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마른 김 중량 조절 장치 개발
이배규,윤신요,최정호,Lee, Bae-Kyu,Youn, Shin-Yo,Choi, Jeo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4
Korea's seaweed is using a method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automated process and quality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port volume of 20,000 tons or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improved the existing dry steaming weight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ized the remote control system and the existing dry steaming weight control device. This is implemented with precise and detailed device, unlike the dry seaweed w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valve which depends on the user's feeling and experience. Also, because it is a remote control system, it can help to produce seaweed safely even if you don't climb on the machine. The Seaweed weight control device implemented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automation process and industrial growth of the steeply growing dry laver production and export industry.
이배규,Lee, Bae-Ky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3
레이져 다이오드(이하 LD)는 현재 의료용, 산업용 가공, 센서, 광고용기기, 인쇄장비 등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밀한 취급이 요구되는 LD의 민감한 특성상 그 효용성에 비해서 실제 사용은 전문분야에 국한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LD가 가지는 정전기, 전류, 열, 물리적 충격 등에 대한 민감한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파장대의 LD를 안정적으로 드라이빙 할 수 있는 샘플 모듈을 직접 제작해보고, 더 나아가 하나의 LD가 아닌 다수(다채널)의 LD 제어를 인쇄용 CTP(Computer To Plate) 장비를 통해 연구해 본다. 특히 현 CTP장비의 다채널 제어가 64채널에 한정되어 있음을 착안해, 이의 두 배인 128채널의 LD 제어를 목표로 하고, 이때 발생하는 시작점의 LD와 끝점의 LD 사이의 망점 간의 딜레이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또한 실제 CTP 장비에 장착한 후 인쇄 속도와 해상도를 비교하여 128채널 LD 제어의 효율을 비교해본 후, 마지막으로 256채널 LD 제어의 가능성을 검토해본다.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포설시 견인 데이터 수집 장치 설계
이배규,Lee, Bae-Ky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7
By increasing due to large-scal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partments or factories or were, and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able is connected from the electrical room, the thickness of the cable, the trend is also being gradually thicker to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the programs install the cable inserted in the rope a double bonded brake pipe to be laid underground in these cables, and to reliably collect various kinds of data such as a tension at the time of laying the cable, the distance and speed design, and the sample data was acquired through hardware making them.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worker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work time was shortened to the traditional mechanical laying equipment. And to obtain a performanc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because the use of the working data to the management and evaluation.
이배규,최정호,Lee, Bae-Kyu,Choi, Jeo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4
우리나라에서 단일품목으로 가장 큰 수출품인 마른 김은 현재 우리나라의 시장 사정상 대량생산에 중점을 둔 상황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마른 김의 품질하락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른 김 생산 시에 기존에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김 혼합 비율을 맞추는 방식을 포토센서(IR sensor)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광원을 발생시키는 IR LED Lamp와 농도를 검출하는 포토센서 등을 통하여 얻어진 1차 영상정보들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김 혼합물 농도를 판단할 수 있는 임베디드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방식에서는 정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저장함으로써 매년 겨울마다 반복되는 작업 환경에서 이전 연도의 데이터를 확인하여 보다 손쉽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배규 ( Bae Kyu Lee ),김정화 ( Jung Hwa Kim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3 공학기술논문지 Vol.6 No.4
In this study, Embedded system that is optimized indepedently may be down a part or whole system, if unexpected error occurs. Therefore we need a solution , there i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users directly and physically. However, this solution has a problem, which is the case of remote systems and unmanned systems. Therefor, we are trying to study what embedded system self-check their status and automatic recovery.
국지성 호우 관측을 위한 FPGA 기반의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
최정호,이배규,박형삼,박정민,임상훈,Choi, Jeong-Ho,Lee, Bae-Kyu,Park, Hyeong-Sam,Park, Jeong-Min,Lim, Sang-H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9
최근 서울 경기를 비롯한 전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악천후 관련 자연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재 및 물관리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수재해를 관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량계는 지상의 강우를 연속적·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우량계 미설치 영역에 대한 공간적인 강우 분포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수의 공간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파 기반 센서인 전파강수계(EWRG,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강수계의 FPGA 기반 신호처리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전파강수계의 신호처리는 크게 LFM 파형의 ADC 및 DDC와 펄스압축, 상관 계수 및 강수 파라미터 산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FM 파형과 펄스압축 신호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를 위해서 FPGA 기반의 신호처리 설계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고해상도 강수 관측을 위한 K-대역 전파강수계 송수신기 설계 및 구현
최정호,임상훈,박형삼,이배규,Choi, Jeong-Ho,Lim, Sang-Hun,Park, Hyeong-Sam,Lee, Bae-Kyu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5
This paper is to develop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sensor that can measu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and to a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 (hereinafter, "EWRG")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rainfall, snowfall, and wind field, which are the core of heavy rain observation. Through this study, the LFM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were theoretically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a radar transceiver, LFM transceiver design and simulation were conduct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K-BAND pulse-driven 6W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s) transceiver using a small HMIC(Hybrid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It has more than 6W of output power and less than 5dB of receiving NF(Noise Figure) with short duty of 1%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f 65 degrees. The manufactured module emits LFM and Square Pulse waveform with the built-in waveform generator, and the receiver has more than 40dB of gain. The transceiver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the other small weather ra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