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교과 전담교사의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이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미아,강영심,박지혜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교과 전담교사들의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이 장애아동을 위한 교수적 수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 초등학교 영어교과 전담교사 190명의 설문응답결과를 토대로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도 차이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통합수업을 찬성하는 영어교과 전담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교수적 수정을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수적 수정의 하위 영역별로는 교수평가 영역을 제외한 교수환경, 교수 집단, 교수방법, 교수내용 영역에서 통합수업을 찬성하는 영어교과 전담교사가 통합 수업에 반대하는 교사에 비해 교수적 수정을 많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통합수업에 찬성하는 영어교과 전담교사의 교수환경에 대한 수정은 3.3으로 보통 정도인 반면, 교수평가 영역에서의 수정은 1.95로 보다 낮았다. 둘째, 초등학교 영어교과 전담교사들의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에 따라 하위문항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쉽게 수정 가능한 물리적 교수환경이나 교수집단의 수정은 어느 정도 실행하지만 장애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수준을 고려해야하는 교수내용 및 교수평가의 수정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어교과 전담교사들의 통합수업 인식 제고와 교수적 수정을 위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ween English teachers who agree and who don't agree on inclusive class. The subjects were 190 English teachers who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s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City or Kyu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background information, perception about inclusive clas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Aft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89 English teachers pro-inclusive class and 101 English teachers anti-inclusive class,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otal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4 sub-area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nstructional environment · groupings · method · contents except instructional evaluation.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evalu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rarely executed in both group.

      • KCI등재

        청장년층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 역량 예측요인 분석

        이미아,김태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 Vol.21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digital citizen competency in young and middle-aged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16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2020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sults: First, digital citizen competency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age increased, the education level increased, and the disability level decreased. Second, digital citizen competency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educational level.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attitudes and motivation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order to strengthen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the disabl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장년층 장애인들의 디지털 시민 역량에 대한 예측 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장애인 조사 표본 5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심리학적 변인에 따른 디지털 시민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시민 역량 수준은 장애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수준이 경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장년층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 역량을 예측하는 변인은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 디지털 기기 이용 동기, 학력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애인들의 디지털 시민 역량 함양을 위하여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와 디지털 기기 이용 동기와 같은 심리적 변인을 고려하여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 등이 결정될 필요가 있음을 시시한다.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예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미아,황순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eacher development in a microteaching experience. Sixteen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fifteen sections of the course. Data consisted of participants' self reflective essays of their microteaching performance. Findings revealed that mocroteaching experience was very effective method of planning and teaching future lessons and communication skills. Self and peer evaluation provided feedback to the students and th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hcers identified teaching strength and weknesses. Also, mocroteaching experience help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think the roles of teacher and develop the skills of effective and reflective teaching.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특수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예비특수교사들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N대학의 특수교육전공 및 부전공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과 과목에서 마이크로티칭을 적용한 모의수업을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마이크로티칭을 경험한 이후 교육계획안 작성, 발문, 수업기술, 모의수업,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초등특수교사로서의 자세, 교사양성과정에서 마이크로티칭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들의 교수계획작성과 수업시연에서의 발문 등 교수기술에서의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평가자들에 의한 평가를 통해 수업기술 향상은 물론이고 평가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또한 교사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이크로티칭이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수행: Kansas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아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정서행동장애는 다양한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련 서비스들이 통합되고 조직화되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정서행동장애아동과 가족 지원을 위하여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학-지역사회 협력의 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캔사스 대학과 지역사회협력에 대한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지원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의 효과적인 협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order to meet the challenging needs and behaviors of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we need to integrate and deliver related services and supports sustainably. In addition,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mmunity-based services agencies have common interests in improving professional practice and advancing knowledge in the profession. This study explored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s by examining the workings of Kansas University and Kansas community. This report asser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effective collabora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community in an effort to support the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 KCI등재

        Toward an Integration of Life and Faith: A Study of Thomas H. Groom’s Shared Christian Praxis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22

        One of the primary goals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nurture a whole person who is integrated in one’s life and faith. For this educational task, Christian education needs a pedagog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Thomas H. Groom’s educational proposition of shared Christian praxis gives us a good insight for the Christian educational practice. This paper looks at Thomas H. Groom’s pedagogical foundations, and then the components and five movements of his shared Christian praxis as an educational methodology. Moreover, this paper considers an educational application to a Christian education field using shared praxis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 지각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미아,강영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05 지적장애연구 Vol.7집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program on the perceived and actual physical competence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M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students with MR(8 females and 6 males, MA= 13.8) and were selected to 3 middle schools located in Busa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administering Pictorial Scales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PSPPCCMR; Ulrich & Collier, 1990). Actual physical competence was measured quantitatively on the 10 gross motor skills represented on the PSPPCCMR.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for 6 weeks. The traditional play program used as an exercise gross motor skill activity was a 45-minute one. This program put into practice three times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econd, The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tual physical compet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be found that the traditional pla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ctual physical competence of adolescents with M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전통놀이를 재구성하여 만든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3개 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중등부 정신지체학생 14명(여자 8명, 남자 6명)이며, 연구방법은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전통놀이 가운데 기본운동기술과 기체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총 12가지 전통놀이를 선정하여 6주간 각 학교별로 주 3회 총 18회 실시한 뒤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도구로 신체유능성지각의 변화는 Ulrich와 Collier(1990)가 제작한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신체유능성지각 그림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운동능력의 변화는 신체유능성지각검사의 항목의 내용에 따라 실제 운동능력을 양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는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과 실제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차이분석을 위한 대응표본 t-검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놀이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유능성지각 변화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반면, 실제 운동능력 향상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전통놀이는 정신지체학생들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충분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

        이미아,신수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와 통합교육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광주⋅전남지역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179명의 예비유아교사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 인식에 대한 기초통계,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검증,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전체 통합교육 신념과 통합전문성, 통합협력, 통합효과, 통합인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합의지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여부에 따라 통합교육 신념에서 차이가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학년과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경험은 통합교육 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이해교육의 필요도는 높게 인식한 반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자신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자신감이 높고,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셋째,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필요도, 이해도, 자신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이해교육의 관심도와 필요도, 이해도는 상관관계가 있지만,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필요도와 자신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유아 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 및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육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한편, 장애이해교육에대한 이해도 증진과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에 대한 실행연구

        이미아,김영미 한국발달장애학회 2017 발달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모형 개발을 위한 사전단계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해 보고 실제적인 개선사항 등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같은 학교에 근무하고 있 는 특수교사 1명과 일반교사 1명을 한 팀으로 하여 총 2팀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실 행연구 설계를 토대로 문제 파악 및 계획수립, 계획에 따라 실천과 변화의 과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을 실시하였다. 실행과 관련하여 사전 협의, 사전 수업 촬영, 4주간 의 컨설팅, 사후 수업 촬영, 사후평가의 5단계 절차로 진행되었다. 통합교육 지원 컨설 팅 실행에 대한 면담과 협의록, 수업지도안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범주화와 주요 사례 추출을 실시하였다.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을 통해 정기적인 만남을 통한 수업 공유, 장 애학생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관심과 고민,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이라는 긍정적인 이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의 시작과 수준의 문제,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방법의 다각화, 통합교육 지원 컨설턴트의 자질 함양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ctional improvements implementing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support consulting with teachers as the preliminary stage for the developing the consulting model for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Two tea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team ha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working at the same school. There were 5 procedures, pre-consultation, pre-class shooting and analysis, 4 week consulting, post-class shooting and analysis, and evaluation. The in-depth interview, the class video and the other records(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ome advantages(sharing inclusive class from the regular meeting, paying atten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the better implementation of the consulting, awareness on the consulting supporting the inclusive education and time for the consulting supporting the inclusive education, adjusting the different views on consulting period, suggesting various consulting methods and deliberating consultants qualification are to be studied.

      • KCI등재

        목회자가 경험한 찬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미아,조희연,문소영 기독교학문연구회 2022 신앙과 학문 Vol.27 No.3

        Praise is music that exalts, praises, and glorifies God, and has spiritual strength and healing power.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 pastor's experiences in prais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ata collection began on February 14, 2022, and six pastors with experience in the praise ministry were purposely sampl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through man-to-man in 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Results consisted of 31 topics, 12 subject collections, and 4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derived are the perception of identity as a saint, the promotion of the pastor's sense of mission, the awakening of worship, and the reinforcement of community. Through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at praise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lives and worship of pastors and saints, an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in individual internal, external, and spiritual areas, and churches, communities, and wor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value of praise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pastors' vivid experiences. In addition, it is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have discernment from a biblical perspective so that the songs of praise that the members prefer and sympathize with can be properly applied to worship and personal life. 찬양은 하나님을 높이고 찬송하며 영광을 돌리는 음악으로 영적인 힘과 치유의 능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찬양에 관한 목회자의 경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어떠한가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 14일부터 시작하였고 찬양 사역의 경험이 있는 목회자 6인을 연구 참여자로 목적 표집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 및 추가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31개의 주제와 12개의 주제 모음, 4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성도로서의 정체성 인식’, ‘목회자의 사명감 고취’, ‘예배의 각성’, ‘공동체성의 강화’이다. 논의를 통해 찬양은 목회자와 성도들의 삶과 예배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탐구할 수 있었으며, 개인 내적, 외적, 영적인 영역, 그리고 교회와 공동체, 예배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회자들의 찬양에 관한 생생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인터뷰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찬양의 가치에 관한 경험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도들이 선호하고 공감하는 찬양곡들을 예배와 개인의 삶에서 바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성경적 관점에서 분별력을 가져야 할 것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