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맞춤법 조항에 대한 몇 가지 쟁점-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이동석 ( Dongseok Lee ),이경숙 ( Gyeongsuk Lee ),이지현 ( Jihyeon Lee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5 문법 교육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to investigate some issues arising from certain spelling conventions in Korean, using a survey of experts`` consciousness of these conventions as a foundation. The group of experts used in the study was composed of Korean linguists, journalists, publishers, teachers, and Korean language policy experts. The Delphi method was used in two different rounds. Fifty-three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irst round (Delphi I) and fifty-two participated in the second round (Delphi II). Delphi I consisted of a series of 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while Delphi II consisted of twenty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e experts`` opinions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spelling conventions for [s](``ㅅ``) epenthesis, word spacing, and the adverbial derivational suffixes ``-i’, and ‘-hi’. Experts agree with the abolition or reduction of [s](``ㅅ``) epenthesis, and further agree that the adverbial derivational suffixes ``-i’ and ‘-hi’ should follow spelling rather than pronunciation rules. However, although the experts were in agreement regarding the revision of word spacing, they were not able to agree on a specific metho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in revising Korean orthograph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훈민정음 반포와 한글날에 대하여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훈민정음의 반포에 대해서는 세종 28년설, 세종 25년설, 세종 30년설, 자세한 반포 시기를 알 수 없다는 설 등이 존재하는데, 지금의 한글날은 세종 28년설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세종 28년의 훈민정음에 대한 기록은 ‘訓民正音成’으로서 훈민정음의 원고가 완성되었다는 것이지 훈민정음이 반포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훈민정음의 반포에 대해서는 역사적인 기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시기를 정확하게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글날에 ‘훈민정음 반포 제○○○돌’이라고 선포를 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잘못된 일이다. 그렇다면 한글날을 굳이 반포된 때인지도 확실하지 않은 세종 28년을 기준으로 기념할 이유가 없다. 한글날은 한글을 창제한 날로 기념하는 것이 타당해 보이므로 현행 한글날을 세종 25년 12월을 기준으로 하여 양력1월로 기념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regarding the time when Hunminjeongeum was proclaimed: some say it was in 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ule, others say it was during the 25th year of his rule, and others say it was during the 30th year of his rule. And there are others saying the exact time of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cannot be identified. But the current Hangeul Day was designated following the theory of 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ule. But the record about Hunminjeongeum of 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ule is in ‘訓民正音成,’ which means that the manuscript of Hunminjeongeum was completed,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Hunminjeongeum was proclaimed.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about the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so it is difficult to say the exact time. Therefore, it is wrong to declare ‘○○○th anniversary of Hunminjeongeum proclamation’ on any Hangeul day. Then there is no reason to celebrate Hangeul Day according to 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ule theory. Since it seems more reasonable to commemorate Hangeul day based on the day it was created, it seems more proper to commemorate it on January 1st, following the month it was created, which is lunar December of the 25th years of King Sejong’s rule.

      • KCI등재

        음운과 매체

        이동석 ( Dongseok Lee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6 No.-

        This paper looks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y and media. I divide the media into print, videoㆍaudio and communications media. In the print media the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can’t fulfill the one-to-one correspondence . In the video & audio media the news is expected to keep a good standard pronunciation, but actually it is not. There are many errors of print media in the captions of the news and entertainment program. The written language of the communications media has an exceptional aspect deviated from the norm. In the phonological education, it is the print media is used most often. The various articles of newspapers and books are utilized and the pictures such as articulation organ and map are used in the textbooks. Consonant and vowel system tables are also used frequently in the textbooks. In the case of video media the dialogues and scenes of the movie are used in printing. And in some textbooks it is possible to use audio media. In the case of communications media questions and answers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homepage or mobile phone text messages are used in the textbooks.

      • KCI등재

        「鷄林類事」의 여성 명칭어 연구

        이동석(Dongseok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2 아시아여성연구 Vol.41 No.-

        1103년에 간행된 「鷄林類事」는 15세기 이전 고려 시대 어휘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다. 본고는 이 중 여성 명칭어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에 해당하는 어휘로는 ‘阿尼[尼], 了?[母], 了子彌[叔伯母, 姨, 妗], 長官漢吟[嫂], 漢吟[女子, 妻], ?妹[?], 了慈[妹], 細婢[自稱其妻], 寶姐/古召盲曹兒[女兒], 漢了彌[姑], 了村[婦]’이 있다. 본고의 전반부에서는 각 어휘의 해독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를 참고하며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해독을 제시하였으며, 해독 과정에서 드러나는 국어사적인 특징들을 언급하였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이들 어휘를 통하여 알 수 있는 12세기 여성 명칭어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12세기의 여성 명칭어가 현대 국어에 비해 덜 분화되어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12세기 여성 명칭어의 대부분이 중세 국어의 여성 명칭어와 연결된다는 점을 통해 고려의 언어와 조선의 언어가 연속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대별 어휘 비교를 통해 ‘겨집’과 같이 비교적 새롭게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어휘의 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고려시대의 남녀가 비교적 평등하였으며 모계 중심 사회의 특징을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ppellations of womanhood in 「kyerimyusa」. 「kyerimyusa」 is the literature including the lexicon in the 12th century. In this literature an objects of the lexical study are as follows; 'ani'[a Buddhist nun], '?mi'[mother], 'a??mi'[an (maternal) aunt], '?aηkwan-han ?m'[one's elder brother's wife], 'han?m'[woman, wife], 'imai'(?)[an older sister], 'az?'(?)[younger sister], 'sebi'/'?<SUP>h</SUP>?kpi'[one's own appellation of his wife], 'p?t?l'/'?yogoman ?zi'(?)[daughter], 'han?mi'[a woman's mother-in-law], 'a?<SUP>h</SUP>an'[a daughter-in-law]' I found several relevant facts. First, in the 12th century the appellations of womanhood had been undifferentiated compared with those of current Korean. Second, the language of Koryo had been continued to the language of Choson. Thirth, new words in matters of the appellations of womanhood had appearanced between Koryo and Choson. Fourth, in Koryo comparatively sexual equality had secured as a matrilineal society.

      • 재해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대설 피해분야 도출

        이동석(Dongseok Lee) 비즈니스인텔리전스연구소 2023 비즈니스인텔리전스연구 Vol.1 No.1

        최근 지속적인 기후변화와 도시화, 고령화 등으로 재해기상으로 인한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예보로서 영향예보(Impact-based forecasting) 서비스의 체계적인 구축을 위하여 대설재해기상에 대한 피해분야를 언론기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최근 약 10년 간 대설 피해를 언급하고 있는 언론기사를 수집하여 기사 본문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대설 피해분야를 도출하였다. 특히 텍스트에서 나타난 단어 간 유사도를 기반으로 유사한 단어의 군집을 하나의 피해분야로 간주하였으며, 분석 방법론으로서 군집분석, 토픽모델링,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설 피해분야는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육상교통 피해, 항공교통 피해, 해상교통 피해, 산간지역 피해, 시설물 피해, 그리고 생활안전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재해기상의 피해정보를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방법론은 타 재해기상현상에 손쉽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확장성을 가진다. Recently, due to continuous climate change, urbanization, and aging, the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weather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study derived damage areas from heavy snow disaster weather using media article big data in order to systematically build an impact-based forecasting service as a forecast considering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disaster weather. Media articles mentioning damage from heavy snowfall over the past 10 years were collected, and heavy snow damage areas were derived based on the text of the article body. In particular,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words in the text, clusters of similar words were considered as one damage area, and cluster analysis,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olog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eavy snow damage in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Specifically, land traffic damage, air traffic damage, maritime traffic damage, mountainous area damage, facility damage, and life safety damage occur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zed the damage information of disaster weather using big data.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has high scalability in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disaster meteorological phenomena.

      • KCI등재

        ‘X어다보다’류 동사의 어원적 분석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9 No.-

        우리말 동사 중에 ‘X어다보다’류 동사는 어원적인 분석이 불분명하다. 특히 ‘쳐다보다’의 경우 어간 ‘치-’의 정체와 ‘쳐다보다’의 {위를 향해 보다}라는 사전적인 의미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 ‘쳐다보다’의 옛 어형은 ‘치와다보다’이고, ‘치와다보다’는 ‘치왇다’와 ‘보다’가 결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치왇다’의 원형은 ‘티받다’이고, ‘티받다’는 중세 문헌에서 {위를 향하다}, {솟다}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근대 국어 시기의 ‘치와다보다’는 {위를 향해 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국어사전에서 ‘쳐다보다’의 의미를 {위를 향해 보다}로 기술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어원적으로 ‘쳐다보다’는 강세 접미사 ‘-받-(-왇-)’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단어로는 ‘내다보다, 내려다보다, 들여다보다, 돌아다보다’ 등이 더 있다. 이 외에 ‘넘어다보다, 넘겨다보다, 건너다보다, 바라다보다, 올려다보다’ 등은 어미 ‘-어다’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분석된다. Among Korean verbs, the etymological analysis of verbs deriving from the type ‘X-eo-boda’ is unclea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yeodaboda’, there have been questions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stem ‘chi-’ and its meaning, ‘to look up’, in dictionaries. It is analyzed that the old form of ‘chyeodaboda’ is ‘chiwadaboda’, and ‘chiwadaboda’ stemmed from combination of ‘chiwada’ and ‘boda’. The original form of ‘chiwatda’ is ‘tibatda’, which was used to mean ‘toward upward’ or ‘to soar’ in the Middle Korean. Also, since ‘chiwadaboda’ in the early modern Korean meant ‘to look upwards’, it would be possible to describe the meaning of ‘chyeodaboda’ in the Korean dictionaries as ‘to look upwards’. Etymologically, ‘chyeodaboda’ includes the stress suffix ‘-bat-(-wat-)’, and other words with this structure include words like ‘naedaboda, naelyeodaboda, deul-yeodaboda, dol-adaboda’. In addition, when analyzed, ‘neom-eodaboda, neomgyeodaboda, geonneodaboda, baladaboda, ollyeodaboda’, etc. also have a structure that includes the ending ‘-eo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