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홍수 예보시스템의 개발

        이범희(Lee BeumHee)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4B

        실시간 홍수예측시스템의 구성에서 장래 강우 양상(지속기간, 강우강도 등)에 대한 가정으로 인하여 홍수예측의 신뢰성을 높이기 어려웠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의 강우, 현재수위 및 상류지역의 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웹기반모형을 구성하였다. 대상유역인 대전광역시의 도심하천 구간에서 각 수위 및 강우관측소들 간의 자료들을 활용하고, 현재까지의 관측 자료들을 이용하여 최대 2시간 후의 수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자료의 전송은 MS-Excel 2007을 기반으로 하여 금강홍수통제소와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홈페이지의 강우 및 수위자료를 실시간으로 읽어오는 방식으로 자료를 연결하였다. 각각의 선행시간에 대하여 예측한 결과 실제 실측치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표준편차가 최대 5 ㎝, 평균 표준편차가 1~4 ㎝에 머무르고 있는 점 및 수정 결정계수의 값이 대부분 0.95 이상을 나타내는 점 등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예보모형이 안정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본 회귀모형의 특성이 유역반응의 정상성을 가정하여 구성된 것을 감안한다면 어느 정도 기간까지 정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의 문제 및 시계열분석 기법의 적용은 추후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 simple web-based flood forecasting system using data from stage and rainfall monitoring stations was developed to solve the difficulty that real-time forecasting model could not get the reliabilities because of assumption of future rainfall duration and intensity.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research could forecast future water level of maximum 2 hours after using data from stage and rainfall monitoring stations in Daejeon area. Real time stage and rainfall data were transformed from web-sites of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based MS-Excel 2007. It showed stable forecasts by its maximum standard deviation of 5 ㎝, means of 1~4 ㎝ and most of improv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s were over 0.95. It showed also more researches about the stationarity of watershed and time-series approach are necessary.

      • 대전광역시 물 사용 실태 및 낭비요인 조사

        이범희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8 공학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은 대전시의 주민 230명을 표본 집단으로 구성하고 가정에서의 물 사용 실태, 낭비용인 및 물 절약의 의식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수돗물 절약을 실천하는 의식은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은 9.1%이고,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이 53.4%로 긍정적인 실천의식이 63%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편이다. 물 절약을 위해 실천하는 내용은 주로 샤워 중 비누칠할 때 물을 잠금, 소량 세탁을 하지 않음, 양치할 때 컵을 사용함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물 절약 실천하는 이유를 개인적으로 경제적인 도움을 위한 절약을 배제 시 순수하게 실천하려는 의식은 약 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 절약 실천이 어려운 이유는 물 절약 습관이 익숙하지 않음이 43.9%, 일상생활이 불편함이 22.2%로 나타나 물 절약에 대한 실천의식을 더 높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In this paper, 230 residents of Daejeon city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and their opinion on the actual use of water, wastage and water consciousness at home were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to practice tap water conservation is actively practiced 9.1%, and 53.4% is trying to practice, and positive sense of practice is more than 63%. In order to conserve water, the practice was mainly to lock water when soaping in the shower, not to wash a little, and to use cups when brushing teeth. The reason for practicing water conservation is that about 50% of people consciously just want to practice when excluding economical help for saving. The reason why water conservation practice is difficult is that water conservation habit is unfamiliar with 43.9% and daily life discomfort is 22.2%, so it wa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water conservation.

      • 대전광역시 절수기기 보급에 따른 절수효과 실증사례 연구

        이범희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9 공학논문집 Vol.21 No.1

        In the past studies on water consumption, theoretical formula method or the performance test values of the water-saving equipment supplier was applied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actual water saving amount of water-saving equipment. This made it difficult to estimate practical water savings on site.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actual water savings of the application of water saving equipment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water usag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water saving equipment to real apartment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saving equipment, the use of wate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non-installed households, and the difference in water consumption between the two control groups was 8.6% due to the saving effec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saving equipment. 그 동안의 물 사용량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절수기기의 이용에 따른 실질적인 물 절수량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이론식을 적용하거나 절수기기 공급업체의 성능 실험값들에 의존하여 산정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현장에서의 실제 물 절감량을 산정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아파트들을 대상으로 절수기기의 적용 이전과 이후의 물 사용량을 측정, 비교함으로써 절수기기의 적용에 따른 실질적인 물 절감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절수기 설치 이후 설치가구에서 비 설치가구보다 용수 사용량이 크게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대조군간 용수 사용량 변화 차이 8.6%를 절수기 설치를 통한 절감효과로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