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홀센서를 이용한 자동차 공기 블로워용 고속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구동

        이경진(Kyeongjin Lee),최진철(Chinchul Choi),이우택(Wootai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The air blower for a HVAC system requires high power density and efficiency, and Permanent Magnetic (PM) motor is suitable to be used the system. In this paper, a drive of the high speed PM motor is achieved by using Hall-effect sensors which have a low resolution of only 60 electrical degrees. The high resolution position information of rotor is obtained from the signal of sensors with a method of rotor position estimation. The method is implemented from software with 16 bit timer of DSP. With this method, some disadvantages such as high cost and low mechanical intensity of the high resolution sensors can be avoided in driving the PM moto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tor drive system is validated from sever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탈근대적 예술 지식의 의미와 역할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탈근대적 예술 지식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들과 교육 정책상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술적 지식보다는 수학과 언어, 과학과 같은 지식이 교육 내용에서 중심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것은 근대적 지식관에 기인한 바가 크다. 본 연구는 근대적 지식관이 현 상황에서 가지는 한계성을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예술적 지식의 특성을 탈근대적인 시각에서 재규정하였다. 이러한 예술적 지식은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존재론적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획일적 세계관을 극복한다는 점, 지식 통합을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술은 인간다운 삶의 질적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는 인식 전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주지교과 중심의 사고와 교육과정 운영 관행을 벗어나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예술교육의 교육 과정 내 균형을 찾고, 예술의 특성을 수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out the meaning and role of post-modern artistic knowledge in curriculum integration through formative of art. Until now, it has been considered that rational knowledge to be more important than artistic knowledge despite of research and education policy for cultivation of artistic education. In modern society, it has been understood that subjects of arts are not intellectual but emotional, and the emotion is inferior to intellect. This viewpoint is the result of modern thinking. According to post-modernistic thinking, art is a way of thinking as same as science. The meaning and role of post-modern artistic knowledge in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give insight into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life. artistic knowledge is ill-structured, using metaphors, and unified thinking.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represent life because its structure greatly resembles the properties of life. Second, it is possible for artistic knowledge to reject conformity and to value diversity. Using artistic metaphors leads to richness of intelligence. Finally, it provide a methodology to curriculum integration. Art is organizing center to combine emotion and intelligence, subject and object, process and result, individual and world. Art classes offer problematic situation of open question. When a man creates a work, he integrates knowledge, information, emotion and sense in a work. To construct one`s own meaning is a point of curriculum integration. Artistic knowledge is important not to assist absorption of another knowledge, but to be intrinsic worth. This study offer suggestion that is necessary to change recognition about the value of artistic knowledge.

      • KCI등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합성섬유 보강재 적용에 따른 구조적 성능 평가

        이호성,김창용,이승원,김승준,이경진,Lee, Hoseong,Kim, Changyong,Lee, Sean S.,Kim, Seungjun,Lee, Kyeongji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0 No.2

        쉴드TBM 터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보강재로 철근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철근 보강량을 줄이기 위하여 섬유보강재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세계적으로 터널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섬유보강재를 적용한 연구와 시공이 진행되어 왔으나, 터널 라이닝 방수막에 대한 펀칭, 자체 부식에 의한 내구성 및 미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적용이 국내에서는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합성섬유가 강섬유의 대체제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강섬유, 합성섬유) 보강재를 사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파괴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강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이나 합성섬유의 혼입량에 따라 보조철근의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Steel bars have been widely used as the primary reinforcement for Precast Segmental Concrete Lining for TBM Tunnels. Previousl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gauge the potential for steel fiber reinforcement to replace the use of steel bar reinforcements in the segmental lining to reduce the amount of the steel bar reinforcement. Steel fiber reinforcements have been investigated and widely applied to SFRC TBM linings to improve the constructability of SFRC TBM linings worldwide. However, the steel fiber reinforcement often caused punctures to the water membranes inside tunnel lining and had long-term durability deterioration issues caused by steel corrosion, as well as cosmetic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sought to gauge the potential of synthetic fiber reinforcements, which have proven to be very attractive substitutes for steel fiber reinforc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both steel and synthetic fiber reinforcements in segmental linings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fiber reinforcements to the TBM Precast Concrete Segmental Linings of TBM tunnels. As a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otential use of steel and synthetic fibers in various combination, can substitute the rebar reinforcement in the concrete mix for segmental concrete linings.

      • 자동차 공기 블로워용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위치 추정 오차 보정

        신창필(Changphil Shin),이경진(Kyeongjin Lee),이우택(Wootaik Lee),박정희(Jeong-Hee Park),박용선(Yongsu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0 No.5

        In this paper, a novel correction method of position estimation error is proposed to estimate the rotor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in conjunction with Hall-effect sensors. The position estimation error is an unavoidable problem in asymmetric placement of the permanent magnet or the sensors, and causes current harmonics and a degradation of the entire drive performance. The method includes a vector cross-product for two unit vectors of back-electromotive-force (EMF) with respect to stator and rotor quantities. and calculates and corrects position estimation error.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roposed drive system is validated in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at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stat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drive system with the Hall-effect sensors alone.

      • KCI등재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 속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의 성과를 살펴보고,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에 여전히 잔재해 있는 분과주의적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탐색으로 교과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통합교과 통합을 위한 원리와 지향점을 규정하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015개정에서도 주제별 교과서는 바·슬·즐 세 교과의 합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직 진정한 탈학문적통합이라 이르기 어렵다. 교과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에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이란 세 통합교과는 필요에 의해 그 구분을 벗고 단일화가 가능하다. 세 교과가 하나로 통합된 새로운 통합교과는 분과적 지식이 추구하는 `앎`의 습득이 아니라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존재론적 교육이어야 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단계의 특성과 배움의 방식에만 맞는 것이 아니다. 1,2학년의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는 외국의 활동학습(Classroom activity)의 형태처럼 모든 학년에 적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향후 `통합 교과`의 궁극적 목적은 전 교과를 풀어헤쳐 통합할 것은 통합하고 분과로 가르칠 것은 분과로 가르치는 서로 상보적인 이중적 구조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슬·즐이라는 교과명이 남아있는 한 통합교과는 저학년만의 교과라는 인식을 넘어서기 힘들다. 따라서 세 교과를 통합하는 일은 통합교과로서 그 성격을 명료히 하는 일이며, 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integrated subjects in light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s, and verified the tendency of departmentalism that persists within integrated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day. To overcome this tendency, the meaning of “subject” was theoretically explored, and the principles of and purposes for unifying the integrated subjects sought. The results revealed that following the 2015 reform, the textbooks comprised three integrated subjects―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creating difficulty in referring to them as integrated beyond the subject matter. Since subjects are not fixed according to universality of truth or social consultation, it is possible to overlook their distinctiveness and integrate the three subjects as needed. A new integrated subject that combines these three subjects should form existential education, aimed at the practice of “living” and not the simple attainment of “knowledge” as pursued by departmentalism.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ntegrated subjects not only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learning styl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but, based on the same them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all grades, which resembles the classroom activities in other countries. The ultimate goal is that “integrated subjects” accomplish a complementary dual structure alongside departmentalism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dismantling the entire curriculum and integrating and departmentalizing subjects as each require. However, as long as titles such as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are retained, it will be difficult to overcome the idea that integrated subjects are for the lower grades only. Therefore, combining these three subjects will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ubjects and extend the educational target and sc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