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尹愭의 仕宦期 시의 특징과 세계

        이규필(Gyu-Pil Lee)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0 No.-

        윤기는 2천수가 넘는 시를 남긴 다작의 작가이다. 본고는 그 가운데서 윤기의 사환기 시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는 목적 아래 작성되었다. 벼슬길에 오른 이후 윤기의 시세계는 약간의 변모와 확장을 보인다. 그 특징을 넷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출사 초기에는 節日과 관련한 故事를 집성한시를 많이 지었다. 중국 고사를 대거 인용한 '記故事' 류의 시는 자손들 교육용 목적으로 지었고, 우리 풍속을 자세히 소개한 '記東俗' 류의 시는 우리 풍속을 고사로 전범화하려던 시도라고 판단된다. 둘째, 가탁을 통한 인정과 물태의 묘파도 이 시기 시의 특징이다. 셋째, 다양한 형식의 시체가 창작되었다. 八音詩, 建除體 등 잡체시가 창작되었고, 艶體나 囉嗊曲 등과 같은 歌行도 창작되었다. 넷째, 소재와 제재의 변모와 확장 역시 두드러진다. 이러한 시세계의 변모는 그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와, 이전 시기의 시와 달리 당대 사회상이 작품 속에 포착되어 있다. 양극화가 진행되는 19세기 양반 계층의 모습과 그들을 대하는 조선 사회의 인식의 변화상이 약여하게 담겨있고, 고질화된 관료사회의 비리와 부정이 적나라하게 고발되어 있다. 아울러 당시 조선을 휩쓸었던 질병과 전국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사건들을 통해 당시 민심과 정부의 대응 및 지식인들의 동향을 생생하게 묘사하였으며, 당시 서울의 자연 경관과 저자 거리의 모습 역시 그림처럼 그려져 있다. 요컨대 윤기의 시는 개인 역정의 기록이기도 한 동시에, 오늘날 사람들이 19세기 사회를 더욱 현실감 있게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는 자료 사진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詩史的 성격 역시 매우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Yunki(尹愭) is a prolific writer who left more than 2,000 works behind. Among them, this study research the he characteristics and the world of Yunki's poetry in his government post time. After he entered government service, his poetry world showed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This characteristics are sorted into three. First, in the early time of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he composed poems that gathered and formed subdivisions and the historical facts. The purposes is descendant's education(a type of Gigosa(記故事) which quoted China's historical facts), and trial to standardization of our poetry ' custom(a type of Gidongsok(記東俗) which introduced our customs in detail). Second, description and grasp of compassion object on the plea is this time's characteristics. Third, various style's poetry is created. The Miscellaneous Style Poetry is created, for example Palumsi(八音詩), Gunjeche(建除體) and so on, Ga-Haeng(歌 行)s were created, for example Youmche(艶體), Nahonkok(囉嗊曲). Forth, material and subject matter's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stood out. This transformation brought changes in content characteristics, so the works caught and showed social aspects of the day. The noblemen's figure of 19thC when the polarization had become more serious was described vividly, and the dishonest public servants was prosecuted. And, through illness swept Chosun, and the events were the focus of the public attention, popular sentiment, government's reaction and intellectuals' trend is in his poetry. The natural view and the figure of street is described vividly like a picture. Yunki's poetry is his personal journey's document. At the same time it play the role of picture that shows the society of 19thC livelily to today's people. In this sense, his works has poetry historical characteristic very strongly.

      • KCI등재

        無名子 尹愭의 의식 세계 고찰

        이규필(Lee, Gyu-pil)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6 No.-

        선행연구에서 윤기에게서 ‘근대적 사유’를 논하는 것은 다소 과도한 의미 부여라고도 판단되지만 그 현실비판의식만은 돌올하고, 그 비판만큼이나 자기 내면을 향한 반성적 사유도 단단하다. 다만 윤기의 경우 남다른 자기의식은 주목되는데, 지식인으로서 자아를 지키고자 하는 반성적 사유나 날카로운 현실 고발의 목소리가 여기에서 발로한 면이 없지 않다. 윤기는 몰락한 남인계 양반의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詩文에는 어려서부터 남다른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한미한 출신이 문제되어 과거에 낙방하고, 승진에도 번번이 누락하였다. 이때 名門의 자제에만 관심을 두는 세상의 시선을 보고 ‘名’에 대해 자각했고, 이로 인해 ‘無名이 실질’이라는 무명의식을 형성하였다. 또 한미한 출신으로 인해 주류사회와 동료사회에서 소외당하였다. 이때 소외자로서 세운 의식이 局外者의 의식이다. 윤기는 국외자로서 사회에 무관심하고 무책임했던 태도를 선택하지 않고, 오히려 국외자이기 때문에 자기 역할과 장점이 있음을 각성하여 자신의 현실 참여 의식을 드러내었다. 만년에는 계속되는 외면과 공격 속에 벙어리로 살기로 다짐하면서 특유의 벙어리 선언을 하여 자신을 승화하였다. 이 세 국면의 의식이 바탕이 되어 사대부 사회의 부조리를 날카롭게 고발하고, 사람들의 선입견과 편견을 넘어 세상을 새로이 해석하는, 개성 넘치는 윤기의 문학을 이루었다고 판단한다. In advanced research, to discuss Yoonki’s modem thinking is to put too much meaning, but his critical consciousness is remarkable and his self-reflective thinking is solid, too. Yoonki’s uncommon self-consciousness is very notableness, this became starting-point of his self-reflective thinking as an the intelligentsia and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world. Yoonki was born in a fallen noble family of Namin family line, he showed a remarkable talent for poetry and prose. But low birth class became a problems, so he failed in an examination and he was excluded in promotion all the time. At that time he realized “Myung”(名), through view of which people only pay attention to noble birth. With this, he formed ‘Moomyung-consciousness(無名:obscurity)’ which means Moomyung (obscurity) is actual and real. And he was excluded by mainstream society colleague society because of low birth class. Form this he built an ‘Kukoija’-consciousness(局外者:outsider). Although Yoonki was an outsider, he wasn’t irresponsible and indifferent either. Rather than that, he realized his own role and advantage as a outsider, so he revealed his participation consciousness. In later years, in endless outcasting and personal attack, he decide to live as a speech-impaired person, he sublimate himself declaring to remain mute. From these three consciousness, he could criticize irregularities of nobleman society sharply, he could build his unique literature which interpret the world newly beyond prejudice and preconception.

      • KCI등재

        『論語會箋』 의 저자 竹添進一郞 考察

        이규필(Lee Gyu Pil)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이 논문은 明治時代 관료요 論語會箋 을 저술한 竹添進一郞(1842~1917)을 고찰한 것이다. 竹添進一郞은 甲申政變 당시 朝鮮辦理公使로 와있던 외교관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생애와 갑신정변 당시의 그의 행적을 추적하였다. 또한 그의 학문 형성의 배경을 탐지하기 위해 스승 木下韡村을 비롯한 동문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을 통해 竹添進一郞을 둘러싼 伊藤博文, 後藤象二郞, 井上馨, 井上毅, 井上角五郞 등의 인물이 갑신정변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인물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학문과 사상 및 서로간의 관계망에 대한심층 연구가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井井의 학문 형성의 배경으로서 주변 인물 및 정치 활동에서의 주변 인물들에 대한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his life and writing Rongo-kaisen(論語會箋) of Takezoe Shinichirou(竹添進一郞: 1842~1917) who was the Meiji era officials and scholar. Takezoe Shinichirou was diplomat dispatched to Chosun in Gabsin(甲申) Coup. ChapterⅡ discussed his whereabouts at the time of his life and Gapsin Coup. Also looked at the alumni including, teacher Kinosita Ison(木下韡 村)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academic formation of his academic background. And this chapter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in-depth study of their studies and ideas and interrelationships, although Itō Hirobumi(伊藤博文), Gotō Shōjirō(後藤象二郞), Inoue Kaoru(井上馨), Inoue Kowashi(井上毅), Inoue Kakugorō(井上角五郞), including Takezoe Shinichirou were key figures to understand the Gapsin coup. Based on this, the issue was raised that awareness of the need to review the people around him as a background study of the formation and political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한문고전 번역 및 표점에 있어 현토 활용의 문제 -"한대"와 "(이)어늘"을 중심으로-

        이규필 ( Gyu Pil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본고는 번역과 표점에 현토가 과연 유용한가를 논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를 위해 먼저 현토의 성격과 기능을 정리하였고, 연구 현황을 통해 과제를 진단하였다. 그 과정에서 현토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기초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했고, 그와 관련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절감했다. 현토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수가 많고 논란의 소지가 있는 吐 ‘~한대’와 ‘~(이)어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두 토는 의미와 용법이 매우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 나름의 일관된 규칙이 있었고, 그 규칙은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吐들이 지닌 규칙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반영한다면 한문고전 번역과 표점의 수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이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하니’, ‘~하여’, ‘~하고’ 등 다른 현토들도 용례를 조사하여 정리하면 그것이 구어적 관습에서 혼용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정보를 담고 일정한 규칙 아래 쓰였다는 결과를 얻어낼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이어 현토가 한문고번 번역과 표점의 수준 제고에 기여할 가능성은 탐지되었지만, 낯선 한문 문장을 대상으로 그 현토를 정확히 달 수 있는 학자가 많지 않은 현실을 지적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현토 교육의 필요성을 또한 아울러 제기하였는데, 이 지점에서 정확한 현토 교육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현토 연구와 정리의 필요성을 다시 절감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elevance of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in Translation and Marking. To this end, this study arranged the nature and function, and then diagnosed tasks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researches. In the process, this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investigation has not been built about the meaning and usage in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his writing felt keenly the necessity for associated researches. To Verify importance of the study on the meaning and usage in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this study looked in ‘~handae(한 대)’ and ‘~(i)aneul(이어늘)’ mainly. Because these are used frequently and open to dispute. The two are seemed to be very similar. But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two have their own coherent rules respectively, and these rules have very important informations to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 So, if we know and reflect exactly the meanings of these rules, the level of Korean Chinese Classic Translation and Marking will go up. Accordingly, if we investigate and arrange others, for example ‘~hani(하 니)’, ‘~hayeo(하여)’, ‘~hago(하고)’, and so on, we will be able to found that those have certain informations and are used under certain rule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level in Korean Chinese Classic Translation and Marking is detected, to but this manuscript pointed out the reality that there are not much scholars who add Korean endings to unfamiliar classical Chinese phrases exactly. Based on them,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education in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At this point, as precondition exact education, this study felt keenly the necessity for researches and arrangement.

      • KCI등재

        『주자대전』 주석서와 『주자대전차의문목표보』

        이규필(Lee, Gyu-pil)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4 No.-

        주자학 연구는 크게 『주자대전』을 절요ㆍ선집하는 흐름과 주석서를 통해 해석하는 흐름이 있다. 주석은 절요ㆍ선집 및 『주자대전』 전체에 모두 시도되었다. 대산의 『주자대전차의문목표보』는 그중에서도 우암의 『주자대전차의』와 농암의 『차의문목』을 잇는 주석서이다. 『표보』는 우암의 초고와 그 속에 들어있던 文谷手籤, 또 농암의 필사본 『차의문목』을 일일이 대조ㆍ고찰하여, 주요 성과를 모두 수합하였다. 그리고 민우수 등 우암 이후의 주요 학자들의 선행업적을 수용하는 한편, 김근순과 홍석주 등 당대 학자들의 노력까지 아울러, 24권 12책으로 묶었다. 그 성과로는 무엇보다 1∼3권까에 『문목』에서 다루지 못한 채 빠뜨린 주석 보완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차의』와 『문목』에서 밝히지 못한 고유명사 등을 일일이 찾아 바로잡았다. 그리고 만년정론을 고증하여 바로잡기도 하였고, 宋明 代의 소설 속 백화를 근거로 어휘의 의미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표보』 찬술에 주자 문장을 철저히 분석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술 문장을 정립하려는 목적이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후 『표보』는 한장석, 서응순, 민태호 등 대산 이후 조선 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에 의해 교수되어 간행되었고, 이 성과와 흐름은 후배학자 이항로와 전우 등에게로 계승되었다. Flows of study are divied into two groups approximatively, - One is cutting and summing up, putting together a collection, the other is interpreting commentaries. Commentaries were tried all over : cutting - summing up, putting together a collection and the whole 〈Juja Daejeon〉 From among these, 〈Juja Daejeon Cha-eui Munmokpyobo〉 of Daesan is commentaries that receive U-am’s〈Juja Daejeon Daejeon〉 and Nong-am’s 〈Cha-eui Munmok〉. In 〈Pyobo〉, Daesan checked and compared U-am’s first draft and 〈Mungoksucheom : which is in this first draft〉, Nong-am’s manuscript 〈Cha-eui Munmok〉 one by one. And he collected major result. On the one hand, he accepted precedent achievements of leading scholars after U-am (Minwoosoo etc.), on the other hand, he encompassed efforts of contemporary scholars (KimKeunsoo and Hongsukjoo etc.) and collected into 24 volums and 12 books. The fruits of these are, above all, supplements to commentaries which weren’t dealed and missed out in 〈Munmok〉 through vol. 1∼3. Moreover, he seached proper nouns one by one which weren’t in 〈Cha-eui〉 and 〈Munmok〉, and correctd them. He identified vocabularies’s meanings based on spoken style in novel of Sung dynasty. And he confirmed his aim to establish academic sentences by analyzing thoroughly and studyng Juja’s sentenaces. Since then, 〈Pyobo〉 was gaved tuition and published by scholars representing Chosun dynasty (Hanjangseok, Seoeungsoon, Mintaeho etc.) These fruits and flows were succeed to junior scholars(Leehangro and Jeonwoo etc.).

      • KCI등재

        현토와 小學諺解 및 四書諺解의 經文 해석

        이규필(Lee, Gyu-pil)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논자는 지난 연구에서 현토 ‘한대’와 ‘(이)어늘’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두 현토는 의미 뿐 아니라 쓰이는 규칙이 다름이 밝혀 졌다. 거기에는 口語的 혼용이 없었으며, 각각 명확한 문법적 질서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論語 경문에 대한 이 두 현토의 상황 해석이 중화서국의 표점 정리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측면이 있으며, 나아가 한층 일관적 임도 밝혔다. 본고는 ‘한대’와 ‘(이)어늘’을 이어 몇몇 현토들을 검토함으로써 앞에 제기한 일련의 지점을 더욱 분명히 논증하고자 작성되었다. 그 결과 본 논문 에서도 역시 앞의 논문의 논증에서 얻은 세 가지 사실이 틀리지 않은 것이 었음을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나’와 ‘(이)라도’, ‘(이)면’과‘(이)어든’과 ‘인댄’, ‘며’와 ‘고’ 등 서로의 자리에 바꾸어 써도 무방해 보이는 가까운 현토들 사이에도 나름의 의미와 그에 따른 규칙이 명확히 있었고, 그 규칙은 모든 현토마다 예외 없이 엄격하게 지켜졌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현토의 용법과 의미를 정확히 규명하여 경서 해석에 있어 조선조 지식인들이 어떻게 경문을 분석하고 해석했는지에 대해 고찰 하였으며, 또 교정청언해와 율곡언해의 경문 해석의 태도와 시각차를 미묘한 지점까지 변별하고 밝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아울러 논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경학과 경서 번역에 대한 담론이 더욱 풍부해지고 첨예해질 것이라 기대한다. In my previous research I have looked at the commentary such as ‘Handae’ and ‘(i)Eouneul’.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the two used in similar meaning differ not only in meaning but also applied rules. Each had a clear grammatical order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two situations of Chinese Classic Texts is very reasonable and logical, and even more consistent. This paper examines some horns after ‘Handae’ and ‘(i)Eouneul’. As a result, I can confir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vious paper. Like between ‘(i)Na’ and ‘(i)Rado’, between ‘(i)Myeon’ and ‘(i)Eodeun’・ ‘(i)ndean’. between ‘Hamyeo’ and ‘Hago’ there was a clear meaning between the similar things and their rules. And the rules were strictly followed without exceptions. Based on this, this study accurately explains the usage and meaning of comentary, and examined how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text. I also discussed the possibility that the attitude and visual difference of Gyojeongcheongeounhae and Yulgokeounhae interpretation can be distinguished and delineated to a subtle 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related to chinese classics will become more abundant and sharp.

      • KCI등재

        적생조래(荻生?徠)의 고문사학(古文辭學)에 대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을 위하여

        이규필 ( Lee Gyu-pil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6

        日本 經學 분야에서 우리나라 학자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학자는 荻生?徠(1666-1728)이다. 그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커져 왔고, 그 연구 열기는 당분간 지속되리라 전망된다. 흐름은 크게 셋, 經學 방면의 연구, 文學 방면의 연구, 文化·思想방면의 연구이다. 그의 古文辭學은 이 경학적 성격, 문학적 성격, 文化·思想的 성격을 모두 지닌다. 이 때문에 일본 유학에 관심을 보이는 학술의 장 여기저기서 ?徠의 古文辭學을 논하고 있다. 그런데 각각의 분야가 완전히 분리되어 따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古文辭學 내에서 이 셋이 어떻게 만나고 연결되는지에 대한 탐토는 간과되었다. 뿐만 아니라 古文辭學의 성립과 형성에 있어 간과되어온 문제적 지점들을 探討의 장으로 소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 문제들을 다루어 ?徠의 六經 강조와 擬古文 지향이 `선왕과 공자의 道`를 `일본에 재현`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고, 그것은 조선예교에 대한 대결의식과 관련지어 이해해야 할 측면이 있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 하나, 우리는 우리 눈으로 ?徠 또는 ?徠學을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반성적 질문을 제기하였다. 우리나 일본은 17, 8세기 지성계를 연구할 때 `근대성 찾기`에 대한 강박과 오류에 빠지곤 한다. 일본 경학에서의 근대성과 관련하여 집약적 상징성을 지닌 아이콘을 하나 꼽자면 ?徠라 할 수 있다. 우리 학계의 조래에 대한 시각은 일본학계의 시각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일본 학계의 `근대성 찾기` 강박에 우리까지 동원될 필요는 없다. 나아가 그것이 우리 학술사와 사상사 연구에 다소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본다. 조래학의 성격 규명과 함께 이 문제를 학계에 던지고자 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philology of Ogyu Sorai(1666-1728). Sorai is the Japanese scholar who has recently received the most enthusiastic scholarly attention among the Korean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The scholarly attention to the Confucian philosopher has been steadily growing, and it will be continued for a while. The critical studies of Sorai have been performed in three major fields, that is, in those terms of Chinese classics, of literature, and of cultural history. His ancient rhetoric known as kobunji shows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lassics, literature, and cultural history. Because of this tendency, there has been discussions of the Sorai`s ancient rhetoric, especially among those academic groups interested in Confucianism of Japan. However, since each field is completely separated, it has been overlooked how these different fields can be converged and connected in the study kobunji.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mmon the problematic points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establishment and formation of Sorai`s ancient rhetoric. This paper deals with these problems and suggests that Sorai`s emphasis on the six classics and his stress on the ancient philology are the ultimate purposes to `represent in Japan` of the `doctrines of the late king and Confucius. I also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his kobunji in relation to conscious confrontation with Chosun`s ethical code. Moreover, I raise a reflective question of whether we examine Sorai`s classical studies with our own subjective eyes. When we study the intellectual communitie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in Japan or Korea, we often fall into the compulsive dilemma of being eager to uncover the so-called "modernity." If we can name one iconic or symbolic figure who can show such spirit of modernity in the fields of the chinese classics in Japan, Sorai can be the one. However, the scholars in Korean academy community has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Japanese academia in the study of Sorai. There is no need to press us to join the Japanese academia that is obsessed with `finding modernity` of Sorai`s kobunji. Furthermore, the compulsion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our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classics and philosophies. I would like to throw this question into Korean academia while illuminating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Sorai`s ancient rhetoric.

      • KCI등재

        響山 李晩燾의 사유와 시세계

        이규필(Lee, Gyu-pil)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5 No.-

        향산 이만도에 관한 연구는 그 성과가 적지 않아 삶의 주요 국면이 상당부분 조명되었고 주요 작품들도 대거 다루어졌으며, 그 절의정신의 성격과 상징성 역시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산은 애국계몽기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주목될 필요가 있다. 향산은 학문과 독서에서 도학과 경세로 요약되는 退溪學(退溪家法)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특유의 명분론적 세계관을 정립하였으며, 춘추의리를 바탕으로 大淸義理를 주장하였다. 향산의 사유는 일견 퇴행적이고 반역사적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는 일본제국주의의 경략정책을 간파한 현실 인식에서 기인한 것인바, 이것을 무조건 낡은 지식인의 수구적 논리라 매도하기 어렵다. 향산의 殉國도 이와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다. 향산의 抗日과 自靖은 내적으로는 학문(퇴계학)의 완성이요, 외적으로는 명교 의리의 실천이다. 이것이 당대 지성사 혹은 우리 역사 전개에 있어서는 반외세의 자주의식을 발로시키고 지식인들의 책임의식을 엄중하게 각성시킨 측면이 없지 않다. 향산의 시에는 이와 관련한 모든 내적 고민과 갈등이 잘 담겨있다.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are considerable. Much of the main aspects of his life were revealed, major works were also dealt with in large numbers, and his beliefs and ideals were also studied in depth. Nevertheless, Hyangsan needs to be constantly noticed in relation to the patriotic enlightenment. Hyangsan followed Toegyehak thoroughly in his studies and reading. Toegyehak consists of Neo-Confucianism and state management. Based on this, Hyangsan values justification theory and loyalty. It is an unwavering friendship to the Qing Dynasty(大淸義理). The philosophy of Hyangsan is regressive and appears the opposite of the flow of history. However, this clearly grasped the black intentions of Japanese imperialism. We cannot curse this as an old philosophy. Hyangsan perfected learning and loyalty with death. It is the completion of learning and the practice of loyalty. Hyangsan s actions sparked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reliance on intellectuals. Hyangsan s poem contains all the internal concerns and conflicts related to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