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渤海 建築遺蹟에 關한 南韓의 硏究成果

        이병건 동북아역사재단 200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16

        The South Korean research fruits in relation to Balhae architectural relicsLee, Byeong-G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uth Korean research fr uits inrelation to Balhae Architectural relics. This study treats Balh ae periodand corresponds to the northeast area in China, the north area inKore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Russia. The mainsubjects are the architecture of capital city, palace, temple, dwelling,24 Stone’s relics and etc. The method of this study proceeds on thestudy of the dissertation, treatise and archaeological excavati on.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The South Korean research fruits about Balhae architectural rel icshas focused on the research history each country specially Chin a andNorth Korea. After proceeding study, Balhae has general cultura l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 nes asseen in many it’ 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Balhaearchitecture is understand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 licsobjectively from Balhae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ea chinterpret history from a self-centered perspective. In the fina lanalysis, we have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property of individual states.201 渤海 建築遺蹟에 關한 南韓의 硏究成果성과가 나와 있다. 그러나 살림집유적에 관해서는 주변국 그 어느 나라도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다른 시기에 비해 절대적으로 유적의 수가 적기 때문이다. 고구려와의 계승관계 설정에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는 것이니만큼 북한보다 좀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연구에 임해야 할 것이다.6. 지금까지 연구된 것들은 대부분 발굴결과를 기초로 한 연구였다. 발굴에 의존하는 연구 이외에 다른 하나의 연구방향은 발해건축의 특징을 건축물이 아닌 현존하는 상경성 제2사찰터(현 興隆寺)의 石燈과 長白縣 靈光塔처럼

      • KCI등재

        발굴결과로 새롭게 본 강동24개돌 유적의 건축적 성격

        이병건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 of the Gangdong (江東) twenty-four stones relics, and to consider their usage. The fuel hole and the chimney fuel that appeared during the excavation must be related to the remains as they are found in the same layer with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consider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as the same building as that where the fuel hole and the chimney fuel were located. This is because if they were the same buildings, the fuel hole and the chimney fuel should extend to the inside of the twenty-four stones relics, but they do not.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has an upper risen architectural feature in that they come to the ground about 70 centimeters high. Therefore,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and the place where the fuel hole and the chimney fuel were found should be regarded as different buildings. It is believed that the building where the fuel hole and the chimney fuel were located was an attached building which had a small kitchen for cooking separately from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usage of the Gangdong twenty-four stones relics, but the view that they were the upper risen storehouse is the most persuasiv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surroundings and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remains.

      • KCI등재

        함경남도 북청 발해시기 청해토성의 조영기술적 특징과 의미

        이병건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cale of Cheong-hae earthen ramparts and the existing findings of the fortress facilities, and to review its validity. In this study, the size and floor plan of Cheong-hae earthen ramparts and other fortress facilities were explored. Chapter Ⅱ introduced the existing findings related to the Cheong-hae earthen ramparts alo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 remains and provided clues to the size and fortress facilities. Chapter Ⅲ examined the size and floor plan shape.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eong-hae earthen ramparts and other Balhae period fortress sites, the size of Cheong-hae earthen ramparts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general size and floor plan of the time. Of course, we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North Korea and its problems. In chapter Ⅳ, the facilities mentioned mainly as part of the fortress facilities are related to fortress tower(甕城) and basting(稚).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s Ⅲ and Ⅳ, chapter Ⅴ confirmed the regional correlation of Balhae fortres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ontrast technology possessed by Cheong-hae earthen rampar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해토성의 규모와 성곽시설에 대한 기존 조사결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연구의 탐구 대상은 규모 및 평면형태, 옹성과 치를 비롯한 성곽시설이다. 연구의 진행 순서로 제Ⅱ장에서는 유적현황과 함께 청해토성과 관련된 기존 조사결과를 소개하여 규모와 성곽시설을 풀어나가는 단서를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규모 및 평면형태를 검토해 보았다. 청해토성을 비롯하여 다른 발해시기 평지성 유적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의 일반적인 규모와 평면형태를 산정하여 청해토성의 크기를 판정해 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성곽시설 부분으로 주로 언급된 시설은 청해토성에 설치되었던 옹성과 치 관련이다. 제Ⅴ장에서는 앞 장들의 결과를 근거로 청해토성이 갖고 있는 조영기술적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여 발해성곽건축의 지역별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진행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해토성은 함경남도 북청 푸른 동해바다 앞 북청강 왼편 넓은 벌판에 자리하였다. 발해의 5경 가운데 하나이자 최남단이며 한반도에 유일하게 자리했던 남경남해부 지역 통지의 중심지였다. 이 지역은 옛 고조선시기부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을 이어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았던 천연적 방어력을 갖춘 땅이었다. 발해시기에는 토성에서 북쪽으로 약 6㎞ 떨어진 북청강 좌안에 안곡산성이, 서쪽으로 약 9.5㎞ 떨어진 북청강 우안에 용전리산성이, 동북쪽으로 약 8㎞ 떨어진 곳에 거산성과 평리무덤군이 있었다. 또한 북청강 넘어 남서쪽 금호지구에는 오매리절터와 금산건축지 및 고분군이 있어 당시 매우 많은 발해인들이 거주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청해토성은 기존에 북한에서 제시되었던 둘레 2,132m가 아니라 동벽 332m, 서벽 342m, 남벽 328m, 북벽340m 총 둘레 1,342m의 정방형 평면형태를 갖춘 흙으로 쌓은 평지성이다. 성 안에는 성문들을 연결하는 큰길에 의하여 동서와 남북으로 ‘田’ 모양의 구획을 이룬 리방제를 갖춘 도시계획을 완비하였다. 동서남북 네 방향 성벽 중앙에는 성문이 있었다. 이 가운데 남문에는 직경 10m 정도의 원형의 옹성이 있었다. 성벽 각 모서리에는 각루가 있어 성 외곽을 방어했으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각루와 성문 주변에 치를설치하였다. 또한 평지성인 만큼 멀리 주변의 지세를 상시 감시하기 위해 북문 근처에는 높게 세웠던 망루까지갖추었다. 성 밖으로는 사방에 해자도 준설되어 있었다. 이처럼 청해토성은 발해의 변방인 한반도 지역의 평지성임에도 불구하고 발해 중심지에서 보이는 수준의 성곽시설이 공존했음을 확인하는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 KCI등재

        음운론에 있어서의 추상성 조건(Ⅰ) : 현대 한국어의 모음을 증거로하여

        이병건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74 語學硏究 Vol.10 No.2

        음운론의 주된 관심사중의 하나는 형태소의 교체(morphemic alternation)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로해서, 기저 쎄그먼트(underlying segments)는 형태소의 교체가 다른 분석의 동기를 주지 않는 한, 음성 표시(phonetic representations)와 동일하게 표시되어야 한다는 조건 또는 원칙이 당연히 생겨난다. 본고에서는 형태소 내부에서(morpheme-internaily) 발생하며, 따라서 아무런 이음(allophone)을 가지고 있지 않은 쎄그먼트는 그 기저 쎄그먼트가 음성표시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표현되어야 하는지를 검토하고, 위의 조건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현대 한국어의 모음 체계를 증거로 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 KCI등재

        발해 24개돌유적의 건축형식 연구

        이병건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floor plan and structure 24 Stone Relics which remained Balhae Area.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milarities of 24 stones relics with other Balhae architecture pattern in floor plan type and footing method, shape and height and span of foot stone, and structure type. 24 stones relics are considered very peculiar architecture type in Balhae architecture in North Korea, China, Japan, Russia has focused on its relationship to their own countries. But after proceeding study, Balhae has general Arch-cultural 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special Arch-cultural ones as seen in 24 stones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Balhae architecture is understanding Arch-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ively from a Balhae point of vie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