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選多型 評價 問項 開發의 節次와 實際

        이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o develop an item, you have to go through the steps of designing an item, producing a given writings, making a question, and answering items. In the design phase, the evaluation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should be determined, and the item should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given writings well. In the given writings production stage, high-quality given writings should be produced considering the validity and level of students. Given writings should be informative enough to handle multiple evaluation items. You should also make your given writings as readable and readable as possible. The ques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 to be evaluated, and the predicate should be chosen considering the nature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answering items must be filled out first, and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should not be intactly taken. The answering item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difficulty level by combining the contents of the given writings, the contents outside the given writings, background knowledge, and macro and micro propositions. 이도영, 2019, 읽기 선다형 평가 문항 개발의 절차와 실제, 183 : 409~432 문항을 개발하려면, 문항 설계·지문 제작·문두와 답지 작성 단계를 거쳐야 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평가할 내용(독해력의 수준)과 문항의 난이도를 결정해야 하며, 지문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지문 제작 단계에서는 평가의 타당도와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적이면서도 양질의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지문은 여러 평가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정보가 풍부해야 한다. 또한 지문의 완성도를 최대한 높이고 읽을 가치가 있는 지문을 제작해야 한다. 문두에는 평가할 내용을 담아야 하며, 독해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두의 서술어를 선택해야 한다. 답지 작성 시에는 먼저 정답지를 작성하고 오답지를 작성해야 하며, 지문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가져와서는 안 된다. 지문의 내용, 지문 밖의 내용, 배경 지식, 거시 명제·미시 명제 등을 결합하여 난이도를 고려한 답지를 제작해야 한다.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불량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중도구축개념의 검증

        이도영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5 No.6

        This study address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for poor housing residents is based on I00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dditionally, a total of 30 housing professionals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study results Three types of building technology - basic building technology,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and code compliant technology - are examined in a comparative manner The data are obtained in two separate steps site visits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in a form of face-to-face interview. The study sample is selected in a random base. The results are reported via t-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backwar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veral findings are obtained. First,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is the most urgent need to solve poor housing problems as reported by both residents and housing professionals, though the need is significantly higher among housing professionals Second, a few resident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needs. Employed and higher income earned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give value to intermediated building technology as a solution to their poor housing problems Thud, the more basic building technology needs, the lower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needs. Additionally, intermediate building technology needs are found to be the negative function of code compliant technology needs.

      • EBS 연계 정책의 진단

        이도영 한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고에서는 EBS 연계 정책의 핵심인 EBS 연계 교재의 특성을 살펴본 다음, 이를 바탕으로 EBS 연계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EBS 연계 교재는 참고서의 종합 선물 세트와도 같다.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교재라 할 수 있다. 수능과 직접 연계를 하지 않는다고 해도 EBS 연계 교재는 그 자체로 양질의 교재라 할 수 있다. 현재 EBS 연계 교재는 ‘개념 학습중심 접근법’과 ‘문제 유형 공략 접근법’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학교에서 교과서 대신 EBS 연계 교재로 수업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교육도 배려해야 하고, 학생들의 수능 점수도 올려야하기 때문에 교재의 성격을 명확하게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 EBS 연계 교재는 필히 수능과 관련을 맺을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능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습 방법을 EBS 연계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상의 EBS 연계 교재의 특성을 바탕으로 EBS 연계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 생각해야 한다. EBS 연계 교재가 공교육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의 역할을 충실히 하려면 직접 연계를 포기해야 한다. 반영 비율의 문제는 논리의 문제가 아니므로 학문적으로 뭐라 말하기가 어렵다. 몇 퍼센트를 반영해야 공교육을 잘 보완할 수 있으면서도 사교육을 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답을 내놓을 수가 없을 것이다. 50% 이상의 간접 연계 방식 정도가 합리적일 것이라 제안해 본다. 둘째, 수능과의 연계 방식을 재설정해야 한다. 직접 연계냐 간접 연계냐의 문제는 국어영역의 입장에서 보면 이는 그리 큰 문제가 안 된다. 따라서 국어 영역에서는 간접 연계로 전환을 하더라도 큰 상관이 없다. 셋째, 양질의 다양한 언어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국어 영역은 언어 자료를 주고 이를 근거로 문항을 설계한다. 따라서 양질의 좋은 언어 자료를 다양한 분야에서 선정하고 적절한 지문 난이도를 유지해야 연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넷째, 문항의 질을 높여야 한다. 수능 문제의 유형화를 피하려면 신유형 개발에 힘을 써야 한다. 신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평가 내용의 새로움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형식의 새로움이다. 평가 내용의 새로움을 추구하려면 기존 수능에서 출제되지 않았던 성취 기준을 골라 문항을 설계하거나, 둘 이상의 성취 기준을 결합하여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평가 형식의 새로움을 추구하려면 문항을 푸는 과정을 기존의 문항과 달리하거나 지문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하려는 시도를 해 봐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간접 연계 방식으로 50%이상 연계한다면 공교육과 큰 마찰 없이 EBS 연계 정책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시아인의 일측성 성대마비 치료에서 Calcium Hydroxyapatite의 효과

        이도영,정은재,권성근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8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9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valuate efficacy and complication of injection laryngoplasty using calcium hydroxyapatite (CaHA) for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in Asian. Materials and Methods: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ult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from May 2015 through January 2016. Injection laryngoplasty was performed by one laryngologist. All patients underwent prospective voice evaluation using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omprehensive battery of assessments, before the procedure and after the procedure at 3 months, and 6 months. Results:A total of 7 patients (5 males and 2 fema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VHI-10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jection laryngoplasty, at postoperative 6 months (p=0.031), while VAS score and MDADI showed no difference. GRBAS scale gradually decreased in 3 months and 6 months follow-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coustic analysis revealed that jitter, shimmer, and noise-to-harmonic ratio continuously decreased from the baseline at 3 months and 6 months,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attained. In the aerodynamic analysis, maximal phonation time was gradually increased at 3months and 6 month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p=0.016, 0.03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de effect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Conclusion:CaHA can be safely used in Asian patients and the onset of maximal efficacy seems to be slow than other studies with Caucasian patients.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Tinnitu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도영,김영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8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1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intake and tinnitus prevalence by evaluating a large cross-sectional cohort.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llected between 2013 and 2015 were analyze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7,621 individuals aged 40 to 80 years with complete tinnitus-related data. Individuals with inadequate responses to tinnitus history, noise exposure in the work place, or subjective hearing loss were excluded. Prevalence of tinnitus and tinnitus-related annoyance, and nutrition intake were measured using this questionnaire, and associations between tinnitus and nutritional data were evaluated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bjective tinnitus was reported by 1,435 individuals with subjective normal hearing (18.8%). Prevalence of tinnitus increased with age. However, among individuals with tinnitus,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tinnitus-related annoyance was similar across age groups. Older age, female sex, lower body mass index (BMI), and less vitamin B2 intak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innitus (P<0.001, P=0.002, P=0.041, P=0.013, respectively). Vitamin B2 intake was significantly less in individuals with tinnitus who were middle-aged (ages 51–55 and 56–60 years, P=0.012 and P=0.020, respectively). Less intake of water, protein, and vitamin B3 were associated with tinnitus-related annoyance (P=0.038, P=0.009, and P=0.005, respectively). Prevalence of annoy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water intake in younger ages (age 45–55 years) but with less protein and vitamin B3 intake in older ages (age 66–80 years). Conclusion. Reduced intake of vitamin B2 and B3, water, and protein may be associated with tinnitus and tinnitus-related annoyance, and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dequate nutritional intake in the tinnitus management need to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