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시권 분석을 이용한 산불감시 우선지역 선정 방안

        이병두 ( Byung Doo Lee ),유계선 ( Gye Sun Ryu ),김선영 ( Sun Young Kim ),김경하 ( Kyong Ha Kim ),이명보 ( Myung Boa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산불 감시 시설의 탐지확률을 높이고, 감시 자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디를 감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감시 우선지역을 기존 감시 시설의 가시권과 해당 지역의 산불발생 확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발생 확률이 높으면서, 가시성이 떨어지는 곳을 우선 감시 지역으로 정의하고, 퍼지함수를 이용한 변환과 가중치 부여에 의한 중첩분석을 통해 산불감시 우선지도를 생성하였다. 봉화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시 우선 지역은 산지가 많은 북부 지역보다는 인구가 많은 중남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개발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 체계는 한정된 감시 자원의 적정 배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the algorithm for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re detection. The high priority surveillance area for forest fire detection was defined as the area with not only low value of viewshed analysis of the lookouts and detection cameras but also high fire occurrence probability. To build the priority map, fuzzy function and map algebra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Bonghwa-gun, Gyeongbuk Province, showed that the surveillance priority of central and southern area is higher than north area. This algorithm could be used in the allocation of fire prevention resources and selection of suitable point for new fire detection system.

      • KCI등재

        지형과 산불피해도와의 관계 분석

        이병두 ( Byung Doo Lee ),원명수 ( Myoung Soo Won ),장광민 ( Kwang Min Jang ),이명보 ( Myung Bo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1

        지형은 연료의 구성과 기상 및 산불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의 흐름에 영향을 미쳐 산불행동에 관여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지형에 따른 산불피해도를 정략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산불위험도 작성 및 진화대원 안전 확보에 있어 기초 자료로 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삼척(2000년 발생), 청양(2002년 발생), 양양(2005년 발생) 산불을 대상으로 산불피해도를 분석하고 지형을 구분한 다음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산불피해도는 산불 전후 Landsat TM 영상에서 추출한 정규탄화지수(Normalized Burn Ratio)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지형은 지형위치지수(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이용해 Weiss(2001)가 제시한 10개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산지수로, 능선, 산복사면 등의 지형에서 산불피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곡저구릉, 평탄곡지, 평지 등의 지형은 산불피해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임상별로 세분해 보면 산불피해도는 침엽수림에서 활엽수림에 비해 지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Topography factors, as homeostasis variables at forest fire, affect the formation of fuel load patterns, atmospheric phenomena and forest fire behavior.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andforms and fire severity is important to decision making for fire hazard analysis and fighting strategies. In this study, fire severity was analyzed using Normalized Burn Ratio(NBR) derived from pre- and post-fire Landsat TM/+ETM images and landform were classified based on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in Samcheok(2000), Cheongyang(2002), and Yangyang(2005) forest fire regions. F-tests and Duncan`s multi-range test between landform and fire severity showed that fire severities of headwater, high ridges, and upper slopes is higher than ones of local ridges, midslope ridges, and plains. Fire severity were more sensitive in coniferous forest than broadleaf forests.

      • KCI등재

        논문 :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소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이병두 ( Byung Doo Lee ),윤호중 ( Ho Jung Youn ),구교상 ( Kyo Sang Koo ),김경하 ( Kyong Ha Kim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산불은 전 세계적으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료의 연소량과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1개 산불을 대상으로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고, 다시 지표화와 수관화 피해 지역으로 나누어 잔존 연료량을 채취하여, 미연소 지역의 연료량과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활엽수 지표화 지역은 8,361 kg/ha, 소나무 지표화 지역은 8,055 kg/ha, 소나무 수관화 지역은 12,333 kg/ha이 연소되어, 수종별·산불행태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때의 연소율은 각각 78, 59, 90%이었다.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엽수 지표화 연소지역 15,856 kg/ha, 소나무 지표화 연소지역 14,834 kg/ha, 소나무 수관화 연소지역은 약 22,709 kg/ha이었다. Globally, the forest fires are a significant contributor of carbon dioxide and other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In this study, fuel load consumed by forest fire and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were analysed in the surface layer. For this, remaining fuel was collected and weighed with the species (Japanese red pine, deciduous) and the forest fire types (surface fire, crown fire) in the 51 forest fires. 8,361 kg/ha fuel load was consumed in deciduous forest damaged by surface fire, and 8,055 kg/ha, 12,333 kg/ha in Japanese red pine burned by surface fire and crown fire. The combustion ratios were 78, 59, and 90%, respectively. 15,856 kg/ha the green house gases such as CO2, CH4, CH4 in deciduous forest burned by surface fire was emitted and 14,834 kg/ha, 22,709 kg/ha in Japanese red pine burned by surface fire and crown fire.

      • KCI등재
      • KCI등재

        뉴로-퍼지 추론을 적용한 포석 바둑

        이병두(Lee, Byung-Doo) 한국게임학회 200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9 No.6

        본 논문은 포석 바둑을 위해, 패턴 지식을 근간으로 바둑 용어 지식을 수행할 수 있는 뉴로-퍼지 추론에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하였다. 즉, 포석 시 최선의 착점을 결정하기 위한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의 구현을 논하였다. 또한 추론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차 학습(TD(λ) learning) 시스템과의 대결을 벌였다. 대결 결과에 의하면 단순한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조차 시차 학습 모델과 충분히 대결할 만하며,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이 실제 바둑 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 of applying neuro-fuzzy reasoning, which conducts Go term knowledge based on pattern knowledge, to the opening game of Go. We discuss the implementation of neuro-fuzzy reasoning for deciding the best next move to proceed through the opening game. We also let neuro-fuzzy reasoning play against TD(λ) learning to test th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 reveals that even the simple neuro-fuzzy reasoning model can compete against TD(λ) learning and it shows great potential to be applied to the real game of Go.

      • KCI등재

        무전략 몬테카를로 트리탐색을 활용한 9줄바둑에서의 첫 수

        이병두(Byung-Doo Lee)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3

        인공지능 연구에서 바둑은 위치평가의 어려움과 엄청난 분기수로 인해 가장 도전적인 보드게임으로 여겨지고 있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무적인 돌파구이다. 알파고의 숨겨진 아이디어는 주어진 위치에서의 승률을 예상하여 깊은 탐색을 유도한 후 가장 고무적인 착수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무전략 MCTS를 활용하여 9줄바둑에서 프로기사들이 최상의 첫수로 여기는 천원점이 옳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또한 가장 유행하는 첫 수들의 평균승률을 비교했다. In AI research Go is regarded as the most challenging board game due to the positional evaluation difficulty and the huge branching factor. MCTS is an exciting breakthrough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idea behind AlphaGo was to estimate the winning rate of a given position and then to lead deeper search for finding the best promising move. In this paper, using non-strategic MCTS we verified the fact that most pro players regard the best first move as Tengen (Origin of heaven) in 9 x 9 Go is correct. We also compared the average winning rates of the most popular first moves.

      • KCI등재

        병원급식소의 HACCP 제도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분석

        이병두(Byung?Doo Lee),김장호(Jang?Ho Kim),김정목(Jeongmok Kim),김두운(Du?Woon Kim),이종욱(Chong?Ouk Rhee),은종방(Jong?Bang E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3

        호남지역 병원 6곳의 급식시설 및 부식류 등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정성이 평가되어졌다. 조사된 병원급식시설의 공중낙하균 평가에서는 식탁, 조리장 및 냉동고에서 미생물균수가 비교적 높게 측정되어 이러한 시설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리기구 및 용기 표면의 미생물학적 안정성 측정에서는 도마, 칼, 식판 등의 일반세균수는 비교적 높았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으며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의 수준도 일반적인 미생물 오염기준 미만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 안정성은 양호하였다. 하지만 이들 급식시설에서 제공되는 부식류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정성 평가에서는 대체적으로 가열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오염은 기준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기준을 초과한 부식에 대해서는 철저한 미생물학적 안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ensils of 6 hospitals in the Honam region was evaluated. In the microaerosol evaluation, the microbial counts of dinning table, kitchen, and freezer were comparatively high, and it indic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these facilities should be effectively managed. In th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evaluation of cooking utensils and appliances, the total plate counts of cutting boards, knife, and meal plates were comparatively high but did not reveal significance. The counts of coliform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 lower than the general limit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cooking utensils and appliances were satisfactory. In the microbial safety evaluation of side dishes, microbial counts of heat?cooked foods were generally low and microbiological hazards of these side dishes were comparatively low.

      • KCI등재

        삼목 게임에 적용된 몬테카를로 트리탐색

        이병두(Lee, Byung-Doo) 한국게임학회 2014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4 No.3

        바둑 게임은 가장 오래된 게임 중의 하나이며 적어도 2,500년 전에 기원되었다. 게임프로그래밍에서 대부분의 성공적인 접근법은 평가함수를 활용한 게임트리 탐색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바둑에서 그럴싸한 평가함수를 구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MCTS)은 9줄 바둑에서 프로기사를 제압한 MoGo와 CrazyStone과 같은 강력한 컴퓨터바둑프로그램을 만들어 내었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된 승률을 근간으로 한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을 컴퓨터바둑에 구현하기에 앞서 삼목에서 최상의 첫 수로 중앙, 귀, 변의 세 수에 대한 각각의 승률을 측정하려고 했다. 실험 결과로 최상의 첫 수는 중앙이 우선하고, 다음은 귀, 마지막으로는 변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The game of Go is one of the oldest games and originated at least more than 2,500 years ago. In game programming the most successful approach is to use game tree searches using evaluation functions. However it is really difficult to construct feasible evaluation function in computer Go. Monte-Carlo Tree Search(MCTS) has created strong computer Go programs such as MoGo and CrazyStone which defeated human Go professionals played on the board. MCTS is based on the winning rate estimated by Monte-Carlo simulation. Prior to implementing MCTS into computer Go, we tried to measure each winning rate of three positions, center, corner and side, in Tic-Tac-Toe playing as the best first move. The experimental result revealed that the center is the best, a corner the next and a side the last as the best first move.

      • KCI등재

        순수 몬테카를로 트리탐색을 기반으로 한 소형 바둑판에서의 가장 유망한 첫 수들

        이병두(Byung-Doo Lee)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6

        간단한 규칙에도 불구하고 바둑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복잡한 전략적 보드게임 중의 하나이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MCTS)은 최상우선 트리탐색 알고리즘으로 컴퓨터바둑 제작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저자는 9줄바둑판보다 작은 바둑판에서의 바둑게임 행위를 위해 MCTS를 활용하여 가장 유망한 첫 수를 찾고자 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MCTS는 첫 수로 홀수형 바둑판에서는 정중앙, 짝수형 바둑판에서는 중앙 부근에 착수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spite of its simple rule, Go is one of the most complex strategic board game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nte-Carlo Tree Search (MCTS) is an algorithm with best-first tree search, and has used to implement computer Go. We try to find the most promising first move using MCTS for playing a Go game on a board of size smaller than 9×9 Go board. The experimental result reveals that MCTS prefers to place the first move at the center in case of odd-sized Go boards, and at the central in case of even-sized Go bo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