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越南遺書』를 통해 본 申光㤠의 생애와 독립운동

        이계형,신민식,정상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越南遺書는 신광렬이 해방 직후 월남한 뒤에 작성한 유서이다. 이는 자신의 생애뿐만 아니라 한국독립운동 관련 내용도 담고 있어 독립운동 사료로도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 특히 越南遺書는 신광열 자신과 숙부인 신홍균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유공자로 선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데 의미가 크다. 이에 본 논문은 이를 토대로 신광렬의 생애와 더불어 독립운동의 활동상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1903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나국망 직후인 1911년 중국 길림성 장백현 17도구 왕가동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그는 성장하면서 숙부 신홍균으로부터 민족주의 의식을 키웠고 북간도의 동흥중학교에 입학한 뒤에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하면서 식민지 현실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되었다. 졸업 후 그는 제일정몽학교 교사로 활동하다가 20대중반에 국내로 들어와 잠시 함북 갑산군 혜산진 서기로 근무하였다. 이후 가업이었던 한의업을 잇고자 하였지만, 일제로부터 거부당해 다시 북간도로 건너갔다. 이때 그곳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 당시 광주학생운동이 북간도에까지 파급되었고 이를 기회로 공산주의단체는 거국적인 만세시위운동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는데,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그는 서대문감옥에서 3개월 여의 옥고를 치렀다.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자 장석천의 생애와 활동

        이계형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논총 Vol.38 No.-

        This paper tried to approach newl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movement and Gwangju Students Movement of the 1920s. this was attempted to track down that Chang Seok-chon went how the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characters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Chang Seok-chon had a 33-year-old's short-lived but 1920-1930's upheaval,he is a man who left a large footprint. Chang Seok-chon undergo training the colonial educ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has grown, but he have realized the ethnic contradiction through the 3.1 Movement 1919. Many people have risen through the colonial education, he was overcome it by choosing a different path, Independence Movement. Existing paper on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hat was understood b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were avo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uth movement in relation to the student movement tried to analyze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As a result, he's been at the heart of Guangzhou student movement was able to reveal newly. And This paper found out that the youth movement in Gwangju came down lead. to Gang Seok-bong, Kim Jae-myung,Chang Seok-chon, Kim ho-sun line, and youth movements was deviated from the center of youth, was expanded to Student, boy, farmers and workers. 이 논문은 장석천의 삶을 통해 1920년대의 청년운동의 흐름과 광주학생운동의전개 과정을 새롭게 접근하고자 했다. 또한 1920년대와 1930년대 사회주의 운동의변화상과 이에 따라 장석천이 어떻게 변모해 갔는지를 추적해 보고자 했다. 장석천은 33살의 짧은 삶을 살다갔지만 1920~1930년대 가장 격변기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기 때문이다. 장석천은 일제의 식민 교육을 받고 성장했지만, 1919년 3.1운동을 통해 민족주의를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민족 모순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식민교육을 통해 출세를 지향했던 것과는 다른 길을 걸었기 때문에 그를 통해 식민지교육을 극복해 가는 모습도 살필 수 있다. 기존 논문이 광주학생운동을 참여한 학생들을 통해 이해하던 것을 지양하고 청년운동의 관점에서 학생운동과의 관계 속에서 풀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석천이그 핵심에 있음을 새롭게 밝혀 낼 수 있었다. 또한 광주지역의 청년운동은 강석봉→김재명→정석천→김호선으로 이어져 갔고, 청년중심에서 학생․소년으로 농민과노동자로 확대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매천야록>>의 사료적 가치의 재검토

        이계형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6 No.-

        The Maecheon’yarok(梅泉野錄), written by Hwang Hyeon(黃玹) who watched the destruction Korean Empire, is a written testimony of that time. It is an important work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together with Kim Yoon-Sik’ Umcheongsa(陰晴史), Sequel Umcheongsa(續陰晴史) and Jung Gyo’s Daehan’gyenyeonsa(大韓季年史). So, it has been translated and studied by not a few persons. How did he write the work? how did he collect historical materials in writing the work? Why did he have to write it? What did he intend to show the descendants? What made it the best contemporary work. These questions can be given to him. Hwang Hyeon had been grown up under teaching of confucianism, but many incidents had been happening in 1894, for example Donghak peasantry movement, First Sino-Japanese War, Gabo Reform, and so on. He began to look himself, his mother country and the world with new viewpoint, and found the best way to record the contemporary history. The results were Oha’gimun(梧下紀聞) and Maecheon’yarok.

      • KCI등재

        1910년대전반서간도독립운동기지건설과 안동 혁신유림의 역할

        이계형 만주학회 2022 만주연구 Vol.- No.33

        This paper investigated Andong’s Innovation Yurim and its role in constructing SeoGando (⻄間島) at Sinminhoe (新⺠會) as the base for an independence movement. SeoGando’s construction depended on the work of Lee Hoe-young, Yang Gi-Tak, and Andong’s Innovation Yurim affiliates such as Lee Sang-ryong and Kim Daerak. In 1911, these pioneers sacrificed their personal incomes to travel for 40 days heading toward Yuha-hyeon, traversing from Andong to Hwanin-hyeon, to establish the first base for independence. They faced several travails along the way, including months without proper housing. Several accounts take note of their ‘Shaving Hair’(薙髮) and ‘Changing Clothes’(易服). However, their efforts were not in vain. In June 1911, they were favorably received by the Chinese, allowed to borrow land, and eventually organized a Gyeonghaksa Temple where they established the Sinheung Academy. This academy would subsequently become a training center for military officers, a position gained through the backing of future-Provisional President of China Yuan Shikai. He rewarded Lee Sang-ryong with land and settlement in Tonghua County Habniha for having assisted the Revolutionary Army during the 1912 Wuchang Uprising. Eventually, however, financial and natural disasters forced the founders to abolish the Gyeonghaksa while maintaining the Shinheung School. While the founders either left or died after the reorganization, Lee Sang-ryong went on to write a historical account in his Daedong History in 1916 before forming the local government’s Bumindan. 본 논문은 서간도가 신민회의 국외 독립운동기지로 건설되는 과정을 안동 혁신유림의 활동을 통해 살펴봤다. 서간도는 북간도와 달리 이회영·양기탁을 중심의 신민회와 안동의 이상룡 · 김대락 등의 혁신유림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운동기지가 건설되었다. 이들은 국내 가산을 처분하여 자금을 마련하고 식구들과 함께 집단이주하였다. 이들은 안동을 떠난 지 40여일 만에 1911년 2월경 환인현 항도천에 도착하였고, 얼마 뒤 독립운동기지를 개척하고자 내륙 깊숙한 유하현 삼원포 추가가로 향했다. 하지만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이상룡과 김대락등은 집이나 토지를 제대로 얻지 못했고 몇 개월이 흘러 치발역복을 한뒤에서야 1911년 6월경 중국인들로부터 호감을 얻은 뒤에 토지를 빌어 경학사를 조직하고 신흥강습소를 열었다. 1912년 봄 중국 내 무창봉기가 일어나자 이상룡이 소대를 편성하여 혁명군을 도운 뒤로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에 오른 원세개를 찾아가 도움을받아 통화현 합니하에 비로소 토지를 구해 정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신흥학교를 새롭게 만들어 무관을 양성하였지만, 수토병과 천재까지 겹쳐심각한 재정난에 허덕였다. 경학사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1912 년 말 총회가 열린 자리에서 경학사는 폐지하되 신흥학교는 유지하기로하였다. 이후 신흥학교는 새로운 인물들에 의해 운영되었고, 그동안 이를주도하였던 이동녕 · 이회영 · 이시영 등은 떠나갔고 김대락은 사망하였다. 이런 가운데 이상룡은 대동역사 를 저술하여 역사 교재를 만들었고, 1916년경에는 자치단체 성격의 부민단을 결성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화성지역 3.1운동의 연구동향과 과제

        이계형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50 No.-

        Hwaseong area 3.1 Movement, unlike other areas, had a strong struggle strength and received severe repression from the Japanese emperor. It is not this relationship that the 3.1 exercise related research here was performed actively. However, there are many points that different researchers present different materials and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tried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irst, although the protests have occurred at the same place and time, researchers have described them differently. There are differences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among researchers, but if the contents of the basic facts are differen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will decrease so much. This is because thorough historical criticism was not preceded. Secondly, the characteristic of the Suwon area 3.1 movement is to mention that the arrests were made by fire at the village office, which is the colonial governance body, and the residential area. It is concluded that the demonstration was planned or that different religions were united. But I think this is a hasty conclusion. It was because the religion of the demo was diversified, not acting with religious beliefs. Third, the study of the 3.1 Movement in the Hwaseong region focuses mainly on the ‘Jeam-ri Massac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the leading forces, and repression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study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background and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the slaughtered people. Fourth,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areas where 3.1 movement is not developed in the Hwaseong area. This is to find the cause 3.1 movement occurs. This also reveals what kind of historical significance the 3.1 movement in the Hwaseong area has in the 3.1 movement history as a whole, and for why and for what reason, unlike other areas, the fighting power is strong It is because it is done. Fifth,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3.1 movement in Hwaseong.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hronology of the 3.1 Hwaseong Movement by region and tim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research data. This will make the Seoul 3.1 movement more clear, and it will also help in reconstructing and restoring it. Sixth, future research should neglect the discovery of people who are not rewarded. Many people participated in the Hwaseong Area 3.1 movement and although the sacrifice was large, there were fewer number of honors than others in the same scale. Seventh, I would like to establish 3.1 movement research institute in Hwaseong area. It is the fact that there are no such laboratories or memorials a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March 1stMovemen. This is because the central ministry has to make it, but it is clear why Hwaseong city will lead it. It is hoped that Hwaseong City will be reborn as a mecca of 3.1 movement research Institute. 화성지역 3.1운동은 다른 지역과 달리 투쟁 강도가 거세 일제로부터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 이곳의 3.1운동 연구가 활발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자료를 제시하거나 해석이 다른 점도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첫째, 시위가 같은 장소, 시간에 일어났는데도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연구자에 따라 역사적 해석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사실 내용이 다르면 연구에 대한 신뢰도가 그만큼 떨어진다. 이는 철저한 사료 비판이 선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측면에서 연구자 본인과 다를 경우에는 이를 각주를 달아 독자들에게 차이점을 알게끔 하고 나름 이유나 근거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화성지역 3.1운동의 특징은 식민통치 기관인 면사무소나 주재소를 방화하고 순사를 처단한 것을 꼽는다. 이에 대해 시위가 계획적이었다거나 각기 다른 종교인들이 연합하였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하지만 이는 성급한 결론이라 생각한다. 시위자들의 종교가 다양했을 뿐이지 종교 신념에 의해 움직였다고 보고 힘들기 때문이다. 이는 시위자의 개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생긴 문제라 보인다. 개인과 개인 간의 연결 고리를 이어가면 이러한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 생각한다. 셋째, 이곳 3.1운동의 연구가 주로 ‘제암리의 학살 사건’에 초점이 맞춰져 전개과정, 주도세력, 일제의 탄압 등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는 학살된 사람들의 사회적 배경이나 정치적·경제적인 상황 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화성시 송산면, 장안면, 우정면, 발안면, 향남면 등지에서 3.1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지만, 이외의 지역에서는 그렇지 못한 이유를 밝혀내야 한다. 이는 3.1운동이 일어나는 동인을 찾는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통해 화성지역의 3.1운동이 전체 3.1운동사에서 어떤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지, 또한 어떤 이유에서 다른 지역과 달리 투쟁성이 강하였는지를 밝혀질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화성지역 3.1운동을 집대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한 연구는 지역별, 시간별로 화성지역 3.1운동의 연표를 작성하고 연구 자료 간에 차이점을 분석해야만 한다. 이는 화성 3.1운동을 좀 더 명확하게 할 것이고 이를 재현, 복원할 때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섯째, 미포상자 발굴도 게을리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많은 사람들이 화성지역 3.1운동에 참가하였고 희생도 컸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규모로 3.1운동이 전개된 다른 지역보다 수훈자가 적기 때문이다. 일곱째, 화성지역에 3.1운동 연구소가 건립되었으면 한다.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다되어 가지만 이렇다 할 연구소나 기념관 하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중앙부처가 나서서 만들어야 하겠지만, 화성시가 이를 주도해 나갈 이유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화성이 3.1운동 연구의 메카로 거듭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전기도금한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이계형,조진형,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킨 후 세포독성을 알아봄으로써 이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시판되고있는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에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니켈을 도금한 후, 이를 도금하지 않은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 그리고 티타늄 또는 구리와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을 배지에 넣고 72시간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금속 유리량 측정을 위해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분석을 시행한 결과 전기도금한 선재에서 많은 양의 니켈 이온이 유리되었으며, 구리에서는 많은 양의 구리 이온이 유리되었다. Microplate에 Balb/c 3T3 mouse fibroblast를 넣고 각 선재를 배양한 배양액을 75%, 50%, 25%로희석시켜 첨가한 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분석을 시행하여 이를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와 흡광도를 비교하였다. 티타늄은 모든 농도에서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흡광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전기도금한 선재(p<0.001), 스테인레스스틸선재(p<0.05), 구리(p<0.001)는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흡광도 감소를 보였다. ISO 10993, part5에 따라 구리는 "강한 독성"을 보이는 반면 티타늄과 스테인레스스틸 선재는 "무독성", 그리고 전기도금 선재는 "중등도 독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세포독성을 줄이기 위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 which had an increased diameter through electroplating, and to evaluate its possoble clinical applications. First nickel plating was carried out on the commercially available stainless steel wire using an electroplating technique. For the comparison of the electroplated wire with ready made stainless steelwire and titanium or copper, each wire was incybated for 72 hours in a medium. The release of the metal ion was measured using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Balb/c 3T3 mouse fibroblast was put on a microplate and placed in an incubated medium of 75%, 50%, and 20% dilation. An MT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with the medium only. The changein absorbency value of each wire group and the difference of absorbency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lu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of ICP-AES analysis showed that great amount nickel ion was isolated from electrpolated orthodontic wires and great amount copper ion was isolated from copper.The results of the MT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bsorbency value of titanium at any dilution. However the electroplated wires(p<0.001), the stainless steel wires(p<0.05) and the copper(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edium only at all dilutions. Assessment as per ISO 10993, part5, showed that electroplated wire was alloted to "moderate cytotoxic", the titanium and stainless steel wire were "non-cytotox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lectroplated or thodontic wires need additional efforts to dectease cytotoxicity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s.

      • 전기도금한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이계형,황현식,이옥,성영은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구강과학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through examining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 which was increased diameter using electroplating. First, nickel plating was done on the commercially available stainless steel wire using a electroplating technique. And for the comparison electroplated wire with ready made stainless steel wire and titanium or copper. each wire was incubates for 72 hours on the medium. The release of the metal ion was measured using ICP-AES. The incubated medium was diluted 75%, 50%, 25% and added on the microplate each with Balb/c 373 mouse fibroblast for MTT analysis and compared with medium only. Through the measuring of the change in absorbency value of each wire group and the difference of absorbency value according to change of dilu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esults of ICP-AES analysis showed that lots of nickel ions were isolated from electroplated orthodontic wires and lots of copper ions were isolated from copper. 2. The inverted microscope showed that numbers of cells were decreased at the electroplated wire and copper. 3. The results of MT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absorbency value of titanium at any dilution. 4. The results of MTT analysis showed that the absorbency values of the electroplated wires were lower than those of medium only at all dilution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5. The results of MTT analysis showed that the absorbency value of the stainless steel wires were lower than those of medium only at all dilution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6. The results of MTT analysis showed that the absorbency value of the copper were lower than those of medium only at all dilution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7. Assessment as per ISO 10993, part 5, titanium and stainless steel wire investigated corresponded to "non-cytotoxic". Whereas copper was "highly cytotoxic", electroplated wire was alloted to "moderate cytotox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lectroplated orthodontic wires need additional efforts in order to decrease cytotoxicity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s.

      • KCI등재

        해방 직후 나주민립중학교 설립과 지방 정치세력의 변화

        이계형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논총 Vol.54 No.-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wh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mplemented,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and the People's Committee, which received Naju-gun, organized the Naju-gun Education Association and actively began establishing middle schools. This wa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had been deterior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Naju County Education Association was led by socialists from Naju. However, as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began, the people who led it were arrested and suffered, and the privately held middle schools led by them were in crisis. In the situation where the secondary school was absolutely insufficient at the time, the US military government pursued a policy to increase this by easing the standards for establishing private or private middle schools. Even so, even middle schools, led by socialists, wanted to close. Subsequently, as right-wing groups were formed, the Naju-gun Education Association was re-established and there was a movement to rebuild the private middle school. However, funding for this was not smoothly promoted. In the course of the townspeople's competition, Naju National Junior High School and Naju Agricultural Practice School were promoted to establish two secondary schools. In the end, the Naju National Junior High School is an example of the state of liberation in the Naju region. 해방 직후 미군정이 실시될 무렵 나주군을 접수한 건준이나 인민위원회는 나주군교육협회를 조직하고 중학교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동안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열악해진 교육환경을 개선할 기회였다. 나주군교육협회는 나주에서 활동하던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이끌어졌다. 하지만 미군정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이를 주도하던 인사들이 체포되는 등 수난을 당하였고 이들이 주도하던민립중학교도 존폐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당시 중등학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상황에서 미군정은 사립 혹인 민립 중학교의 설립 기준을 완화해 주면서 이를 늘려나가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런데도 사회주의자들이 주도하던 중학교마저 폐교하고자 한 것이다. 그 뒤 우익계열의 단체들이 만들어지면서 이들에의해 다시금 나주군교육협회가 다시 구성되고 민립중학교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이 보였다. 하지만 이를 위한 기금 마련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였다. 읍민대회까지 치르면서 나주민립중학교 존속과 나주농업실수학교의 승격을 통해 2 개의 중등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의를 다지기도 하였지만 끝내 두 학교가 통합한하나의 나주중학교가 새롭게 출범하였다. 결국 나주민립중학교는 나주지역의해방정국 당시 정국을 보여주는 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