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혁신학교의 쟁점 탐색

        이병환,심현 한국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 Vol.65 No.-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major issues of innovation schools. Innovation schools are one of the policies pursued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school renovation. Innovation schools focus on performance-centric, team-centric education, not team-centric education. The school has been designated by about 400 schools nationwide as of 2017, when it was first implement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09. There are many issues surrounding innovation schools, but this research has led to issues related to relationships related to innovation schools. Schools reform, school innovation, reform of schools, relations with general schools, and relationships with charter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reform. In the future, schools have a task to show new things for a healthy school culture based on the voluntary and participatory nature of education bodies to successfully fulfill the responsibilities of improving public education.

      • SCOPUSKCI등재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미셀화에 미치는 n-Butanol의 효과

        이병환 대한화학회 1997 대한화학회지 Vol.41 No.1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계면활성제가 나타나는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들의 결합상수값(B)을 25℃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CMC* 및 B값들의 α1(SDS의 전체 몰분율조성)에 따른 변화로부터 비이상적 혼합 미셀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가지 열역학적 함수값들(Xi, γi, Ci, aiM, β, ΔHmix 및 ΔGm0)을 계산하였으며, 또한 SDS/DBS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부탄올의 농도(0.1 M, 0.2 M 및 0.3 M)에 따른 이들 열역학함수값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순수 물에서의 값들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분석하였다.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CMC*) and the counterion binding constants(B) in a micellar state of the mixed surfactant systems of sodium dodecylsulfate(SDS) with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 at 25℃ in pure water and in aqueous solutions of n-butanol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α1 (the overall mole fraction of SDS) by the use of electric conductivity method. Various thermodynamic parameters(Xi, γi, Ci, aiM, β, ΔHmix and ΔGm0 for the micellization of SDS/DBS mixtur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means of the equations derived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e model. The effect of n-butanol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SDS/DBS mixtures have been measur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 values of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in pure water with those in aqueous solutions of n-butanol(0.1 M, 0.2 M, and 0.3 M).

      • SCOPUSKCI등재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이병환,Lee, Byung Hwan 대한화학회 1996 대한화학회지 Vol.40 No.6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and the counterion binding $constant(\beta)$ at the CMC of the mixtures of Sodium dodecylsulfate(SDS) with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 in aqueous solutions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electrical conductance at several temperatures from $15^{\circ}C$ to $35^{\circ}C.$ Thermodynamic parameters(${\Delta}C_p,\;{\Delta}G_m^{\circ},\;{\Delta}H_m^{\circ}$ 및 ${\Delta}S_m^{\circ}$ and ${\Delta}C_p$), associated with the micelle formation of SDS/DBS mixtures,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CMC and $\beta$ values. The measured values of ${\Delta}G_m^{\circ}\;and\;{\Delta}C_p$ are negative but the values of ${\Delta}S_m/^{\circ}$ are positive in the whole measured temperature region. The significance of these thermodynamic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micelle formation of SDS/DBS mixtures have been also considered.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값을 15$^{\circ}C$에서 35$^{\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CMC 및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여러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Delta}G_m^{\circ},\;{\Delta}H_m^{\circ}$ 및 ${\Delta}S_m^{\circ}$)들을 계산하였다.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로 인한 ${\Delta}G_m^{\circ}$와 ${\Delta}C_p$의 값들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_m^{\circ}$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들의 온도 및 몰분율조성(${\alpha}_{SDS}$)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여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를 분석하였다.

      • SCOPUSKCI등재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PC와 TTAB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이병환,Lee, Byung Hwa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6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TTAB)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를 $4^{\circ}C$에서 $36^{\circ}C$까지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CMC와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DPC/TT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 ${\Delta}G^o_m$, ${\Delta}H^o_m$ 및 ${\Delta}S^o_m$)을 계산하였다. ${\Delta}C_p$와 ${\Delta}G^o_m$은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Delta}S^o_m$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Delta}H^o_m$은 낮은 온도에서는 양의 값을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는 음의 값을 띠었다. 또한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은 온도와 몰분율 조성 (${\alpha}_DPC$)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the counterion binding constant (${\beta}$) at the CMC of the mixtures of Dodecylpyridinium chloride (DPC) and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electrical conductance at various temperatures from $4^{\circ}C$ to $36^{\circ}C$. Thermodynamic parameters (${\Delta}C_p$, ${\Delta}G^o_m$, ${\Delta}H^o_m$ and ${\Delta}S^o_m$), associated with the micelle formation of DPC/TTAB mixtures,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CMC and ${\beta}$values. The measured values of ${\Delta}C_p$ and ${\Delta}G^o_m$ are negative but the values of ${\Delta}S^o_m$ are positive in the whole measured temperature region. The values of ${\Delta}H^o_m$ are positive at low temperature region and negative at high temperature region.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are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mole fraction of DPC(${\alpha}_DPC$).

      • SCOPUSKCI등재

        DPC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DEAB)와의 혼합마이셀화에 관한 연구

        이병환,Lee, Byung Hw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5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PC(dodecylpyridinium chloride)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TAB(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CDEAB(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와의 혼합마이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도도법을 이용하였다. DPC/DTAB, DPC/TTAB 및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임계마이셀농도$(CMC^{\ast})$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각각 ${\alpha}$1(DPC의 몰분율)의 함수로서 25$^{\circ}C$에서 측정하였으며, 이와같이 측정한 $CMC^{\ast}$와 B 값으로부터 유사상태분리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gamma}_{I},\;C_{i},\;a^{M}_{i},\;\beta,\;{\Delta}H_{mix},\;and\;{\Delta}G^{o}_{m})$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가 이상적 혼합마이셀모델에서 가장 큰 벗어남을 나타내었으며 DPC/DTAB 혼합계면활성제는 가장 작은 벗어남을 보였다.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ast})$ and the counterion binding constant (B) in a micellar state of the mixed surfactant systems of dodecylpyridinium chloride (DPC) with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DTAB),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 and 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 (CDEAB) were determined at $25^{\circ}C$ as a function of ${\alpha}_1$ (the overall molc fraction of DPC) by the use of electric conductivity method. Various thermodynamic parameters $(X_{i},\;{\gamma}_{I},\;C_{i},\;a^{M}_{i}, \beta,\;{\Delta}H_{mix}, \;and\; {\Delta}G^{o}_{m})$ for the micellization of DPC/DTAB, DPC/TTAB, and DPC/CDEAB mixtur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for each system by means of the equations derived from the pseudophase separat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DPC/DTAB mixed system has the greatest deviation and the DPC/CDEAB mixed system has the smallest deviation from the ideal mixed micellar model.

      • KCI등재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서 계면활성제분자의 머리-그룹과 꼬리-그룹이 미치는 효과

        이병환,이남민,Lee, Byung-Hwan,Lee, Nam-Min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5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그들의 혼합 계면활성제용액에서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상수(K<sub>s</sub>)를 UV-Vis법으로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분자에서 탄소사슬의 길이가 서로 다른 소수성 꼬리-그룹과 친수성인 머리-그룹의 변화가 가용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K<sub>s</sub> 값의 변화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 값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계면활성제용액에서 p-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 대한 ΔG<sup>o</sup>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ΔH<sup>o</sup>와 ΔS<sup>o</sup>의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The solubilization of p-chlorobenzoic acid in aqueous solutions of pure cationic, nonionic, amphoteric, and their mixed surfactant systems have been measured by the UV-Vis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 effects of hydrophobic tail-group with different chain length and the hydrophilic head-group on the solubilization of p-chlorobenzoic acid have been studied and also thermodynamic parameters have been calculated from the dependence of K<sub>s</sub> values on the tempera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s of ΔG<sup>o</sup> for the solubilization by all surfactant systems are negative and the values of ΔH<sup>o</sup> and ΔS<sup>o</sup> are all positive.

      • KCI등재후보

        현행 교원평정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이병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현행 교원평가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평가의 본래적 목적에 충실한 교사평가제의 모습을 탐색하였다. 현행 교사평가제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바람직한 교사평가의 모습은 전문적 소양을 가진 다양한 평가주체들이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평가하고 동기를 유발하여 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교육의 질을 고양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는 평가전반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최근 교사평가 문제가 교육계의 화두로 떠오르는 것은 공교육의 질적인 저하를 우려하는 사회적 문제의식을 토대로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이다. 현행 교사평가제가 수업개선을 비롯한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추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아래 근본적인 개혁방안이 모색되었고 획기적인 교사평가체제 도입을 위한 정부의 의지가 표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을 고려한다면 현행 교사평가제의 문제 진단을 통한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는 것은 향후 교사평가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방법의 설정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이 연구에서는 교사평가제의 문제점을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서 합리성을 전제로 한 다양성이 기존교사평가 문제에 대한 접근방향임을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교사 다면평가제를 제안한다. 다양한 평가주체들이 참여하는 교사 다면평가제 도입 가능성을 평가주체,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목적 및 결과활용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도록 한다.

      • KCI등재

        TTAB 수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의 가용화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

        이병환,Lee, Byung-Hwan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6

        UV-Vis 분광도법을 이용하여 순수 물에서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분자의 미셀화와 그 용액에서 4-할로겐화 페놀유도체들의 가용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물성에 미치는 NaCl과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미셀과 페놀유도체와의 상호작용과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미셀화에 대한 ${\Delta}G^o_m$값과 가용화에 대한 ${\Delta}G^o_s$값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이들 열역학적 함수값들은 각기 다른 변화를 보였다. 즉, NaCl의 농도를 증가하였을 때 ${\Delta}G^o_m$와 ${\Delta}G^o_s$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Delta}G^o_m$값은 감소한 반면에 ${\Delta}G^o_s$값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The micellization of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the solubilization of 4-halogenated phenol isomers in aqueous solution of that surfactant in water have been studied by the UV-Vis spectrophotometric method. Those properties in aqueous solutions of NaCl and n-butanol have been also measured to deter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micelle and 4-halogenated phenols and the solubilized sites of those molecules in the micelle.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s of ${\Delta}G^o_m$ and ${\Delta}G^o_s$ are all negative and the trends of those values depend on both the kinds and the concentrations of additives. Namely, by adding NaCl both ${\Delta}G^o_m$ and ${\Delta}G^o_s$ values are all decreasing, but by adding n-butanol the ${\Delta}G^o_m$ value decreases and the ${\Delta}G^o_s$ value in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