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ST 승화법을 이용한 p-type 4H-SiC(0001) 에픽텍셜층 성장과 이를 이용한 MESFET 소자의 전기적 특성
이기섭,박치권,이원재,신병철,Lee, Gi-Sub,Park, Chi-Kwon,Lee, Won-Jae,Shin, Byoung-Chul,Nishino, Shigehir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0 No.12
A sublimation epitaxial method, referred to as the Closed Space Technique (CST) was adopted to produce thick SiC epitaxial layers for power device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aim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surface morphologies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iC epitaxial layers grown with varying a SiC/Al ratio in a SiC source powder during the sublimation growth using the CST method. The surface morphology was dramatically changed with varying the SiC/Al ratio. When the SiC/Al ratio of 90/1 was used, the step bunching was not observed in this magnification and the ratio of SiC/Al is an optimized range to grow of p-type SiC epitaxial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ptor concentration of epitaxial layer was continuous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iC/Al ratio. 4H-SiC MESFETs haying a micron-gate length were fabricated using a lithography process and their current-voltage performances were characteri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of the negative voltage applied on the gate reduced the drain current, showing normal operation of FET device.
이기섭,박효순 대한설비공학회 2001 설비저널 Vol.30 No.4
본고에서는 천장형 냉난방기기가 중규모공간에 적용될 때의 온열환경적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연구 동향과 아울러 중규모공간에 설치된 경우에 대한 온도 및 기류분포를 사례를 통하여 적용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기섭,박유인,서봉국,연순화,임지원,이규호 한국공업화학회 2001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1 No.-
최근 들어 탈용전 기체(Degasification)공정 및 기체 흡수(Gas Absorption)공정 등에 중공사막 접촉기(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HFMC)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 가장 큰 이유로는 단위 부피당 큰 유효면적으로 인해 기존의 분리공정들에 비해 물질전달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액간의 접촉을 통한 기체의 분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체흡수 공정의 경우 기존의 흡수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 즉 액체의 범람(flooding) 및 편류(channing)현상 등과 같은 기술적인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분리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공사막 접촉기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중공사막의 낮은 투과도와 두꺼운 막 두께로 인한 막 자체의 물질전달 저항 때문에 큰 유효면 적에 의한 빠른 전체물질전달 속도를 크게 상쇄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 에 의한 물질전달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전이 공정을 이용하여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소 수성이 뛰어난 Polyvinylidene fluoride(PVDF) 다공성 비대칭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그 구조 및 투과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기공크기, 0.015-0.031㎛; N<sub>2</sub> 기체 투과도, 1.3-0.7× 10<sup>-3</sup>(㎤/㎠ㆍcmHg) 으로서 중공사막 접촉기용으로 상용화된 기존의 PP 중공사막에 비해 기공크기는 작지만 약 4-8배정도 높은 기체투과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제조된 PVDF 중공사막의 기공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흡수제로 5% MEA수용액을 이용하여 CO<sub>2</sub>/N<sub>2</sub>(=20/80) 혼합기체에 대한 흡수실 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충진컬럼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분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차량용 오디오/AV수신기의 방송 수신 전파환경 측정, 분석과 재현 프로그램 개발
이기섭,이중근,Lee Ki-Seob,Rhee Joong-Geun 한국전자파학회 200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6 No.3
This paper introduces a program by which one can perform measurement, analysis, and simulation of electro-magnetic environment which affects on vehicular AV receivers. An integrated system of EM environment collected,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s, and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can be an important evaluating tool for the analysis of automobile AV receivers.
팔당댐과 경안천 습지에 번식하는 조류의 둥지 장소로서의 정수식물의 선택
이기섭,김미란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경기도의 경안천 습지에서 번식 조류의 둥지 장소로서의 정수식물에 대한 선호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6종의 조류가 정수식물에 번식하였으며 물닭 Fulica atra, 쇠물닭 Gallinula chloropus,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등의 둥지가 발견되었다. 둥지 장소로 이용한 곳은 애기부들 Typha angustata, 갈대 Phragmites communis 와 줄플 Zizania latitolia 이었다. 특히 애기부들은 번식조류가 가장 선호하는 곳이었다. 그에 비해 쓰레기가 쌓인 곳이나 밀도가 빽빽한 곳은 둥지가 거의 없었다. 내부의 덤불에서는 둥지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소택지 내 둥지의 평균 밀도는 3.1개였으며 논섬이 17개/ha 로 밀도가 가장 높았다. 둥지 밀도는 소내섬 주변 지역이 광동교 인근보다 높았다. 이것은 애기부들의 규모와 수질과 관련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marsh of Paldang dam and Gyungan-cheon, Gyeonggi-do province. 6 species bred on the emergent plants and the nests of Common Coots Fulica atra, Common Moorhens Gallinula chloropus, Great Reed-Warblers Acrocephalus orientalis, Yellow Bitterns Ixobrychus eurhythmus, Little Grebes Podiceps ruficollis and Great Crested Grebes Podiceps cristatus were found. The main vegetations of the nests were Narrow Leaf Cattails Typha angustata, Reeds Phragmites communis, and Wild Rices Zizania latitolia. Particularly, Narrow Leaf Cattails were the most favorite plants for breeding birds. Few nests were found on the emergent plants covered with rubbish, or on high density. And no nests found on the inside shrubs. The mean density of nests on the marsh was 3.1 nests per ha and the nests were highest in Non-island as 17 nests per ha. The nest density on the area of Sonae-islands was higher than the area of Kyangdong-kyo bridge. This would be related on the bulk of narrow-leaf cattails and the quality of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