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現代における和製漢語の漢字音選択について

        李炳萬(이병만)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4

        일본에 있어서 한자음에 대해서는 呉音 漢音 唐音으로 나뉘어져 있어, 각각 전래되어온 사정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널리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겨난 한자어는 어떤 한자음을 채용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례를 비추어 알 수 있듯이 漢音을 선택하고 있는데, 일반상식을 벗어나는 한자음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일까에 대하여 고찰하여 왔다. 아래와 같이 간단히 정리해본다. 1) 「京浜」「京成」의 한자음이 왜「キョウ」가 아니라「ケイ」인지, 「京」의 일반적인 한자음은「キョウ」이다. 「京浜」도「京成」도, 그리고 「京葉」도 漢音으로 음독을 하면 「ケイヒン」「ケイセイ」「ケイヨウ」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都」를 의미하여 오음(呉音)으로 「きやう」라고 불려졌던「京」이 明治의 수도「東京」를「とうきやう」로 읽기는 했지만, 그 도쿄의 근린지대를 말하는 「京浜」의「ケイ」가 되돌아와 교토 근린의「京阪」이나「京阪神」까지도 「ケイ」라는 한자로 사용하게 되었다. 2) 「白夜」를「ハクヤ」라고 읽는 것이 바른지, 원래 그런지는 알수 없지만, 「白」라는 글자를 「ハク」로 읽는 것은 漢音이라고 할수 있고, 「ビャク」로 읽는 것은 呉音이라 할 수 있다. 근대어로서 성립했다면 漢音으로 읽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 「白夜」는「はくや」라고도 읽고, 「びゃくや」라고도 읽는데, 「白夜」라는 한자표기를 변환해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NHK방송문화연구소에 의하면 「白夜」의 본래 음은 「はくや」였는데, 1970年에 加藤登紀子가 레코드로 발매한「知床旅情」의 히트곡이 「ビャクヤ」의 음독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3) 「兄弟」의 음독에 대해서 고찰해 본 결과 呉音으로 읽는「キヤウダイ」, 漢音으로 읽는「ケイテイ」, 그리고 「キヤウテイ」의 3종류로 읽을 수 있다. 물론「キヤウテイ」는 呉音과 漢音이 반씩 섞인 음이다. 그리하여 漢音을 呉音으로 읽어버린 「キヤウダイ」가 친근한 일본어로서 널리 침투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In Jap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Go-on, Kan-on and Tō-on, and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se different readings have been determined through the circumstances that each one was delivered into Japan. As such, it is necessary to choose readings when kanji words are newly created. As can be seen in most existing cases, Kan-on is generally selected in such a case. However,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is general rule has not been employed. The current study has investigated grounds for these cases. Here is a brief summary of findings. (1) Why is the reading of 京 in 京浜 and 京成 is “kei” and not “kyou” while the general reading of 京 is “kyou”. It is common to read 京浜, 京成, and 京葉 as "kei-hin", "keisei", and "keiyou", respectively, which are Kan-on. 京 meant 都, and once was read as “kyou” in Go-on thereby 東京, the capital city of Meiji, was read as Toukyou. However, the reading “kei” in 京浜 ‘regions near Tokyo’ came back, and was adopted even to 京阪 and 京阪神 , nearby areas of Kyoto. (2) It is not known whether it is correct to read 白夜 as "hakuya", but it is said that the reading “haku” for 白 is Kan-on and the reading “bihak” is Go-on. If the kanji word was established as a modern language, it will be natural to read it in Kan-on, “hakuya”. However, 白夜 is also read as "byakuya", as well as "hakuya", as can be seen easily through the kana-kanji convertion of 白夜. According to the NHK Broadcasting and 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original reading of 白夜 was “hakuya”, but the hit song of SIRETOKORYOJOU, released by Tokiko Kato in 1970 in the record, provided the opportunity to spread the reading of byakuya. (3)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ading of 兄弟,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can be read in three ways: "kiyaudai" read by Go-on, "keitei" read by Kan-on, and "kiyautei". Of course, “kiyautei” is a reading in which Go-on and Kan-on are mixed in half. It is thought that "Kiyaudai", which read Kan-on as Go-on, has spread widely as a friendly Japanese.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both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on civility. There were 239 participants, who are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s, randomly recruited from N and D cities. The scales used included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and the results analyzed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means of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were 3.69, 4.08, and 3.96 respectively. Second, multicultural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civility had significant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Third,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ivility. Finally, regarding relative influence, multicultural sensibility had more of an effect than empathic ability on civility. To increase civilit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University classes on civility, and general education classes on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와 D시 소재의 대학생 239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측정도구는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 시민의식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감수성의 평균은 3.69, 공감능력의 평균은 4.08 그리고 시민의식의 평균은 3.96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 공감능력 그리고 시민의식은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은 시민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다문화 감수성과 공감능력 순으로 다문화 감수성이시민의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인 접근이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특히 시민의식 관련 교과목 뿐 아니라 다문화 감수성 및 공감능력을 함양할수 있는 교양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