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이미지,유은영,정민예,박혜연,이재신,이지연,이미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used to measure the sensory modulationfunction bas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reschoolers. Methods: The first step was to select the area of daily activity and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preliminary items. The second step was to select the question item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in which atotal of 21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experience in pediatric setting were selected. A Delphi survey wascarried out three times. A final survey was used as a check of the level of parental understanding regarding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and composi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ion and Delphi survey showed seven areas of development for dailyactivities (sleeping and waking up, wearing clothes, eating, using the bathroom, washing, dressing up, andmoving) and 105 preliminary question items. Finally,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 of the Delphi surveyresults was .89; the stability, 0.13; and the consensus, 0.81, which are regarded as high scores.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sensory modulation problemsof preschoolers based on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fulness of theevaluation items will be confirmed. They will the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in a clinical setting.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을 선정하고 항목 개발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아동작업치료 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 패널 21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각 평가항목의 적절성 여부를 평정하게 한 후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평가항목의 내용과 평가지 구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 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은 7개로 구성하였고(잠자기 및 일어나기, 옷 입기,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 씻기, 단장하기, 이동하기) 총 10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0.89, 안정도 0.13, 합의도 0.81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학령 전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감각조절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 일반 초등교사가 인식한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라경(Rah-Kyung Kim),이정은(Chung-eun Lee),이미지(Mi-J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가 생각하는 장애인 초등교사에 대한 능력, 역할,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탐구한 연구로써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일반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고, 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3인에게 모집단의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총 30명의 일반교사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을 위해 헌신적이나 제한된 교육자원을 가짐’, 제 2유형은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추구하나 행정업무의 한계가 있음’, 제 3유형은 ‘교실을 안전하게 유지하려고 하나 다양한 학생 관계에 어려움을 겪음’, 4유형은 ‘다문화·세계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나 학부모 관계에서 미흡함’으로 명명되었다. 네 가지 유형의 가장 긍정적 진술문과 부정문을 중심으로 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유형을 대표하는 4명의 일반초등교사에게 추가 인터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증진을 위한 제언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to 3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belief system; (a) showing commitment to students but shortage of educational resources, (b) purs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c) keeping safe learning environment but limited communication with diverse students, and (d) cultivating muticultural and global interests but limit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plained focusing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of the four types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qualitative dat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additional interviews were requested from four general teacher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ssues for hiring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구강자극프로그램이 조산아의 구강식이수행 촉진에 미치는 효과: 사례보고

        이미지,박지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4 재활치료과학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조산아를 대상으로 한 구강자극프로그램 실시가 구강식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조산(25주)로 출생한 아동 1명이었으며, 총 4주간 연구를 진행하 였다. 중재방법은 구강자극프로그램으로 뺨, 윗입술, 아랫입술,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커 브, 윗잇몸, 아랫잇몸, 뺨의 내부, 혀의 측면, 혀의 중간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며 자극을 주 는 9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구강식이수행 요인으로는 체중, 하루에 섭취하는 우유 의 양, 한 번에 먹는 우유의 양, 한 번 우유 먹을 때 걸리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각 요인은 매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실시 후, 대상자의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하루에 먹는 우유의 양과 한 번에 먹 는 우유의 양도 증가하였다. 한 번 우유를 먹을 때 걸리는 시간은 감소하였다. 결론 : 구강자극프로그램은 조산아의 구강식이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며, 따라서 가정과 치료환경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를 가다’ 구문의 화용적 쓰임과 의미 - 장소 명사와 결합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미지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8 No.-

        한국어에서 어떤 장소에 간다고 말할 때 장소 명사 뒤에 ‘-에 가다’를 쓰기도 하고 ‘-를 가다’를 쓰기도 한다. 이글에서는 한국어 화자가 어떠한 경우에 ‘-에 가다’ 대신 ‘-를 가다’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때의 의미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를’을 사용하는 경우 ‘-를’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인해 선행 장소에 대상성, 목적성의 의미가 추가되고 강조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고 하였다. 이글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목적성과 강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를 가다’의 화용적 맥락을 통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한국어 화자가 ‘-를 가다’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각각 소속의 의미를 나타낼 때, 의외의 의미를 드러낼 때, 그리고 다큐멘터리의 제목으로서 내부 경험의 의미를 나타낼 때의 세가지로 분류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11세기 초 동북아시아 외교 지형의 변화와 고려-거란 관계

        이미지 한국중세사학회 2020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60

        The postwar negotiation after the Third War of Goryeo and Khitan (1014-1020) prevented serious wars between the two dynasties as the Chuanyuan Treaty (1004) did between Khitan and Song. The two major power of Northeastern Asia, Song and Khitan accomplished to establish stable relations through consistent exchanges of the regular celebrating envoys such as envoys on the New Year’s day and envoys on the emperor’s birthday. The unique point is that the Khitan empress dowagers were also the official receiver of the celebrations sent by the Song emperors;empress dowager Chengtian (承天太后) who had been the leader of the Khitan court at the Chuanyuan treaty is possibly the one who ignited this incomparable diplomatic practice. The empress dowagers’ active roles in the diplomatic scene between two dynasties ended with the case of empress dowager Xuanren (宣仁太后) of the Song who even dispatched envoys to the Khitan under her own title. At least two significant legacies of many of the Chuanyuan Treaty were disseminated to the Khitan-Goryeo relations. Those are the diplomatic status of the Khitan empress dowager and the consistent practice of sharing celebrations by exchanging regular envoys on the occasions mentioned above. The Khitan, during the postwar negotiation with the Goryeo in 1022, reduced the number of regular envoys down to twice per year;once on the birthday of the emperor with the New Year’s envoy, and once on the birthday of empress dowager. Interestingly there was no empress dowager alive in the Khitan court at that moment. This means that the diplomatic role of the empress dowager Chengtian was so prominent that the post of empress dowager became one of the most diplomatic representatives of the Khitan power. Since she was the one who officially acknowledged the Goryeo- Khitan border settlement in 994 the Goryeo court could urge Khitan to stop under the empress dowager’s name whenever they illegally invade the northeastern border of Goryeo.

      • KCI등재

        고려 예종대 권적(權適)의 유학과 그에 대한 여러 기억

        이미지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7

        Five prospective young men in their twenties from the Goryeo dynasty were admitted to the National Academy(太學) of the Northern Song, the most influential Confucius institute in the 12th century Northeast Asia. It was Goryeo King Yejong(睿宗), who dispatched them, who finally implemented the indispensable step of the reformation project of the Goryeo National Aacademy(國學) which had been passed on from his deceased father, previous king Sukjong(肅宗). This paper traces back the five men’s experience in the northern Song and their lives afterward mainly with the records on Gwon Jeok who had been enlisted last but who had won the first prize at the Song Emperor’s final exam. Among three who managed to return home, he is the only one that we could find the epitaph, personal writings, and diverse literature by other Goryeo literates. Gwon Jeok’s life and the memories around are quite intriguing subjects to investigate the unusual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in the premodern period of Korea and to grasp the positive distortions of the memories on his life. How the national policies and the interrelations among dynasties could have intervened and influenced an individual’s life is also one of the main foci of the paper. 이 글은 고려 예종대 권적이라는 인물의 특별한 해외 체험과 이후의 다소 고요한 삶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되었다. 본인의 묘지명이 현전하고 있는 권적의 사례는 함께 유학을 다녀온 조석, 김단에 비해 그 관력과 생애에 대한 정보가 비교적 자세하게 전하고 있어, 12세기 고려인의 국비 유학 과정을 복원해보는 동시에 권적의 생애를 비교적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권적의 유학은 12세기 전반에 걸쳐 진행된 국학 개혁 정책 및 이를 추진한 국왕들에게도, 그리고 고려의 대외관계의 측면에서도 매우 특별한 사건이었다. 글의 전반부에서는 권적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마지막 장에서는 개인의 경험이 국가를 포함한 타자에 의해 활용되는 측면을 중심으로 권적에 대한 기록을 추적해 보았다. 아울러 개인의 삶이 동시대인들에게 기억되면서 다양하게 변주되었던 양상도 확인하였다. 애초의 기대와 다른 궤적을 보인 권적의 삶과 그에 대한 기록을 추적하며 북송 유학 생활을 조금 더 세밀히 복원해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권적과 스승 박학사의 관계, 북송에서의 학업 과정 및 귀국 후 참여하였을 국학 개혁 관련 업무 등을 부족하나마 추정해 보았다. 아울러 1116년 송을 방문한 이자량 사행의 관반이 왕보와 범눌이었으며, 권적 묘지명에 이들과 고려 사신의 대화가 인용된 것으로 이해해 보았다. 또한 「교영에 감사드리는 표」와 이지저의 「동궁시강학사를 사양하는 표」가 작성된 시기를 추정하고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권적의 인맥을 확인해 보았다. 이상의 정보들은 단편적이거나 사소해 보이지만, 정책 추진이나 정치세력간의 알력 관계와 같은 거대 담론의 흐름에 묻히기 쉬운 고려시대 개인의 삶을 좀 더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려는 시도의 작은 성과라고 생각한다. 권적이라는 개인의 삶을 고려 조정의 정책 추진이라는 맥락에서, 개인의 생애적 맥락에서, 또한 동시대 타인들의 기억 속에서 살펴보았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고려 명종대 忠義 담론의 대두와 그 의미

        이미지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81

        1170년 9월 일어난 무신정변으로 인해 의종이 폐위되고 명종이 옹립되면서 고려 사회에는 신하로서 충의를 바칠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한 심각한 질문이 던져졌다. 대다수가 今王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前王에 대한 의리와 충성을 주장하는 사례가나타났다. 반면, 주변의 다른 지역들이 반란에 가담할 때 延州는 조정에 대한 변함없는충성을 표명하며 독자 노선을 선언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고려 명종대 충의의 대상에대한 異見이 표명되고 그로 인해 자신들의 생존과 안위에 위협이 되는 결정을 내리게되었던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충의 담론의 여러 양상을 확인하고 전기로부터 형성되어온 충의론의 대체적인 흐름을 정리해 보았다. 김보당 및 조위총 등, 전왕에 대한 충의를 강조하였던 주장은 고려 초부터의 이어져 온 전통적인 국왕 중심의 충의론과는 다소 동떨어져 보이며, 오히려 2차 침입 시 거란 聖宗이 내세웠던 ‘군주를 시해한 역적을토벌한다’는 지적과 연결되는 면이 있다. 조위총은 전왕에 대한 충의를 고수하면서도결국에는 타국에의 투항을 결정하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렸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근거지를 유지한 채 타국에 투탁하고자 하였는데, 이후 이와 같은 유사한 반란 사례가 다수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조위총의 난이 의를 내세워 타국에 투항한[據義附他]의 최초사례로서 영향을 주었던 것이라 정리해 보았다. As King Ui-jong was abruptly deposed and King Myeong-jong was unexpectedly enthroned by a coup d’eta in the ninth month of 1170, a question was seriously placed on the Goryeo society ; who would be the rightful king to be legally honored?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individual discourses of the loyalty of significant figures, including Kim Bo-dang, Jo Wi-chong, Hyun Deok-su. Kim and Jo respectively launched military campaigns against the current king and the military authority. They expressed clearly that they did not agree with the abrupt and illegal dethronement of king Ui-jong. On the contrary, Hyun took the side of the current king Myeong-jong while his fortress-town was menaced by the followers of Jo. Jo Wi-chong’s remarks and behaviors seem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ing-centered loyalty discourse of the Goryeo Dynasty. In that respect Jo’s idea would be placed next to the Khitan emperor Sheng-zong’s criticism on the Goryeo people who were ignorant about the dethronement and suspicious death of king Mok-jong. Jo’s campaign did not succeed and at the last moment Jo decided to surrender to the neighbor country, Jurchen Jin, not to his own country. Yet, he also did not give up his people and the territory. Jo wanted to seek asylum with territory therefore he could maintain his people and power, and also did not betray his loyalty to the king. Jo’s unique attempt inspired many traitors of the later period of Goryeo.

      • KCI등재

        13세기 고려 기록에 나타난 몽고와그에 투영된 고려인

        이미지 만주학회 2014 만주연구 Vol.- No.17

        In the 1st month of the 6th year of the King Kojong’s reign This review has been ignited from this episode quoted above, it is an excerpt from the Koryŏsajŏryo. After reading this stunning account, I collected the records carrying the Koryŏ people’s observations on the newly acquainted Mongols. The Koryŏ people mainly noticed the differences in etiquettes in several occasions,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ngols and the Koryŏ were documented in an unfavourable voice. The 13th century Koryŏ people called the Mongols “savages” and described the Mongols as “beastly”, “barbaric”. Comparing the series of accounts on the Mongols with the course which the Koryŏ people had gone through while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the neighboring Khitans in the 10th-11th century I assume that the Koryŏ people feared any new neighbors who had happened to share the border with their dynasty since the new polity could possibly menace the Koryŏ through the land route any given time. Thus Koryŏ people’s fear for the new polity on the border was expressed in derogation in Koryŏ documents. For the question why the Koryŏ people designated the Mongols as barbarians I suggest that we should take the standpoint of the Koryŏ people of the early 13th century. They had lived within a certain world order of their own that had been maintained for almost 300 years since the Koryŏ dynasty had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0th century. In order to preserve the world with which they had been acquainted the Koryŏ people first had to belittle the newcomers from outside of their ‘world’ and declared them as ‘barbarians’. Then the Koryŏ could slowly take up the Mongol as a new partner who they had to deal with, and eventually they accepted the newly formed Mongol-centered world order. This process not only was applied to the relations with the Mongols but functioned as one of the typical diplomatic tactics of the Koryŏ. 몽고의 관습과 행동 양식을 매우 낯설게 여긴 13세기 전반기 고려인들은 이들을 지칭할 때 禽獸, 오랑캐 등과 같은 폄칭을 사용하거나, 이들에 대해 부정적인 묘사를 남기면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13세기 초 몽고가 등장했던 때는 고려가 세워지고 송, 거란, 여진 등과 적정한 외교 관계를 수립한 뒤 그에 따라 구성된 외교적 질서에 적응한 지 300여 년이 흐른 시점이었다. 고려인들로서는 자신이 발을 딛고 서있는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면서도, 그 세계에 속해 있지 않던 몽고를 수용하는 방법은 새 집단인 몽고를 기존 질서에 속해 있지 않았던 외부자, 즉 오랑캐로 보는 방법뿐이었다고 추정해 보았다. 이에 따라 몽고인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고려인이 느낀 이질성은 야만의 속성으로 규정되었고, 따라서 양국의 초기 교섭 시기 고려 내부의 기록 속에는 몽고에 대한 폄칭과 부정적인 시각이 자주 등장하였다. 이렇듯 고려가 그 주변에 새롭게 등장한 몽고와 같은 외부 집단을 일단 오랑캐로 규정하여 그들의 이질성을 인정한 후 그들과의 관계를 구축해 가는 방식은 전기의 사례와 비교해 볼 때 고려의 특징적인 對外 적응 방식의 하나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고려 무신정권기 군공자 포상 제도의 운영과 특징

        이미지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This paper is a partial outcome of an on-going quest to answer how the Goryeo dynasty compensated the war veterans and the merits. The dynasty confronted a hundred years' military regime during which a group of military officials controlled power and the ruling system. Goryeo also experienced wars inside out. The heads of the military regime had to cope with the rivals and the uprising of the lower class. Internationally the Khitan rebels came first to be dealt with and the Mongols followed. The military regime managed most of the events through military operations. Thus one could imagine how many brave soldiers and officers were active in the battles and expect diverse examples of reward and discussions on the rewarding system. Surprisingly enough, on the contrary, we could find a very small quantity of the related records.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lack of records is an evidence that the rewarding system of the dynasty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n attained institution during the 10th and 11th century. Also, the two aspects of the heads of the Choi military regime, both as a beneficiary and an executor of the rewarding system, further discussed in the paper in regards of the disintegration of the stat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