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광섬유격자 센서를 이용한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이경신,김근진,손주연,윤재순,최기선,백세종,임기건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2

        We propose a temperature monitoring sensor system for chemical reactors. This system is composed of six different(FBG) sensors, an 1×6 optical power combiner and an interrogator with 1 pm accuracy. The response time of the present fiber Bragg grating sensor was less than 0.5 ms. 화학반응조 내에서의 복합적인 화학 반응에 따른 온도 상승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중 광섬유격자 센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6개의 광섬유격자 센서들과 1×6 광도파로 결합기 및 0.1℃의 분해능을 갖는 인테로게이터로 이루어진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화학 반응조의 6개 지점의 온도 변화를 200 Hz의 속도로 동시에 측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 및 치료 효과

        이경신,박재옥,Rhee, Kyung Shin,Park, Jae Oc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1

        목 적: 급성 및 만성 복통 혹은 상부 위장관 출혈로 병원에 와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을 시행하여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환아의 내시경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 H. pylori 박멸 치료를 위해 사용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의 삼제 병합 요법을 1주 및 2주 투여군으로 나누어 그 제균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H. pylori 감염의 진단은 상부위장관 내시경술(GIF-XQ240, Olympus, Tokyo, Japan)을 시행하여 위전정부와 위체부에서 2개씩의 조직을 얻어 CLO (Delta West, Bentley, Australia)검사와 조직학적 검사를 하여 양성이면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요소 분해 효소 검사는 실온 상태에서 CLO 키트에 생검 조직을 넣고 24시간까지 관찰하여 색이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변하면 양성, 조직학적 검사는 Hematoxylin & Eosin 염색 표본을 시행 후 내시경 검사 결과를 모르는 한 명의 병리의가 현미경상 위 점막 조직에서 균이 관찰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이 중 하나 이상에서 양성인 경우 H. pylori 양성으로 진단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환아들을 치료기간에 따라 두 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제I군은 omeprazole (1 mg/kg/day, 최대 20 mg, bid), amoxicillin (50 mg/kg/day, 최대 1g, bid), clarithromycin (15 mg/kg/day, 최대 500 mg, bid)의 삼제 병합요법으로 1주간, 제II군은 같은 약제로 2주간 치료하였다. 치료 종료 4주 후에 4시간 이상 금식 후에 100 mg $^{13}C$-요소분말을 사용한 $^{13}C$-요소 호기 검사(IR300, OTSUKA electronics, Osaka, Japan)를 시행하여 음성인 경우 박멸이 성공한 것으로 하였고 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에는 같은 약제 또는 bismuth, metronidazole과 amoxicillin으로 추가 치료를 하였다. 결 과: H. pylori 양성 환아의 내시경 소견은 결절성 위염이 26명(43.3%)으로 가장 많았고 미란성 위염 10명(16.7%), 출혈성 위염 7명(11.7%), 위궤양 2명(3.3%), 정상 소견 15명(25.0%)이었다.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OAC) 삼제요법으로 1주간 치료한 제I군에서 치료 종료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30명 중 26명(86.7%)에서 음성 반응을, 4명(13.7%)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2주간 치료한 제II군에서도 치료 종료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30명 중 26명(86.7%)에서 음성 반응을, 4명(13.7%)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 pylori 박멸률은 86.7%였으며 두 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경우 제 I군에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4명의 환아를 bismuth, amoxicillin, metronidazole로 1주간 추가 치료를 하였고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제II군에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4명의 환아 중 1명은 같은 약제로, 3명은 bismuth, amoxicillin, metronidazole로 1주간 추가 치료를 하였고 4주 후 시행한 $^{13}C$-요소호기 검사에서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13}C$-요소호기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모든 환아에서 임상 증상은 완전히 소실되거나 호전되었다. 결 론: 소아에서 급성 및 만성 복통, 위장관 출혈과 H. pylori 감염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는 논 란이 많으나 H. pylori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균 박멸을 위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들의 연구에서 상부 위장관 증세를 가진 H. pylori 감염 환아에 대한 내시경 소견은 결절성 위염이 43.3%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Purpos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cute or chronic abdominal pain an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astroduodenoscopic findings and the efficacy of triple therapy with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between one and two weeks of duration i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Methods: We have assessed retrospectively 60 patients presented with acute or chronic abdominal pain or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H. pylori infection was confirmed by endoscopic biopsy and rapid urease test. Out of 60 patients, 30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for one week, and the other 30 patients were treated for two weeks with the same medication. Efficacy of treatment was assessed 4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reatment by using the $^{13}C$ urea breath test. Results: The 60 patients with the complaint of diffuse abdominal pain, epigastric pain, vomiting or hematemesi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e-week treatment group (group I) consisted of 30 patients (14 male, 16 female) with mean age of $11.6{\pm}2.67years$. Two-week treatment group (group II) consisted of 30 patients (11 male, 19 female) with mean age of $10.7{\pm}4.17years$. In group I, H pylori were eradicated in 26 out of 30 patients (86.7%). In group II, H. pylori were eradicated in 26 out of 30 children (86.7%). Both groups did $^{13}C$ urea breath test after 4 weeks after termination of the triple therapy. The eradication rates were same in both groups as 86.7%, 26 out of 30 patients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endoscopy were nodular gastritis 26 (43.3%), erosive gastritis 10 (16.7%), hemorrhagic gastritis 7 (11.7%), gastric ulcer 2 (3.3%) and normal finding 15 (25.0%).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nodular gastritis was most common endoscopic findings with H. pylori positive patients.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with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was 86.7% and it would be highly effective as primary treatmen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radication rate between one-week and two-week treatment groups. However, we should need more long-term follow-up data.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경신,장휘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핵심 경제주체로서의 기업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여 본연의 이익을 추구한다. 과거 성장위주 경제정책으로서의 기업목표는 이윤 극대화였으며,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생산 및 고용 등의 경제적 행위를 통하여 사회에 대한 기본적 책임을 이행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하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점차 증가하고 있고 2010년에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ISO 26000)의 제정으로 이제 더 이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불필요한 규제나 사치가 아닌 필수적인 경영요소인 것이다. 즉 단순히 기업의 경제적 성과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전략인 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 전체에 대한 신뢰,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조직 동일시,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부산 중소제조업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0부의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한 자료 39부를 제외한 201부의 설문지를 유효한 표본으로 파악하고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인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모두 조직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경제적 책임이 조직신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전체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 동일시에 매우 크게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에서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구체적인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조직구성원 전체에게도 사회적 책임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Companies as a key economic unit forming the modern society seek for the profit of their own by creating the economic values which society needs. The goal of the companies was said to maximize their profits in the past and was recognized to perform their basic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through the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profits. However, an awareness ab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company has gradually risen in its importance and with the enacted international standard of social responsibility (ISO 26000),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company become the essential management element, not the unnecessary regulations, nor the one of luxury items. That is, it is an essential strategy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not only for e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trust in the whole organizati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with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company.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mployees of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in Busan area. Among a total of 240 copies of which 39 copies were excluded due to their inconsistent responses, 201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recognized as valid samples and finally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cluding 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and charitable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 effect upon the trust in organization and among them the economic responsibility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trust in organization.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trust in the whole organization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up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Thirdly, job satisfaction i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upo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o a considerable extent. Fourthly, job satisfaction i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upon the turnover intention. Considering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company are the variable directly affecting the attitude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t is necessary for the company to be reminded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o set up specific plans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entir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 신생아의 폐 표면 활성제 단백-A1 (Human Surfactant Protein-A1) 유전자 대립형질의 분포와 빈도

        이경신,김영희,석정수,고정호,유욱준,이인규,오명호,배종우,Lee, Kyung Shin,Kim, Young Hee,Suk, Jung Su,Ko, Jung Ho,Yoo, Ook Joon,Lee, In Kyu,Oh, Myung Ho,Bae, Chong W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목 적 : RDS 발생과 BPD로의 이행을 예측 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 될 수 있는 SP-A1의 유전자 대립형질의 한국분포 및 빈도를 밝히고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SP-A1 유전자의 대립 형질을 위해 시발체(primer) 765/787, 767/768, 788/21를 이용하여 증폭 시킨 후 19, 50, 62, 133, 219 위치의 nucleotide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위치에 맞는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를 이용하여 (PCR-cRFLP-based methodology) 자른 후 전기 영동 하여 염기서열의 차이를 알아냈다. 결 과 :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하여,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등의 16개의 대립형질이 발견되었으며, SP-A1 중 $6A^3$ 45%, $6A^2$ 21%의 분포를 보였고, $6A^4$, $6A^8$, $6A^{14}$도 1% 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이외에도 6A, $6A^9$, $6A^{10}$, $6A^{11}$, $6A^{12}$, $6A^{13}$, $6A^{15}$, $6A^{16}$, $6A^{17}$, $6A^{18}$, $6A^{20}$의 대립형질이 6%의 분포를 보였으며, SP-A1의 Genotype은 $6A^26A^3$, $6A^36A^4$, $6A^36A^3$, $6A^26A^4$ 등이 88% 이상의 빈도를 보였다. 결 론 : RDS에 대해 보호체(protector)로 작용하는 $6A^3$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실질적으로도 우리나라에서 RDS의 발생률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많은 빈도를 보이는 $6A^3$는 다른 대립형질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때 유전자 발현에 많은 억제를 보여 숙주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SP-A의 혈청 내 농도가 적을 것으로 추측되어, 감염에 노출 될 위험이 많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겠다. Purpose : We evaluated allele frequencies and distribution of surfactant protein A1(SP-A1) in Korean neonates in order to estimate prevalence of RDS to find out new SP-A alleles, and to establish new steroid therapy. Methods :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100 neonates and served as a template in PCR for genotype analysis. SP-A gene-specific amplications and gene-specific allele determinations were performed using PCR-RFLP methods. Results : The distribution for the alleles of the SP-A1 gene in the study population were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The specific frequencies for the alleles of the SP-A1 gene in the study population were : $6A^2=21%$, $6A^3=45%$, $6A^4=11%$, $6A^8=9%$, $6A^{14}=8%$. Conclusion : The frequency of $6A^3$ was higher than the other SP-A1 alleles in Korean neonat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revalence of RDS in Korea may be low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However, this finding also suggests that Korean neonates have a high risk of infection.

      •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

        이경신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에서는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을 평가하고 국의 영양에 대하여 고찰하고 영양소 구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의 조리법에 관한 전문서적, 전문잡지 등으로부터 562가지의 국의 레시피를 수집하고 168가지의 전형적인 국의 레시피를 만들어 이를 기본 데이터로 하여 국의 열량 및 영양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68가지 국의 열량 및 영양소 함유량의 평균치를 보면, 한국인을 위한 영양권장량에 대한 충족률이 6.3%(열량)~41.3%(비타민 A)의 범위에 이른다. 그리고 [밥과 국]만으로도 지방을 제외한 영양소를 한 끼 영양권장량의 50% 이상 섭취할 수 있다. 국은 영양이 풍부한 음식임이 분명하다. 2.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 끼 영양권장량의 50% 이상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에 따르면 [밥과 국]의 82.8%가 “양호한 영양소 구성” 이상이라고 평가되었다. 국은 훌륭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음식으로 평가한다. 3. [밥과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과 국을 만드는데 쓰이는 식재료의 수, 종류, 중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양호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국을 만드는 간단한 지침을 얻었다. 실제로 국을 만들 때 주로 쓰이는 식재료인 담색채소, 녹황색채소, 어패류, 육류, 두류ㆍ두제품 중에서 3가지를 100g 이상 되도록 준비하여 국을 만들면 “양호한 영양소 구성”을 가진 국을 만들 수 있다. 4. [밥과 국]의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적절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식사가 되기 위해 다른 반찬을 곁들이는 지침을 제안하였다. 국을 만들 때 1~2가지의 식재료를 이용한다면 영양소 구성의 다양성이 모자라기 쉽기 때문에 육류ㆍ어패류ㆍ난류ㆍ두류 반찬과 채소 반찬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반면, 국의 식재료가 6이상이면 열량과 지방이 넘칠 수 있으므로 육류ㆍ어패류ㆍ난류ㆍ두류 반찬을 반드시 갖출 필요가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