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와 재활공학

        이근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4 기독교교육정보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real meaning of rehabilitation,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rehabilitation. It also talks about rehabilitation technology and overviews how technology can help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lders. Bible is the handbook of rehabilitation because Jesus Christ has spent most of his life helping persons with leprosy and disabilities. In an interdependent societ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the disabilities can both help each other to create a world which has no discrimination and all people are treated equal. Interdependence can be achieved by role competency enhancement, supplemental supports, relationship building. and systems advocacy Another word for rehabilitation technology which currently used is assistive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may include following areas; alternative computer access, sensory aid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seating and positioning, mobility,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 KCI등재

        u-Learning 기반 IT 직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이근민,김동옥,이신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u-Learning 학습매체인 IT 기기와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을 서로 호환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청각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그리고 u-Learning 기반 차세대 IT 학습 매체로서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장애인 기관협회의 수화통역사 사전교육을 통하여 경북․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100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 컴퓨터 교육과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에 대한 청각장애인에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수화 동영상 및 자막 서비스를 제공해 주지 않는 점과 더불어 강의내용에 대한 청각장애인의 의미파악에 어려움으로 인해 학습효과가 낮아 수화통역이 가능한 교수와 꾸준한 상호협력 및 멘토링이 필요하며, 또한 자막의 크기와 색상 및 배치, 수화동영상의 크기와 배치 등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용자환경 설정 및 강의 내용과 자막서비스를 동시에 텍스트를 제공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Learning 학습매체인 IT 기기와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을 서로 호환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 개설 시 수업참여 여부가 74%로 나타나 청각장애인에게 높은 기대감을 보여 IT 직업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T 직업교육과정을 수강하기 위한 선호하는 IT 기기로는 태블릿 PC가 가장 높았으며, IT 직업 교육과정의 개설과목으로 IT 관련 자격증 과목개설을 가장 많이 선호하여 취업을 연계하기 위해서 컴퓨터 중급부터 고급과정까지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의 다양한 콘텐츠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on-line and off-line computer education in order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learning and u-Learning - based IT voc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of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carry out this study, we had a preliminary education of this study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had working in a association of the deaf in Daegu, and had conducted a survey study participating for 100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living in Daegu-Kyungbook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factors such a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screen organization, learning effects, offering lecture material and subtitle, subtitle and sign language video of position and size, offering computer instructor who have a sign language interpreter with IT mentoring, on-line educational user environment setting must be considered factors for u-Learning - based IT voc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74% of the subjects showed their interest in taking a course, after u-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Third, the subjects preferred IT device was a tablet PCs and IT certification related courses as their IT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lso, to link between professional training and job opportunity, subjects will need a IT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such as comput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 KCI등재

        국내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실태조사

        이근민,김동옥,박혜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2

        본 연구는 u-Learning 기반 IT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청각장애인의 IT 교육과 직업 실태 분석을 통하여 청각장애인의 심도 깊은 욕구와 성향을 파악하고, 국외 청각장애인 IT 교육 훈련 사례를 통하여 직업연계의 청각장애인 IT 전문가 양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을 위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 IT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컴퓨터 초․중급 수준의 교육과 단기간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각장애인 IT 전문가 양성을 위해 2년제 및 4년제 대학 내 청각장애인 IT 관련 학과 과정이나 1년 이상의 IT 전문 직업훈련시설과정의 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Learning 기반 청각장애인 IT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음성서비스, 자막서비스, 화상 수화통역서비스, 튜터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 직업군 중 기능생산직에서 사무직으로 직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고, 또한 청각장애인의 이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각장애인의 전문가 양성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전문가 양성방안으로 u-Learning 기반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콘텐츠를 개발 후 지속적으로 청각장애인 IT 교육 포커스 그룹의 대상자를 모집하여 튜터서비스, 수화통역서비스, 취업연계 서비스가 필요하며, 미국 NTID처럼 온라인 코스와 오프라인 코스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IT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ep desires and learning tendencies of the deaf through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IT education and vocational status in order to develop IT education contents based on u-Learning.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to enhance the cultivation of IT experts who have hearing impairments based on training cases of IT education provided to domestic and overseas learner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education services are provided offline and online, these are onl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computer learning and are offered as short-term courses. In order to foster high-level IT Professionals, the education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IT-related programs within 2-year or 4-year programs; or a special one-year IT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voice services, subtitle services, video chatting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utoring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u-Learning-based IT education content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Third, in terms of occupations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occupations varied from manufacturing to office work. Moreover, subjects in the workforce showed a turnover rate, and this reinforces the need to implement the IT Professionals Training Plan for the deaf. Lastly, after developing u-learning-based IT education contents for the deaf as a way to cultivate IT Professionals, it is important to select participants of IT Education Focus Group and provide video chatting services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employment liaison services in a sustainable manner. IT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ntegrates both online and offline courses are also required which are similar to the NTID.

      • KCI등재

        미국의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 동향 분석 연구: NIDILRR에서 지원한 RERC 중심으로

        이근민,임성빈,권효순,임명준,이진현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장기적 관점에서 보조기기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 미국의 국립장애자립생활재활연구원에서 지원하는 재활공학연구센터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주체, 연구 기간, 지원 금액을조사하였다. 그 결과 101개의 프로젝트가 21개의 대학, 3개의 연구기관, 1개의 의료기관, 1개의 특수학교가주체가 되어 진행하였다. 짧게는 5년간 하나의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길게는 30년간 하나 주제를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Mobility focus’는 주로 지체, 뇌병변, 노인을 주요 타깃으로 사회적 참여에 기반을 둔 접근성과 이동에 대한 기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Communication and/or Cognition focus’는 감각 및 노인을 중심으로 ICT 기반 기술에 대응하여 물리적 접근, 정보 접근 방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있다. ‘Rehabilitation therapy and exercise focus’는 치료와 운동에 대한 최신의 기술 적용 방식을 중심으로진행되었다. Vocational, Employment, Workplace focus는 직무 환경에 대한 변화와 보조기기를 통해 직업을장기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대분류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세부 주제들로 연구들이 장기간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국내의 보조기기 관련 연구・개발도 대학 중심의 장기간프로젝트를 통해 개발과 실증을 포괄할 수 있는 방향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 KCI등재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에서 보조기기센터 역할 고찰 -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

        이근민,이진현,임성빈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3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assistive device center within the nationwide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Project (Support for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a vertical goal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26 Including research to be done. As a result of the project from April 24, 2020 to November 5, 2022, a total of 228 people applied, and 188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ere provided to 118 final applicants who were judged to need assistance through counseling and evaluation.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assistive devices and related professional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in the universal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to be provided in the future. Second, when converting to a nationwide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services related to assistive devices should actively utilize the infrastructure of local assistive device centers. Third, through demand-based counseling and evaluation, assistive device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public benefits, so that they can lead independent lives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establish a successful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in the future, assistive device centers installed and operated nationwide need to establish themselves as one of the core infrastructure, and a detailed delivery system centered on assistive device centers to minimize welfare blind spots is needed.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2026년 추진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추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국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 내에서 보조기기센터의 역할과 방향을고찰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보조기기센터에서는 2020년 4월 24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사업을 실시한 결과 총 228명이 신청하였으며, 상담 및 평가를 통해 보조기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최종지원 대상자 118명에게 188개의 보조기기 지원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제공될 보편적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에서 장애인 및 노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을위해 보조기기 및 관련 전문 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전국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로 전환 시보조기기 관련 서비스는 지역 보조기기센터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수요에 입각한 상담및 평가를 통해 공적급여의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및 노인들에게 보조기기 서비스를 실시하여 지역사회내에서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향후 성공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의 안착을 위해서는 전국에 설치·운영중인 보조기기센터가 핵심 인프라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으며, 보조기기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세밀한 전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 아동을 위한 컴퓨터 교육실 구축 모델 및 대체접근을 통한 컴퓨터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

        이근민,김인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aximal opportunities to access computer so that the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utilize computer better. For sev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lack upper limb control, a model for computer education room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rough providing various types of alternative access methods for each individual, subjects increased accessibility and effective usage of computer.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individuals wa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computer accessibility and various types of adaptive input devices and software were applied and used as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subjects who used adaptive input device and software performed better than the standard input method. Subjects who used adaptive mouse or software performed better than the standard mouse in terms of ability to click, double click and drag-and-drop.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아동들에게 최대한의 컴퓨터에 대한 접근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명의 상지 사용 능력이 떨어지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컴퓨터 교육실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다양한 대체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컴퓨터에 대한 접근가능성과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여주었다.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피험자들의 컴퓨터 접근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대체 입력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으며 중재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체입력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피험자가 표준기보드를 사용한 경우보다 키보드 타이핑 속도와 정확도가 대체적으로 향상되었다. 마우스 또한 대체마우스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접근을 한 피험자가 표준 마우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마우스 클릭, 더블클릭, 그리고 드래그 및 드롭 능력이 대체적으로 향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광응력 법칙을 이용한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응력분포해석

        이근민,최영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2

        For this study, the improved stress-freezing method under the existing photoelastic experimental method was us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FO's stress distribution. first of all, photoelastic experiment material for the low temperature freezing which can be loaded by a person's direct touch was developed, with which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xperimental model with no size err. with a normal person wearing this model, the experiment proceeded by direct freezing based on the five stages of stance phase. The maximum pattern difference(degree) was observed in medial, lateral, and posterior direction respectively so as to grasp stress distribution feature, applying the obtained values to the five stages of stance phase, the results was the following: AFO's medial and lateral showed the circle that the stress moves from tensile to compressive condition. In posterior direction the result is reverse. That is, it moves from compressive to tensile condition. The maximum stress size was got at the Ankle joint in the middle of the stance phase as much as 1.81MPa similar to that of the preceding study. The minimum was obtained at the end of the Toe off. 본 연구는 보행주기에 따른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응력분포(stress distribution)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기존 광탄성(photoelasticity)실험법상의 응력동결법(stress-freezing method)을 개량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체가 직접 접촉하여 하중을 부하할 수 있는 저온 동결용 광탄성실험 재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재료를 사용하여 실제보조기와 치수오차가 없는 실험모델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을 정상 보행인이 착용한 후 5단계 보행주기에 따라 직접응력을 동결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이후 응력분포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보조기를 내(medial), 외측(lateral)과 후반부(posterior)로 분리한 후, 각각의 방향에서 최고 무늬차수를 관찰하였다. 이 무늬차수를 입각기(stance phase) 5단계 보행주기에 따라 연결한 결과, 보조기의 내 외측은 보행 주기를 따라 인장응력상태에서 압축응력상태로 이동하는 응력 사이클을 얻었고, 이와 반대로 후반부는 압축에서 인장으로 응력 사이클이 이동하는 결과를 얻었다. 응력의 크기는 선행 연구 결과와 근사하게 중기 입각기의 관절목에서 최고 1.81MPa의 응력이 구해졌고, 전반적인 최저응력은 입각기 말기(toe off)에서 관찰되었다.

      •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

        이근민,김인서,임명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再活科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함에 있다.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장애인의 컴퓨터 이용 현황은 비장애인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먼저 정부의 노력을 법률, 정책, 산업 그리고 보급 및 서비스 전달체계로 나누어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기술하였다.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세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적인 교육체계 수립 및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적인 컴퓨터 대체 접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세 번째로 장애인 고용을 위한 장애인 정보화 지원센터의 미래상을 보여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lans to reduce digital divid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the digital world advances, computer utilization rat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lower compared to the non-disabled population. Efforts by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it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presented according to legislation, policy, industry, distrib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reduce digital divide, 3 plans are proposed as follow: ① educational system and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field of digital must be established; ② improvement plan for providing systematic alternative computer access service has been proposed; ③ establish and expand digital support center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