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지명 표기 연구 - 규슈(九州) 지역 을 중심으로-

        이병운 우리말학회 1996 우리말연구 Vol.6 No.-

        지명은 특정 지역에 불여진 이름으로 그 지역을 중심으로 살아온 사람 들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주민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지 명을 통해서 고대 일본과 한국의 교류에 대 한 잃어버린 고리를 우리는 찾 을 수 있을런지 모른다. 특히 일본의 규슈 지역은 고대 한국의 이주민들이 가장 먼저 정착한 지역이기 때문에 우리말의 잔재를 발견 할 수 있는 가 능성이 높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에서는 한정된 자료이기는 하나 일본 규슈 지명 을 중심으로, 지명 표기의 원리와 우리말 어원, 같은 표기의 다른 어형, 한 자음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동남방언과 일본 아오야방언의 의문문 억양에 대한 대조 연구

        이병운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8

        Although there are some exceptions in accentual system for Izumo Dialect in Japan, it belongs to Tokyo Dialect Circle. However, Izumo Dialect was much different from Tokyo Dialect in the intonation system. Especially for intonation system in interrogative sentence, there is much different system between Izumo Dialect and Tokyo Dialect. For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Wh-interrogative sentence, and a interrogative sentence with indefinite pronoun, Tokyo Dialect and Izumo Dialect have completely different systems. This difference is quite similar to that of Central Dialect and the Southeast Dialect in Korean.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he Aoya Dialect in Tottotri-ken neighboring Izumo area in Japan, especially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erminal Intonation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two languages. Even though Aoya Dialect is less different from Izumo Dialect in degree, we can make sure that there is the intonation affinity between the Southeast Dialect in Korea and the Aoya Dialect in Japan. My belief is that two languages make close resemblance in terminal Intonation types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Intonation of a yes-no interrogative sentence, one fall-type another rising type. As they are all fall-type Intonation with focus on wh-interrogative in a wh-interrogative sentence. All fall type Intonation with focus on the stem of predicate in a interrogative sentence with indefinite pronoun. Accordingly we can say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wo languages. By the way, we don’t know exactly the reason why there occurs such intonation similarity: Is this similarity due to linguistic influences or cognate languages? However, this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alects is at least not accidental. We can explain at full length on the analogy of geographical adjacency and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South-East area in Korea and Rim East Sea in Japan. 이 연구는 한국의 동남방언과, 일본의 이즈모(出雲) 지역과 인접한 돗토리지역의 아오야방언과의 관련성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아오야방언에서도 이즈모방언과 비슷하게 한국의 동남방언과의 억양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용언구에서의 연결어미와 의문문의 문미억양에서 한국의 동남방언과 일본의 아오야방언과는 여러 점에서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곧 동경방언과 달리 아오야방언은 설명 의문문, 확인 의문문 등에서 한국의 동남방언과 유사한 내림조를 이루었다. 다만, 동남방언과 달리 판정 의문문에서 동경방언과 같은 오름조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억양적 유사성이 언어적 영향관계에 의해서 온 것인지, 또는 동계언어적 관련성에서 온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이 적어도 우연이 아니라는 것은, 한국의 동남 지역과 일본의 환동해 지역과의 지리적, 역사적 인접성과 관련성에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 방언의 월 끝 억양의 유형

        이병운 한국음성과학회 2002 음성과학 Vol.9 No.2

        This study is to classify intonation types of sentenc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entence form in Korean dialets. Intonation types of sentence terminal in declarative, interrogative &yes-no and wh-sentence), imperative, suggestive of Gyeongnam dialect are low fall, high fall, high fall, low fall, so are not distinctive by intonation, but distinctive by final ending morphemes. But those of Jungbu dialect are low fall, rise-fall and full rise, high level, low rise-fall. Those of Jeonnam dialect are low level, rise-fall and full rise, high level, high level. So those of Jungbu dialect are similar to jeonnam dialect.

      • KCI등재

        민법상 부양의무와 사회보장법상 가족책임의 사회적 평가와 조정

        이병운 한국사회보장학회 2004 사회보장연구 Vol.20 No.2

        가족법이라고 일컫는 민법 제4편과 제5편(친족·상속편)은 헌법 제36조 1항에 의거 하여 가족 및 가정생활에 있어서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이라는 기본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민법 조문상 가족(家族)의 개념정의는 하지 않고 가족의 범위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사회보장법에 있어서도 국민건강보험급여인 요양급여 (현물·현금급여) 등의 명칭으로 가족 또는 가정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는 있지만 가족에 대한 개념정의는 불분명하다. 그러함에도 사회보장법상 가족이라고 볼 수 있는 가입자의 피부양자에 대해서는 친족관계, 생계유지관계, 세대의 동일성 등이 그 판단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판단기준은 생활보장을 목적으로 생활실태에 착안하여 사회보장법상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사회보험과 같이 기계적으로 운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법률상의 배우자로서 신분, 연소득 등이 서류상 확인되면 생계유지관계나 세대의 동일성은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실제 생활관계를 조사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사회보장법에 있어서 가족의 판단기준의 하나인 친족관계는 생활유지관계나 세대의 동일성이라고 하는 생활실태와의 관계 속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민법상 부양의무와의 관계에 한하여 사용되는 일도 있다. 그런데 민법상 부부의 동거 부조(扶助) 및 부모의 자(子)에 대한 부양의무는 부양에 관한 의무의 비용부담에 관계하는것으로, 이러한 부양에 관한 명문규정이 없는 기타 친족관계의 부양, 성년자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과는 법적 성질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민법상 부양의무에 관한 정당성이 우선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 민법상의 부양에 관한 기본적 사고를 확인한 후, 사회보장법에 있어서 세대단위로부터 개인단위화로의 흐름에 수반되는 민법상 부양의무로서 금전부양 및 일상생활의 보살핌 내지 신변수발(身上監護)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와 사회보장법상 가족적 책임의 사회적평가와 조정을 위한 일조(一助)로서 가족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기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Article 36, 1 of constitutional law, civil law, chapter 4 and 5, called family law, stipulate personal dignity and bisexual equality on family and family-life. But the word, 'family', is not used in the text of civil law. Also, in social security law, the terminology just reveals its partial meaning to explain medical care benefits, a kni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social security law without giving an exact definition of it. we, though, regard it as a standard of judgement of a supported-one of a member as prescribed by social security law. The standards are kinship, family supporter, sameness of a generation, and so on. But they are usually used as a part of livelihood security system for the purpose of basic livelihood protection. Like this, kinship or family-relationship, a standard of a family is used when it shows the reality of livelihood such as family-support relationship or same generation or the duty of support as prescribed by civil law. But, in this law, conjugal relations, support and assistance, the duty of supporting children is different in a legal quality with one in other law with no substantive enactment because it considers expenses of them. It means it is necessary that clear lawfulness of the duty of support is confirmed. Therefor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asic idea of the duty of support which civil law shows, and then, the idea of a family was thought of what a important meaning, in view of expenses and superintendence of support, it has as the duty of support which includes one generation from an individual. Lastly, a family was considered as the standard of the social evaluation and mediation of family-support in social security law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集団的労働関係法上の使用者

        李炳雲(이병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3 노동법논총 Vol.28 No.-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에 대해서는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에 관한 일본의 논의현황을 검토하면서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한국의 현행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을 개관한 후, 집단적 노동관계법상 문제가 되는 사용자성에 대해서 한국의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이라고 하면, 주로 노조법상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현행 노조법(정식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라고 한다.) 제2조 2호에서 “「사용자」라 함은 사업주, 사업의 경영담당자 또는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노조법상 사용자는 법 제3조·제4조에 따라 노동조합의 노동쟁의조정과 정당한 쟁의행위를 감수하여야 하고, 법 제30조의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며, 부당노동행위를 할 경우 법 제81조, 제90조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이나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노조법상의 사용자는 중요한 지위가 된다. 이러한 사용자 개념은 직접 고용의 경우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내 하도급관계와 같이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근로계약의 당사자인 사업(고용)주 외에 배후에 근로자들의 근로조건 및 조합활동과 관련하여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3자가 있는 경우에 그 제3자에게도 사용자성을 인정할 수 있느냐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성에 관하여 대법원은 간접고용에 있어서도 단체교섭이나 단체협약 등에 관한 노동조합법상의 사용자 개념과 같은 논리, 즉 실질적인 지배개입으로 판단하고 있다. 원청회사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수단으로 이름뿐인 형식적인 하청회사를 이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경우 그 하청회사의 근로자에 의해서 조직된 노동조합과의 관계에서도 사용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사견으로서도 원청회사가 사내하청회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업무지시와 감독을 하는 등 실질적으로 근로조건을 결정하고 있었다면 예를 들어 조합의 존부, 조합의 사무실이나 휴게실의 설치, 연장근로, 업무범위의 조정 등의 사항에 관하여 원청회사는 단체교섭의무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하청회사의 근로자들이 구성한 노동조합인 경우에도 본래의 노조법 등의 입법취지에 비추어 그 존폐나 조합활동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그 실질적 지배개입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구체적 사안에서 그 판단대상이 되는 내용이 개별적 노동관계의 문제인지 집단적 노동관계의 문제인지 불분명하거나 중첩적일 경우에 어떻게 구분하여 그 한계를 정하여 자의적 판단을 배제할 것인지가 향후의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부산 행정구역 지명의 변천사

        이병운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한국민족문화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Busan and the history of the name of Susa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 of this study runs as follows. First, the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usan have been changed Geochilsan-gun in the age of the three States into Dongnae-hyeon in the Gory period, and then into Dongnae-dohobu in the Josses period. It was followed by Busan-bu and Dongnae-gu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forming the Korean Government, it was divided into Busan's and Dongnae-gun. Susan's was raised to Busan-jikhalsi(jikhalsi means a city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ome parts of Dongnae-gun was incorporated into Busan-gikhalsi in 1963. Subsequently Dongnae-gun was binged to Yangsan-gun in 1973, and Gijang-gun was binged to Busan-gwangyeoksi(gwangyeoksi means a metropolitan city). At last, these changes reached the name of Busan administrative districts today. The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have been in the basis of the Gun-Hyeon System for long time. And then the unit of Hyena was changed into the unit of Mayan, and the subbing became the Dong-Ri System in the later 18C. Japanese administrative units, Jenny and Jennymnk, was us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t was changed into Ding and gaga means a street. in 1947. The Bu System became the Si(city) System in 1949, as a result of it Busan-bu turned into Busan's. The Gu System came into effect in 1957. Busan-jikhalsi was turned in 1963 and Busan-gwanyyeiksi was turned in1995. The names of subadminisngrangive districts, particularly Dozy and Ri, have been changed frequently, most of their old names have disappeared. Secedes now the name of Dizzy are symbolized as the unit of number like the example Yeonsan 1 dong ∼ 9 dong. This was for tightening the control of residents since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as just for convenience. Therefore instead of the unit of number, we have to represent them as the various place names by using the old place names in Susan administrative districts. This work helps us to feel the ancestor's traces penetrating into the place name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Bus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