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尹月下(1915~2003)의 종단정화운동과 개혁활동

        이경순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한국불교사에 중요한 자취를 남겼던 老天堂 尹月下의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종단 정화활동과 1970년대에서 1994년까지의 교단내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그는 1954-5년 정화운동의 초기에는 대처측, 정부측 대표들과 협상을 벌인 비구측 대표 중 한명으 로서 활약하였고 이후에는 통도사와 경남지역 정화에 헌신하였다. 1960 년대 통합종단의 탄생과 운영과정에서도 불교재건비상종회의원, 총무부장, 감찰원장의 중임을 맡았다. 이후 1970-80년대 종단의 분규의 현장에서 윤월하는 종단의 원로로서 분규를 해소하고 종단의 앞날을 기약하기 위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정화 이후 줄곧 종단의 개혁을 지향해왔고, 종단개혁을 위한 그의 행보는 1994년 개혁종단의 종정에 추대됨으로서 결정을 맺게 되었다. 정화운동 의 1세대로서 1994년 개혁종단의 종정이 되었다는 것은 20세기 조계종 사에서 정화운동이 지닌 의미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며 윤월하는 20세기 후반 교단개혁의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 인물이 된 것이었다. 그리고 그가 지닌 정화이념은 1950년대에서 1990년대 후반까지의 정치 적 결단을 설명해주는 지표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이러한 행적은 신 심과 공익성을 중시하고 이판과 사판을 아울러 체달해야 한다는 수행자 로서의 책임의식과 시대의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열린 자세에서 비롯 한 것이었다. 현재까지 윤월하의 삶과 사상, 종단정치상의 행적에 대한 평가 작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앞으로 그의 출가 전후의 이력, 통도사에 서의 생활, 종단에서의 활약상, 수행력과 사상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찾아내고 이를 통해 합당한 역사적 위상을 밝혀내는 일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Yun, Wolha's activities in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Buddhist Reformation from 1950's to 1990's. This study underlines he was a symbol of the Korean contemporary Buddhist history. Because he was not only the youngest leader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but also became the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after the Buddhist Reformation in 1994. He was a famous Seon ascetic but he always participated as a troble-solving broker in the complications of Jogye order. He had conserved the ideal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n his political activities of the Jogye order. He tried to restore the ideal of the Jogye order to purify Samgha. H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nk of the contemporary Buddhist history. Nevertheless, the studies about him was rarely found. It will be expected the reinvestigation of his life, his thought for the purification of the Jogye order, and the activities in the Buddhist Reformation in 1990's.

      • KCI등재

        18세기 전반 李夏坤의 호남여행과 士族 緣網

        이경순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3 No.-

        Sightseeing travels were all the rage among Sajok(士族) in the late Chosun period. One feature of their travels was long-term and long-distance travel(遠遊). It is needed to explanation of the background and the condition that could make extended trip for Sajok. This study examines a route and lodgings of a case of long term trips and explores a social network of Sajok, Yi, Hagon(李夏坤) revealed in a travel record, Namyurok(南遊錄). Yi, Hagon traveled Honam(湖南) region through Hoseo(湖西) region for 65 days. Yi, Hagon met with a warm reception by many regional Sajok and could enjoyed his long-term trip. He used his social network as a traveler strategy and could not faced with economic troubles during his travel. Regional Sajok served and guided Yi, Hagon around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ir region. They wanted to share Yi, Hagon’s authority and power and showed off their social intercourse because Yi, Hagon was a member of the power elite family of the time that had been connected with other elite families through their overlapping wedding and school ties. However, Yi, Hagons’ social networks were limited by the faction of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laces of his destination, Namin(南人)’s families or their Seowons(書院) were excluded. As the faction politics of the late Chosun period had been deepening, the factional influence spread to several regional societies. Accordingly, the Sajok networks were widespread all over the country but they were fixed and limited by the partisan coloring. 조선후기 사족사회에서 산수 유람은 대유행을 이루었다. 그런데 17세기 후반 이래 사족의 유람 기록에서 보이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遠遊, 즉 거주지에서 먼 거리의 지역에 대한 유람이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조선후기 원거리 여행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 배경과 조건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李夏坤의 「南遊錄」을 통해 원거리 여행의 양태와 그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으로서 士族 緣網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遠遊가 드물지 않게 된 배경에는 조선전기보다 사족들의 연망과 그 활용이 더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누대에 걸쳐 광역적 세력을 형성한 유력 사족일수록 원유가 수월했다. 이하곤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이하곤은 그 자신의 연망이 혼척관계와 학통을 매개로 湖西, 湖南지역에 뻗혀있었다. 호남은 중앙에서 활약하던 학자관료의 유배를 계기로 지역의 학풍을 일으켰던 사례가 많았던 관계로 중앙 사족과의 연계가 중시되었다. 더욱이 17세기 후반 이래 점차 중앙 관직 진출이 어려웠던 향촌사족의 입장에서 중앙의 사족과의 연결은 중요한 과제였다. 따라서 유력사족의 유람은, 향촌 사족의 입장에서는 권력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여행을 적극 지원하고 위세를 나누는 입장에 서길 원했다. 조선후기 붕당정치의 심화는 서원 등의 지방 사족사회를 붕당적 성격으로 변모시켰다. 붕당의 지방화, 전국화는 유력사족의 연망이 전국적으로 확장되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이하곤의 예로서 본다면, 18세기이후 사족간의 교유와 연망의 성격과 범위는 당색의 한계 안에서 고착화되고 활력을 잃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1970년대의 고암대종사

        이경순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이 글은 1970년대 古庵大宗師(1899~1988)의 행적을 살핀 것이다. 고암은 曹溪宗 宗正을 역임한 한국 현대불교의 대표적 고승이다. 1988년 입적하였지만 수행자로서, 청정율사로서의 행적은 수많은 문도와 신자들 사이에 현재까지 회자되고 있다. 또한 3차례나 종정에 추대된 인물로서 현대 조계종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빠질 수 없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는 고암의 행적에서 중요한 시기였다. 고암은 1970년대 신흥사 조실로서 신흥사를 중창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3차례 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했다. 교단사에서 1970년대는, 1954년부터 시작되어 10여년을 끌던 종단정화의 광풍이 지나간 후 정화의 정착과 敎政의 안정이 기대되던 시기이다. 그러나 중앙 종단의 권력과 각 사찰의 이권을 둘러싼 분규와 소송이 끊이지 않아 교단의 혼란과 위신 추락이 날로 더해가던 시기이기도 하다. 1970년대의 조계종의 종정은 지금과 같이 상징적 위상을 갖는 종정과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종정은 종단정치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종단운영에 막강한 힘을 발휘했다. 고암은 종정으로서 종단정치에 관여하였고 때론 분규의 주역으로서 세간에 알려졌다. 고암은 1970년대 종정으로서 분규와 기강해이로 대혼란을 겪던 당시 승단을 이끌어야 했다. 수행이 바탕이 된 승단정화를 꾀한 고암은 종정유시를 통해 종회를 유보시키거나 총무원장 중심제로의 종헌개헌에 반발하는 등 종정의 권한에 대한 논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청정율사로서, 전국과 세계를 누빈 포교사로서 평생을 살았던 고암의 일생에서 1970년대는, 종단의 정신적 수장이라는 영광과 혼란뿐인 종단정치의 상처가 교차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1970년대 고암은 승단분규의 중심에서 정화과정에서 파생된 승단 내 문제를 인식하고, 정화의 완성과 당대 한국불교 승단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1970년대 고암의 행적연구가 현대 고승으로서 고암의 전반적 생애와 사상에 대한 연구와, 승단분규의 시대로만 규정된 1970년대 불교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Goam's activities in the 1970's. Goam was one of the great Seon master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history. He was famous for a respectable Seon ascetic and stern vinaya master. He also was had as the 3rd, 4th, and 6th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from the end of 1960's to the end of 1970's. In the 1970's, Goam helped Sinhungsa be restored as the head temple in Gangwon province and participated in official affairs of Jogye order. He had reserved the activity of the Central Assembly of Jogye order and vetoe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Jogye order, which aimed to restrict the competence of the Supreme Patriarch. This caused lots of controversies about the limit of authority of the Supreme Patriarch. However, he realized the aftermath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from the 1950's and tried to overcome all difficulties in order to reform Sangha society. I wish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mote the research about the lifetime of Goam as the representative master as well as the 1970's Jogye order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사건 어휘의 특성을 반영한 다국어 사건 연결 탐색

        이경순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which models multilingual story link detection by adapting the features such as timelines and multilingual spaces as weighting components to give distinctive weights to terms related to events. On timelines term significanc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erm distribution of the documents on that day with that on the total document collection reported, and used to represent the document vectors on that day. Since two languages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than one language, term significance is measured on each language space and used to refer the other language space as a bridge on multilingual spaces. Evaluating the method on Korean and Japanese news articles, our method achieved 14.3% and 16.7% improvement for mono- and multi-lingual story pairs, and for multilingual story pairs, respectively. By measuring the space density, the proposed weighting components are verified with a high density of the intra-event stories and a low density of the inter-events stori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helpful for multilingual story link detection. 본 논문에서는 다국어 뉴스에 대해서 ‘시간’ 요소와 ‘언어 공간’ 요소를 사건 어휘의 가중치 계산에 반영하는 다국어 사건 연결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간의 흐름과 다국어 공간상에서 어휘의 분포 특성을 어휘의 가중치로 반영하여 사건 중심 어휘에 변별력을 줌으로써 같은 사건을 다루는 문서를 탐색하도록 한다. 시간상에서 어휘가중치는 전체 시간의 모든 문서집합에서의 어휘 분포와 특정 시간의 문서집합에서의 어휘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계산하고, 그 특정 시간의 어휘의 가중치로 표현한다. 두 개의 언어는 하나의 언어에서보다 더 많은 정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각 언어공간에서 어휘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다국어 처리에서 다른 언어 공간에서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언어 공간에서의 참조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같은 기간의 한국어와 일본어 신문기사에 대해서 사건 연결 탐색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가중치 기법인 tfidf 가중치 기법과의 비교 평가에서, 제안 방법이 단일언어 문서쌍에 대한 사건 연결 탐색은 14.3%, 다국어 문서쌍에 대한 사건 연결 탐색에서는 16.7%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제안한 가중치 요소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간 밀집도를 측정하였는데, 같은 사건을 나타내는 문서들의 그룹에서는 높은 밀집도를 나타냈고, 서로 다른 사건을 나타내는 문서들의 그룹에서는 낮은 밀집도를 나타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시간과 공간 요소를 반영한 사건 어휘 가중치 방법이 단일언어 사건 연결 탐색뿐만 아니라 다국어 사건 연결 탐색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용서 개념분석

        이경순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1998 정신간호학회지 Vol.7 No.2

        The concept of forgiveness was analyzed by Walker and Avant's method to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nursing. As the result of concept analysis, 'voluntariness', 'reciprocality', 'hurt', 'healing', 'working of divine power', and 'elapse of time' were identified as the essenti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forgiveness. 'Voluntariness' includes voluntary act, choice or decision making to deal with the past events. 'Reciprocality' indicates the mutual, not unidirectional, attitute or reaction. 'Hurt' means a kind of emotional pain or suffering caused by one person to another. 'Healing' means cure of emotional pain or suffering. 'Working of divine power' indicat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nly by his/her own power, but through God's help. 'Elapse of time' means that it needs much of time to solve the problem.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forgiveness scale.

      • KCI등재

        폐경후 여성에서 경구용 에스트로젠을 이용한 호르몬 보충요법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경순,이성구,장윤석,이진용,최영민,김석현,신창제,김정구,문신용 대한폐경학회 1995 대한폐경학회지 Vol.1 No.1

        $quot;Estrogen replacement therapy confers many beneficial effects to postmenopausal women, such as slowing the rate of bone loss and decreasing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benefit of estrogen therapy in prevention of osteoporosis, but the studie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on bone/mineral metabolism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re rare. Thus we conducted a 1-year study of 40 patient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s of conjugated estrogen(Premarin at the dose of 0.625 mg per day) with the additional calcium (1,000mg per day)(group I) on bone/mineral metabolism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e also conducted G month study of 15 patients who receive placebo and daily 1,000mg calcium suppliment only(group II). Bone densities of spine(L2-IA) and femoral neck were measured using dual photon absorptiometry before treatment and every 6 month during treatment, and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in first fasting urine was measured before treatment and every 3 month during treatment. The values of post-treatment assesment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pre-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one mineral density of spine(L2-L4)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6th and 12th month of treatment. 2. W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ral neck decreased at the 6th and 12th month of txeatment in group I but in the group II, the density of femoral neck decreased more than the group I . 3. The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I at the 3rd month of treatment and so thereafter. These data suggest that conjugated estrogen(Premarin) at the dose of 0.625 mg per day with the additional intake of calcium(1,000 mg per day) exerts a favorble effect on bone metabolism of postmenopausal women, particularly in trabecular bone. $quot;

      • KCI등재

        민족주의 담론과 성적 주체 : 아니타 데사이의 『낮의 밝은 빛』 Anita Desai`s Clear Light of Day

        이경순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1 현대영미소설 Vol.8 No.2

        Despite disagreement concerning its nature, nationalism is a potent ide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e face of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and natianalist struggles. 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assumptions upon which nationalism is grounded, examining the women's question and the homogenizing tendency inherent in the politics of nationalism in Clear Light of Day by Anita Desai. This will lead to the conclusion that gendered subjectivity must be included in any theoretical discussion on nationalism. To capture the idea of modern nation as an 'imagined community', Benedict Anderson speculates the rise and growth of modern nations. However, he ignores the absence of gender and displays the androcentricism of modern national imaginings. Frederik Jameson, Aijaz Ahmad, Madhava Prasad, and Homi Bhabha ironically produce an unmediated space for the formation of a national subject. However, in terms of such notions of nationalism, it is Gayatri Spivak who first offers a warning against the appropriation of the subaltern by nationalist elite approaches. She criticizes the male orientation of the subaltern male's indifference to sexual difference. Clear Light of Day provides us with the woman's question of the so-called 'third world' which is intricately tied to anti-imperialist and nationalist struggles waged by a modernized middle class and the traditional past. It explores the complexities inherent in the discourse of Indian nationalism, in which representations of women need to be integral to the discourse of modernity which characterizes the new nation, yet cannot be cut off from the Gandhi's essentialized picture of womanhood, and Hindu discourse. Bim and Tara claim for recognition as equal citizens in the new independent nation-states. But they are seldom empowered by the appropriation of "woman" as a metonymy for 'nation'. Their life seems unchanged, as did Mira's life under the British colonialism. Thus, the text discusses the way in which nationalism has not proved to be a progressive ideology in the domain of gendered subjectivity.

      • KCI등재

        발목관절 테이핑이 고령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순,이영빈,최익준,송하영,박주은,구현주,김부성,김영옥,하수종,김양지,권남정,이세인,Lee, Kyung-Soon,Lee, Young-Bin,Choi, Ick-Jun,Song, Ha-Young,Park, Ju-Eun,Koo, Hyun-Ju,Kim, Bu-Sung,Kim, Young-Ok,Ha, Su-Jong,Kim, Yang-Ji,Kwon, Nam-Jun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12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19 No.3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nkle joint taping on balancing abilities of the elderly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preventing falls among the elderly. Methods : In this study, 20 students(8 male, 12 female) in their 20s from D University as well as 14 elderly(4 male, 10 female) in their 70s from S community center hav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well informed about the experiment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We measured the difference in balancing ability before and after taping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methods such as standing on single-leg stance, TUG, and plantar pressure. Kinesio taping, a stop-watch, and the EMED-system were used as equipment along with the SPSS 12.0 program,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o test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aping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 : First, the 70s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orsal flexion angle after taping. Second, the 70s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duration time of standing on one foot after taping. Third, the 70s group's TUG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Fourth, the maximum peak value for static and dynamic plantar pressu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taping; and dynamic plantar pressure area value decreased as well within significant range. Conclusion : The study has shown that taping is effective on static dynamic balancing ability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