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성 개념의 근린공원 스마트보안등 디자인 방향성 제안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활용의 측면에서

        이도훈,김병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자원의 한계성으로 인한 현대 도시의 지속가능한발전은 중요한 사회적 목표이며 스마트도시는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폐배터리 활용에 관한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스마트도시의 한 축을 이루는 근린공원은 주민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도시 공간이다. 그러나 근린공원은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폐배터리를 활용한 스마트보안등 디자인은 근린공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개념의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 활용한 근린공원의 스마트보안등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범위 및 방법) 지속가능성 개념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근린공원의 스마트보안등의 역할과 특성을 연구하고 폐배터리를 활용한 스마트보안등 디자인을 연구의 범위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보안등 디자인 사례조사와 스마트보안등의 지속가능 개념 정의를 통해 디자인 방향성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폐배터리를 활용한 디자인을 도출하고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해 고려항목의 유의성을 확인한다. (결과) 제품 개발을 위한 지속가능성은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의 조화로 이루어 짐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스마트보안등 개념 정의를 활용하여 디자인 고려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요소의 조화로운 적용을 통한 스마트보안등 디자인을 제안하고 전문가의 설문을 활용해 고려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보안등 디자인 개념을 정의하였다. 환경성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 및 빛 공해 방지, 시각적 조화가 강조되며 경제성 측면에서 폐배터리 활용, 모듈형 구조 및 생산성, 효율성을 지향하여야 하며 사회성 측면에서 사회적 다양성에 대한 배려 및 비상벨 등을 통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앞서 도출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고려항목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의 설문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디자인에 지속가능성 요소의 균형 있는 적용에 도움이 된다. 셋째, 폐배터리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개념의 스마트보안등 디자인을 배터리나 광원 부의 유형별로 안전성,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 요소를 균형 있게 적용하여 스마트보안등 디자인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폐배터리를 활용한 근린공원 스마트보안등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due to resource limitations is an important social goal. In this environment, electric vehicles are rapidly spreading, and accordingly,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waste batteries occur. In this trend, neighborhood parks, which form one of the pillars of smart cities, are important urban spaces that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lives. However, with the growth of the city, neighborhood parks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safety and efficiency, and smart security light design using waste batter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security lights in neighborhood parks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terms of using wast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Method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security lights in neighborhood parks will be studied, and the design of smart security lights using waste batteries will be the scope of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s def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design direction is explored through a case study of design such as security lights and a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concepts such as smart security. Through this, a design using waste batteries is deriv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valuation items is confirmed through a survey of experts. (Results) Sustainability for product development wa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ity, and through this, the design direction was inferred by deriving evaluation items that specify sustainability using the concept definition of sustainable smart secur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concept of smart security lights based on sustainability was defined. Smart security lamps shall emphasize energy efficiency, light pollution prevention, visual harmony in terms of the environment, use of waste batteries, modular structure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terms of economy, and secure safety through consideration of social diversity and emergency bells in terms of sociality. Second,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based on the previously derived concept definition of sustainable smart security lights. In respons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an expert group. Third, a sustainability concept smart security light design using waste batteries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each type of battery and light source, and all three sustainability surveys showed similar levels. Through this study, sustainability factors are applied in a balanced manner and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smart security lights in neighborhood parks using waste batteries.

      • KCI등재

        고령 운전자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가로등 디밍 환경에 관한 연구

        이도훈,김병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 배경 및 목적) 인류의 발전과 함께 도시화는 급격하게 진행됐으며 이러한 도시화는 환경오염, 복잡한 교통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변화로 스마트기술이 도시와 융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도시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곳곳에 있는 가로등이며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빛의 밝기를 조절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스마트가로등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로 가는 과정에서 늘어나고 있는 스마트가로등의 디밍 환경디자인이 가로환경의 밝기 기준을 만족하는 지와 고령 운전자의 시각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스마트가로등 가로환경을 공간적 범위로 하고 주 독립변수로 스마트가로등의 디밍(%)을 적용하였다. 우리나라는 2026년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교통사고 사망 사고의 경우 전체 사망자는 줄어들었으나 고령자의 경우 2016년 40.4%에서 2021년 44.4%로 그 비중이 4% 상승하여 고령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고령 운전자는 인지능력이 떨어져 가로환경의 밝기 관리가 더욱 필요하며 밝기 20lx에서 인지능력 변화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스마트가로등의 디밍 환경디자인에 대한 기준이 아직 명확하지 않기에 설치 사례를 바탕으로 문제의식을 느끼고 다음의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1. 일자형 대로에서의 적합한 스마트가로등 디밍 환경디자인 범위는 50%~100%일 것이다. 2. 스마트가로등 디밍 환경디자인의 교차로(대로+소로) 밝기 차이가 고령 운전자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Relux(프로그램)를 활용해 가상 디밍 환경을 디자인하고 지침 가이드에 따라 조명 환경조건을 적용하였다. (결과) 이를 통해 조도, 휘도에 관한 결과 분포를 추출하여 디밍 50%에서 조도 17lx 디밍 100%에서 34lx 가 출력되었으며, 순응 현상 발생영역 14lx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가로등 디밍 환경디자인의 적합한 디밍 범위와 이를 통한 디밍 환경디자인이 고령 운전자의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형 대로에서의 스마트가로등의 적합한 디밍 범위는 50%~100%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50%에서 조도 17lx로 인지능력 변화기준 20lx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가로등의 디밍 환경디자인이 고령 운전자의 시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다. 주택가의 어두운 소로(3lx)에서 진입할 때도 최소 디밍 50% 적용 시 17lx 조도 확보로 고령 운전자 시각 인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가로등의 디밍 환경디자인이 고령 운전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가로환경에서의 스마트가로등의 디자인 지속가능성과 스마트기술을 통한 색온도의 변화가 도로 환경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독립영화의 ‘공간적 선회’: 2008년 이후 한국 독립영화의 공간성 연구

        이도훈 문학과영상학회 2013 문학과영상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space represented in Korean independent films for the past five years since 2008. The recent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contributed themselves to representing the social,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 of places instead of re-arranging the scene. Based on second text-centric analysis conducted on film festival catalogues, film magazines, and academic journals, this study has categorized spatial implications into three types; an ontological space that contains sense of the place itself; a violent space that is oppressively dominated by authority and capitalism; a heterogeneous space that generates distinction regarding gender, race, and class. Then, The physical space was discovered by careful examination on visual materials alongside the text analysis. The physical space that provides the base ground for everyday life and has human beings reverted into the logics of capitalism. Space carries significant meaning as an aggregate and a product of social relations. This calls for the transition in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s in terms of the messages that are embedded via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