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전용 보일러 후부 전열면 소음진동 저감에 관한 연구

        이경순,이태구,문승재,이재헌,Lee, Gyong-Soon,Lee, Tae-Gu,Moon, Seung-Jae,Lee, Jae-Heon 한국플랜트학회 2008 플랜트 저널 Vol.4 No.3

        The resonance of boiler is caused by exciting force in the gas path and it generates the vibration by the harmony of boiler's dimensional factor. According to trending toward the boiler of increasing capacity and a bigger size, it has a problem of the vibration at back-pass heating surfaces. We can predict such vibrations as comparison between vortex frequency and gas column's natural frequency. We can't rely on the method for the past decades because of changing parameters, such as an allowable error, gas temperature, gas velocity, Strouhal number. We can reduce the vibration to use the seasoning effect and change the operating condition in coal fired boiler but it's not essential solution. When the vibration occurred in the model boiler, we must measures the acoustic pressure and frequency of places for considering the means. So far, we confirmed the problem from field measures and theoretical analysis about the acoustic vibration of boiler. We installed anti-acoustic baffle in a existing boiler to change the acoustic natural frequency at the cavity, which results in reducing the acoustic vibration. The first, we prove that the acoustic resonance is caused by harmonizing vortex shedding frequency of tube heat surface with acoustic natural frequency of cavity in the range of 650~750 MW loads. The second, the acoustic resonance at the back-pass heating surface has the third order of acoustic natural frequency at the second economizer. We install five anti-acoustic baffles at the second economizer to reducing the resonance. We confirm considerably reducing the acoustic vibration of boiler during the commercial boiler.

      • KCI등재

        문서분류에서 가상문서기법을 이용한 성능 향상

        이경순,안동언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5

        This paper proposes a virtual relevant document technique in the learning phase for text categorization. The method uses a simple transformation of relevant documents, i.e. making virtual documents by combining document pairs in the training set. The virtual document produced by this method has the enriched term vector space, with greater weights for the terms that co-occur in two relevant docu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baseline, which prov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71% improvement on TREC-11 filtering test collection and 11% improvement on Reuters-21578 test set for the topics with less than 100 relevant documents in the micro average F1. The result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ddition of virtual relevant documents contributes to the steady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본 논문에서는 문서분류의 학습단계에 가상적합문서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어떤 범주에 대해 적합하다고 판단된 두 개의 적합문서를 결합해서 생성된 문서 또한 적합문서가 된다는 관찰을 통해서, 문서분류기가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분류기의 학습을 돕는다. 제안하는 방법은 학습문서집합에 있는 적합문서들의 쌍을 조합해서 단순히 변환함으로써 가상의 문서를 생성한다. 이 방법에 의해서 생성된 가상 문서는 두 개의 적합문서에 같이 발생하는 어휘들에 대해서는 높은 가중치를 갖고, 문서 내의 어휘 공간이 확장되는 특성을 갖는다. 대량의 문서를 포함하는 TREC-11 필터링 태스크 참여에서 제안한 방법은 제공되는 학습문서를 이용한 기본 성능에 비해 7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또한 문서분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비교를 위해 이용하는 실험집합인 Reuters-21578에서 학습집합의 적합문서 개수가 100개 이하인 범주에 대해서 기본 학습문서를 이용한 분류기에 비해 11%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가상문서를 계속 추가해 나가면서 성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가상문서의 추가는 문서분류기의 학습능력을 도와 성능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을 보였다.

      • 기억으로서의 ‘임진왜란과 불교’ : 17〜18세기 四溟堂 惟政과 甘露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경순 진주산업대학교 2005 마음사상 Vol.3 No.-

        본고는 임진왜란과 불교의 문제를 기억이라는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국가권력과 불교계의 관계에 집중하여 당시 불교의 역할과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호국’의 입장에서만 불교교단과 승장들의 공헌을 다룬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역사기록, 문학작품과 회화 등을 통해 임진왜란과 불교에 관한 다양한 기억의 층위를 살펴보는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구체적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첫째 사명당 유정이다. 역사기록에서 그려지는 사명당은 전란 후 조선말까지 무수한 이본으로 등장하는 소설『壬辰錄』에 나타난 그의 이미지와는 큰 차이가 있다. 18세기 사명당 유정의 현창사업은 그를 유교적 충의를 실현한 인물로서, 國事에 기여한 승려로서 공식 기억 속에 자리 잡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기의 형성된『임진록』에서 사명당 유정은 왜왕을 굴복시키고 위정자를 징계하는 민중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병자호란의 패배에 대해 임진왜란을 승리한 전쟁으로 기억하고, 그 주역을 기존 질서의 현실적 인물이 아닌 비주류의 인물로 상상하고자 하는 욕망의 소산이다. 그러나 그 안에서 유정의 내면의 고뇌와 불교 계율과 유교적 명분 사이에서의 갈등, 교단내의 분열된 평가 등은 국가의 공식 기억과 대중적 이미지 속에 묻혀버리게 된다. 둘째, 전란 후 설행되는 천도재와 그 의례용 불화로 그려지는감로탱을 통해, 불교 측의 전쟁에 대한 기억과 그 해석을 살펴보았다. 17~18세기 감로탱에는 전쟁의 기억이 강하게 투영되었다. 이는 전쟁의 기억이 기층민의 의식 속에 얼마나 큰 충격이며 극복 과제였는지를 말해준다. 동시에 전쟁의 참상에서 벗어나고 위안 받으려 하는 기층의 종교적인 갈망을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극락왕생의 기원 대상을 전쟁에서 희생된 모든 중생으로 확장시켰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불교적 관점에서 전쟁을 기억하고 그것을 종교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후 수습을 위한 불교계의 적극적 활동이 조선후기 불교교단을 신앙적으로 경제적으로 유지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쟁과 불교에 대한 다양한 기억은 전란기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승군의 참전, 교단의 호국활약에만 머물게 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계층의 입장이 반영된 관점에서 이해하게 해준다고 생각된다. 한편, 전란 후 형성된 사명당의 이미지가 역사적 사실을 압도하면서, 근대이후 ‘호국불교’의 표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Imjin War and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memories. Until now, many researche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Buddhism's role in Chos□n state as if Buddhism was primarily serving the interests of the state by "protecting the country(護國)." I, however, try to investigate a wide spectrum of memories concerning the Imjin war and Buddhism through historic records, a literary production and a religious paint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first Samyo˘ngdang Yujo˘ng. His image as it appears in the historic record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in the Imjinrok(『壬辰錄』), a popular novel which exists in a great number of alternative versions. In the eighteenth century, a project to commemorate Samyo˘ngdang Yujo˘ng placed him firmly in the public memory as a man of utmost loyalty and as a monk who contributed positively to governmental affairs. However, in Imjinrok during this same period, Samyo˘ngdang Yujo˘ng is described as a popular hero who forced the Japanese king to surrender and who reprimanded high officials. The Imjinrok attempts not only to describe the Imjin War as a glorious victory, but also to imagine the hero of the war as someone not part of the ruling class. Memory of Samyo˘ngdang Yujo˘ng was complicat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state-sponsored public remembrance and popular memory. Second, I examine Buddhists' memori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war through the war's appearance in the mourning ceremony, the Cho˘ndojae, and in the associated ritual painting, commonly called Kamnotaeng (Painting of Nectar).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Kamnotaeng reveal deep shock concerning war memories and great difficulty in trying to overcome it. These paintings also fulfilled people's religious desire to be saved and consoled from war misery. The ritual and the painting were supposed to help the souls of the fallen soldiers -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enemy or allied - to reach the pure land of Sukhavati. Perhaps we should see this as the Buddhist approach to commemorating the Imjin war. Indeed, the diversity of memories concerning the Imjin war and Buddhism let us understand the variety of Buddhist social roles; it reveals that Buddhism did not simply serve to protect the country, but wa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social class. Just as in the memories of Samyo˘ngdang, memories of the Imjin war since the modern period have overwhelmed historic facts and have transformed Buddhism of that period retrospectively into ‘nation-protecting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