이 값은 보통 수준의 유전자 흐름으로 해류를 통한 이동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이춘기의 30년(1961∼1990) 일기에 대하여

        이복규 ( Lee Bok-kyu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익산 지역에서 농부로 살았던 이춘기(1906~1990)의 30년(1961~1990) 일기 내용을 몇가지 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춘기 30년 일기 중 26책이 현재 출판사인 학지사에 인계되어 소장중이다. 30책 중 4년 치인 1964, 1965, 1967, 1968년 분은 분실되어 없다. 삽화를 그려 넣었다는 점, 회고록을 겸한 장편 일기도 있는 점, 메타 일기도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둘째, 이춘기의 가정생활에서 주목되는 것은 주부의 이른 죽음이 가정에 몰고 오는 후유증이 얼마나 심각한가 하는 점이. 특히 늦둥이 두 아들을 남기고 간 상황에서, 혼자 남은 배우자가 느끼는 그리움은 물론 어린 아이들의 양육에 대체할 길 없는 결손과 상처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아울러 재혼을 얼마나 신중하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실패의 사례를 통해 생생히 증언한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어린 두 아들을 양육하는 데 최선을 다하는 이춘기의 부정과 교육열은 인상적이다. 셋째, 이춘기 일기에 담긴 세시풍속 관련 정보는 민속학적으로 의의가 있다. 마을 웃어른에 대한 세배와 꽃주일(flower sunday)의 쇠퇴 및 소멸, 대보름 공동체 제의의 약화 등은, 세시풍속은 지속되기도 하고 변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우리의 생활이 자꾸만 가족화, 개인화, 도시화로 바뀌는 데 따른 필연적인 결과라 하겠다. 넷째, 이춘기의 일기에 적힌 회고 가운데 3·1운동 및 6·25 회고가 지닌 역사적 가치는 주목할 만하다. 민족 전체가 경험한 이들 사건 앞에서 한 개인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겪었고 반응했는지 아주 자세하게 증언하고 있다. 특히 4·4 이리시장 만세운동의 전개양상을 현장에 있던 사람의 시각에서 기록한 일기라서 역사를 보완할 만하다. 다섯째, 이춘기가 겪은 노년의 체험도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지금의 우리에게 시사하는바 크다. 노인의 외로움, 용돈의 필요성, 시력도 청력도 떨어지면 병들어가는 몸, 거듭되는 친구와의 사별, 돌보는 이 없어 독거하는 어려움, 미국으로 이민하기 등. 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어떤 필요를 느끼는지가 자세히 묘사되어 있어, 노인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참고할 만하다. The contents in the diary for 30 years (1961 ~ 1990) of Lee Chun-Gi (1906 ~ 1990), who has lived as a farmer in Iksan area were examined in several aspect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out of the diary for 30 years of Lee Chun-Gi, 26 books of diary were handed over and currently kept by Hakjisa, the publishing company. Out of the diary for 30 years, the portion for 4 years of 1964, 1965, 1967 and 1968, which are missed because the family did not hand over. The apparent characteristics of this diary are that the illustrations are inserted, it contains the full-length diary and meta diary, too, etc. Second, what call the attention in the family life of Lee Chun-Gi is how serious the aftereffect that the early death of housewife bring to the family, and particularly, it showed that in the situation that the housewife was passed leaving two late children, it causes not only the longing felt by the husband left alone but also the loss and hurt irreplaceable for rearing infants. In addition, it testifies vividly how carefully one should remarry through the case of failure. In that situation, the paternal love and educational fervor of Lee Chun-Gi who did his best in rearing two young sons are tearful. Thir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sonal customs contained in the diary of Lee Chun-Gi has folkloristic meaning. Decay and extinction of New Year's bow to the elders of the village and the flower Sunday, and the degradation of Daeboreum (the day of first full moon of the year) community proposal, etc. show that the seasonal customs can be lasted or changed, which is deemed to be the inevitable result that our life is changed to family oriented, individual-oriented and urbanized living. Fourth, the historical value of the reminiscence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War is worth a attention. It testifies in detail specifically how an individual went through and reacted encountered those events that the entire race experienced. Particularly, since it is the diary that recorded the development of April Fourth Erie Market Independent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ho attended at the site, it can compliment the history. Fifth, the experiences in the old age that Lee Chun-Gi experienced implies greatly to us who are in aging society. Since it describes what difficulty there is and what is needed by each situation such as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needs of pocket money, declining sight and hearing and the body getting illness, repeated bereavement with the friends, difficulty in living alone due to not having anyone to take care, emigration to America, etc. it is worth to referring it in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ged.

      • KCI등재

        <조의제문(弔義帝文)>의 원천(源泉), 연촌(烟村) 崔德之의 <일편야사(一篇野史)>

        이복규 ( Bok Kyu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김종직의 <조의제문>은 무오사화를 야기한 글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교술산문이라고 하기에는 그 당시까지의 역사적인 사실과는 부합되지 않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어 의문이다. 항적이 손심을 죽여 강물에 버렸다는 것은 역사에 나오지 않은 추정인데, 그렇게 묘사한 점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이 문제점(의문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조의제문>은 그 이전에 나온 연촌 최덕지의 <일편유사>를 참고한 결과, 위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일편야사>는 현재 전하지 않지만, 관련 기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조의제문>의 원천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 첫째, 항적이 손심을 죽인 이야기로서 단종의 죽음을 예언했다는 점이다. 둘째, 김종직이 <조의제문>의 말미에, “성리학을 하는 늙은이의 글을 따랐다”라고 한 점이다. 이는 바로 최덕지의 <일편유사>를 의미한다. 셋째, 이식, 송시열, 박세채, 이단하, 최석정 등이, 계유정난이 일어나기 전에 낙향한 연촌을 일컬어, “미리 알고 明哲保身했다“고 평가한 점이다. Joeuijemun, written by Jongjik Kim, is known to have caused the literary purge of Muosahwa in 1498. As a classic didactic prose, however, the writing contains some seemingly irrelevant elements not quite commensurate with the then known historical facts. Most prominent is the historically unproven theme that Hangjeok killed Sonshim, abandoning his body in a stream, on which the writing was based. No previous studies have yet taken this into full consideration.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Joeuijemun was destined to have these defects since it was written in reference to Ilpeonyasa, which had already existed created by Deokji Choi also known as Yeonchon. The latter work was not so lucky to survive at present but in view of the related document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Joeuijemun orginated from Ilpeonyasa. Firstly, based on the narrative of Hangjeok killing Sonshim, the author predicted the death of King Danjong. Secondly, Jongjik Kim mentioned at the end of his prose that he "had followed the path of an old-timer studying Neoconfucianism," and this definitely implies Deokji Choi``s Ilpeonyasa. Lastly, when Yeonchon worked his way back to the rural life, the contemporary scholars including Sik Lee, Siyeol Song, Sechai Park, Danha Lee, or Seokjeong Choi, decided that he was clever enough to avoid the upcoming political purge ensuing Gyeyu-jeongnan Coup.

      • KCI등재

        3차원 가상도시 모델에서 높이맵을 이용한 CNN 기반의 그림자 탐지방법

        윤희진,김주완,장인성,이병대,김남기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6

        Recently, the use of real-world image data has been increasing to express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s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educatio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 particular, with increasing interest in digital twins like smart cities, realistic 3D urban models are being built using real-world images, such as aerial images. However, the captured aerial image includes shadows from the sun, and the 3D city model including the shadows has a problem of distort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 to the us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move the shadow, but it is recognized as a challenging problem that is still difficult to solve.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virtual environment dataset including the height map of buildings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provided by VWorld, and We propose a new shadow detection method using height map and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an observed that the shadow detection error rate is reduced when using the height map. 최근 교육, 제조, 건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실적인 가상환경을 표현하기 위하여 실세계 영상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시티 등 디지털 트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공 영상 등 실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현실감 있는 3D 도시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촬영된 항공 영상에는 태양에 의한 그림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림자가 포함된 3D 도시 모델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왜곡시켜 표현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 까지 해결하기 어려운 도전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World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맵을 포함한 가상환경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높이맵과 딥러닝을 이용한 새로운 그림자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높이맵을 사용했을 때 기존 방법보다 그림자 탐지 에러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이복규 ( Lee Bok-ky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9 No.-

        이 글은 `기억과 담론`이라는 기획주제 아래 가졌던 학술대회 기조강연 원고이다. 국문학 연구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 동안 연구했거나 착상해 본 것들을 중심으로, 그 사례들을 적시해 보임으로써, `기억과 담론`이란 눈으로 국문학 현상을 바라보았을 때 어떤 유익이 있는지 드러내 보았다. 국어학이나 국어교육 쪽의 문제들에 대해서는 각주 속에서만 아주 간략히 언급하였다. 첫째, 구비문학의 경우, `정본`이 없거나 확립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각편만이 현존하는 텍스트라는 특성을 지니는데, 그 각편의 생산에 `기억`이 게재되어 있으며, 전승자의 `담론성`까지 작용한다는 점을 환기하였다. 그 사례로서 <동명신화>의 존재가 망각되어 <주몽신화>의 각편으로 여겨진 현상부터 들었다. 신화에서 민담으로 바뀌는 등 구비문학 갈래가 전환하는 데도 `기억과 담론`의 요소가 작용하고 있으며, 생애담 진술에서도 똑같은 사건을 경험했다 할지라도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상이한 반응과 진술을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고전문학의 경우, 고소설과 고전시가의 이본이 파생되어 존재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억과 담론`이라는 시각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고소설을 예로 들어본다면, 왜 고소설의 이본이 발생하는지, 특히 미묘한 변화들이 왜 일어나는지 밝히지 못했는데, 귀로 들었던 내용을 기억했다가 필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주장하였다. 셋째, 현대문학의 경우, 고려인 작가가 강제이주를 소재로 하여 쓴 희곡 <기억>의 사실성 시비와 관련하여, 왜 이런 시비가 생겼는지, `기억과 담론`의 측면에서 진단하였다. 고려인 작가와 연구자가 서로 다른 기억 및 담론을 근거로 하다 보니 말미암은 것으로 보았다. 사라진 신소설 가운데 일부가 구전설화로 전환하여 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다른 신소설 작품들의 행방을 추적하는 새로운 시각을 열어보였다. 아울러 실전(失傳) 고전문학 작품들도 어쩌면 민요를 비롯하여 다른 갈래로 전환하여 전승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 주시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기타 국어학 또는 국어교육 분야의 연구거리로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국어교재를 `기억과 담론` 측면에서 비교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쥐뿔도 모른다`는 속담의 어원도 그런 시각에서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This is the manuscript for the keynote speech delivered at the conference the chosen topic of which was `Remembrance and Discourse.` As a researcher specializing in Korean literature, I put forth the possible benefits that might result from seeing the phenomena from the vantage poin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by drawing on what I have studied or come up with as ideas and by exemplifying the instances. Regarding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 just briefly referred to the issues in the footnotes only. Firstly, oral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either lack of a `canon` or being impossible to establish the `canon` along with a few separate versions, and this is where `remembrance` make its way in to produce the texts while the `discourse strategy` of the transmitters of oral tradition is in order. Take Jumong myths for an example: as Dongmyeong myths had not been able to find their proper places in the oral tradition they finally became identified with fragments of Jumong myths. In terms of oral genre transfer including the change from a myth to a legend, the forces that comprise `remembrance and discourse` are also at work. Autobiographical tales also undergo the similar text-forming pattern in that the self-same event can be clothed in different responses and statements depending on who tells the story. Secondly, old Korean literature requires a viewpoint based on `remembrance and discourse` as well, so as to properly understand the existence of different versions for old Korean novels and poems. As to the novels, some issues are still in debate including why there exist different versions of old Korean novels or why the delicate changes are found among the variants. My suggestion was that it is most likely due to the transcription process where the transmitter copies later on what he has heard from the other transmitter, aided solely by his memory. I provided specific examples. Thirdly, as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I examined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why the debate was brought up as to the proof of factivity with regard to the play “Remembering” written by a Koreo-in author on the theme of forced migration. It was presumed that part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searchers was due to different remembrance and sources. I also suggested taking a new angle toward tracing the lost works of Sinsoseol, namely, `New Novel` by drawing an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me of these novels are being transmitted orally. Moreover, some of the old Korean literary works that are now deemed lost might have been transmitted in such different genres as minyo or folk ballad. In relation to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 proposed that Central Asian Koreo-ins` school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be studied comparatively in terms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as well as the etymological origins of such old sayings as `jwibbuldo moreun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