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 안의 배우, 배우의 몸 - 이경성과 크리에이티브 바키(Creative VaQi)의 연극 미학

        이경미 ( Lee Kyung Mi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1

        이경성과 크리에이티브 바키(Creative VaQi)의 연극은 희곡의 재현이 아니라 `공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광화문이나 문화역 서울과 같은 일상적 공간 속에서 행해졌던 그의 작업은 이들 공간으로부터 고유의 장소성, 즉 그 공간에 축적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드러냈다. 이후 그들은 일상적 공간으로부터 극장이라는 제도적 공간으로 중심을 옮겨 극장의 장소성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데, 이것은 연극이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질문이기도 하다. 이로써 이경성과 바키의 연극은 예의 그 `장소특정적 공연`의 카테고리를 벗어나 보다 더 미학적 지평을 확장해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그들의 작업을 공간과 함께, 좀더 시각을 달리하여 공간을 점유한 몸의 문제를 근거로 새롭게 논의할 수 있는 단초를 얻게 된다. 사실 공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 바키의 작업은 애초부터 그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배우의 몸을 배제하고는 논의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크리에이티브 바키의 연극을 배우, 배우의 몸으로부터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다. 통상적 연극과 다르게 그들은 연출과 배우 모두가 직접 공연 전 과정을 이끌면서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인터뷰하며, 여러 번의 발제와 토론 등의 과정을 거쳐 공연의 틀을 잡아간다. 이런 작업과정에서 배우는 어떻게 대상을 체험하는지, 그리고 체화된 감각을 바탕으로 무대를 그들 연극의 주요 화두인 공간과 시간, 더 나아가 타자에 대한 감각의 장소로 발생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대 위의 배우의 몸은 공간을 점유한 몸으로서 `여기`에 대해 질문하기도 하고, 시간을 점유하고 `지금`에 대해 묻는다. 그런가하면 보이지 않는 타자의 고통을 감각하는 몸으로서, 기억에 대해 묻기도 한다. 배우의 몸에 기반한 이경성의 연출미학을 풀어내는 이론적 근거는 몸과 지각의 문제를 중심에 둔 현상학에서 가져왔으며, 구체적인 사례들은 최근 2년 동안 발표된 이들의 작품들에서 찾아보았다. Lee Kyung-Sung and the theatergroup `Creative VaQi) have made their theaters focusing on space discourses. But for about last two years, most of their works have been performed not only in everyday spaces but also in various instituional theaterspaces. This is why the research about their theater aesthetics should be conduc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study examines several recent works that Lee Kyung Sung and his VaQi have performed in institutional theatrical spaces. Actor`s bodies that occupy the space have been their theatrical interest that they have focused on from the beginning. What they emphasize is not how they make actors represent their drama roles. They see actors not as tools of theater but as productive subjects. Actors in their theaters stand on stage as themselves with their own identities. In other words, they reveal themselves on stages as persons who have their own thoughts about the world. This is due to their unique working style that are completed through thorough collaborative work, from data research to interview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f course, actors are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They constantly interact with objects and build their own viewpoint on them. The body itself is a performing body that creates events and forms the framework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This way of working is closely linked to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is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how actor`s body is posing new questions about space and time. It tries also to look at how actor`s body occurs as a place of sensation for the other.

      • KCI우수등재

        ‘문명화’와 ‘동화’ 사이에서 주체되기: 근대 동아시아에서 르봉 수용과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이경미(LEE Kyung Mi)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1

        이 글의 목적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이 귀스타브 르봉(Gustave Le Bon)의 ‘민족심리학’을 어떻게 수용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의 논리체계가 갖는 독창적인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식민지 조선의 사상을 알기 위해서는 그를 둘러싼 ‘복합적인 연쇄구도’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우선 르봉의 이론이 근대 동아시아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봤다. 특히 일본을 중심으로 번역이 이루어졌지만 그 양상은 복합적이었다는 점, 그리고 근대 동아시아에 있어 르봉의 수용은 ‘내셔널리즘’과 결부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민족개조론의 르봉 수용이 갖는 독창성을 일본에서 수용된 상황과 비교를 통해 밝혀냈다. 이광수는 민족성을 ‘근본적인 것’과 ‘부속적인 것’으로 나눈 르봉의 구분을 전유함으로써, 비서구사회의 ‘문명화’를 부정하는 르봉의 이론을 반박하는 동시에 이민족의 ‘동화’를 비판하는 르봉의 주장을 그대로 살려냈다. 즉 민족성의 변화를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모순적인 과제’를 하나의 텍스트 안에서 수행했던 것이다. 이는 ‘문명화’와 ‘동화’라는 상반된 과제를 ‘공존’시키는 언설행위였지만, 양자 사이에서 민족의 ‘주체화’라는 공통된 과제를 수행한 것이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는 이광수의 르봉 수용이라는 문제를 ‘내셔널리즘’이라는 프리즘으로 재조명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how Lee Kwangsu accepted Gustave Le Bon’s theory in colonial Korea. He translated part of Le Bon’s book, The Psychology of People and appropriate his theory to apply for his colonial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intellectuals in colonial Korea, we must know the “complex chain of thoughts” surrounding them. Therefore, I first examined how Le Bon’s theory was spread to modern East Asia, especially Japan, China and Korea. Through this process, I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complex structure but also the linkage between Le Bon’s theory and nationalism in modern East Asia. Second, I described how Lee Kwangsu’s On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injok Gaejoron) accepted Le Bon’s theory. Comparing with the situation in Japan, he made a different conclusion from Le Bon, using the distinction of nationality as “fundamental” and “adjunctive”. In other words, unlike Le Bon’s interpretation to emphasize the invariability of the fundamental nationality, he argued that the adjunctive nationality is easy to change. His appropriation of Le Bon’s logic was to transform his conclusion to deny the “civilization” of the non-European n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Lee inherited Le Bon’ criticism against the “assimilation” of nation. In this respect, Lee’s article had a “originality”, that was not seen in Japan, as a nationalistic discourse in colonial situations. He aimed to establish Korean nation as a “subject or Juche” in it’s contradictory task between “civilization” and “assimilation”.

      • KCI등재후보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공간, 라이브니스, 현존에 대한 담론의 재구성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7

        The medial enviroment that hasbeen continuousely developed during last 20th century, has decisive effects on comtemporary arts. Most of arts, especially after 1990’s, throw off their traditional discourses on representation and try to discover new aesthetic potentials inherent in various technolgical media. The same can be said about contemporary theater. Historically considered, theater is a hypermedium that is composed of numerous media, from actor’s body to various audio-visual images. But today, theater don’t use their media as tools of representation any more, but emphasis the properties of media. So intermedi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issues of today’s theater. The ‘Inter-media’ that means ‘between media and media is the place where emerge new sensual perception. Theater that emphasis the mediality is categorized as ‘Intermedial Scenography’ in this paper. The ‘Telematic Intermedia Senography’ mentioned together in this paper is the most contemporary theater that is realized with the aid of temelmatic technologies. In this process, we must redifine the theatrical issues about ‘liveness’ and ‘presence’. As everyone knows, these two concepts have been always discusse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physical nearness between actors and audience. But since the border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has been disappeared, it is meaningless. As Vilem Flusser and Sybille Kramer emphasize, presence in today‘s digial medial culture should not be limited on the phsical experience any more. It is the one that can be also generated through experiencing the spatially distant other bodies. In other words, peresence is today more to do with audience engagement and their attention than with merely physical nearness. We try to look at all aesthetic issues related with media, presence and liveness from a different viewpoint because it offers new experimental possibility to theater artists.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거듭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은 연극을 포함한 모든 예술의 지형을 바꿔놓았다. 재현의 담론을 벗어버린 예술은 일상의 다양한기술적 매체들을 수용해 이를 미학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확장시켰다. 이 과정에서 연극의 무대는 단순히 희곡의 서사를 재현하는 극적장소에서 벗어나새로운 감각과 지각을 발생시키는 공간으로 확장된다. 20세기 초부터 시작된이러한 움직임은 1990년대 이후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더욱 가속화되면서, 무대미술의 개념 역시 바꿔놓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지금까지 연극에서의 매체는 재현의 도구로서, 예술가가 제시하는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매체를 막론하고 그 매체들이 갖는 고유한 매체적 성질 자체가 연극의 주제이자 형식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언급하는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는 바로 이러한 매체성에 주목하고 그 매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새로운 표현가능성에 초점을 맞춘공연들을 포괄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21세기의 글로벌 네트워킹 사회 속에서 인터넷이나 각종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이용해 서로 다른 공간을 원격으로 동시적으로 연결하는 공연들은 ‘텔레마틱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로 정의할수 있는데, 이는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보다 발전된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연극이 매체를 수용해서 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식 자체가 변함으로 인해, 우리는 지금까지 연극만의 고유한 전제조건으로 여겨졌던 ‘라이브니스’와 ‘현존’에 대해 새롭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연극에서 ‘라이브니스’와 ‘현존’이 관객의 몸이 배우의 몸과 물리적으로 한 공간에 있다는 것에서 출발했다면, 이제 인간의 몸이 디지털 공간 속으로 사라진 지금 이러한 전제는 사실 의미가 없게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전자매체,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지각 방식에 대전환을 가져왔다. 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매체철학자들이 논의를 해왔던 바, 특히 빌렘 플루써나 지빌레 크레머의 생각은 예술, 특히 연극에서 이뤄지는 소통과 지각의 방식을 재구성하는 데에 커다란 도움이 된다. 플루써의 말을 빌리자면, 텔레마틱 시대에서 ‘가까움’ 또는 친밀성이라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한 한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서 같은 생각을 공유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여부를 막론하고 내가 다른 사람과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강하게 심정적으로 연결되는가를 나타내주는 함수를 의미한다. 이때 매체는 단순히 하나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크레머가 말하고 있듯 서로 다른 세계의 ‘사이’에 중립적인 제3자, 즉 이질적 존재로 위치하면서, 볼 수 없던 것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도록 하고, 그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이 자신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계들을 발견하고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로 이렇게 새롭게 발생하는 관계, 지각이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의 인터미디어 공간 속에서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현존’이자 ‘라이브니스’이다. 즉 오늘날 현존과 라이브니스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 동시적인 시간과 상관없이, 하나의 주체가 대상에 대해 그전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하고 발견하게 되는 바로 그 순간에 발생하는 어떤 감각과 연결된다. 21세기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연극에서의 매체, 그리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현존과 라이브니스에 대한 시각이 새롭게 형성될 때, 그것은 향후 연극이 다른 예술장르, 그리고 기술적인 매체들, 더 나아가 극장 밖의 현실에 대해 보다 동시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적 단초가 될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MRF 기반의 Texture분할

        이경미(Lee Kyung Mi),김상균(Kim Sang Kyoon),김항준(Kim Hang 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5 No.10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in Markov Random Field(MRF) model of textured color images. The MRF models allow an image region to be described using a finite number of parameters that characterize spatial interactions within and between bands of a color image. An important problem is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since the random field model-based textured color image is the mostly parametric model specified by a number of parameters. To deal with the problem, we use a genetic algorithm. A test with color images of natural scen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proves that the method is not affected by the size of the image and shows well-segmented images.

      • KCI등재

        대학생의 글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유형

        이경미(Lee Kyung-mi)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7 No.-

        필자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이 고루 갖춰져야 한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글쓰기의 형식적인 측면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띄어쓰기를 어려워하고 있으며, 실제 글쓰기에서도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실제 글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띄어쓰기 오류 유형을 살펴 교수자가 이와 관련한 내용을 교육할 때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대학교 교양 과목인 ‘기초글쓰기’를 2017년 2학기에 수강한 102명의 학생이 작성한 373편의 글을 대상으로 띄어쓰기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373편의 글 975개의 문장에서 1,268회의 오류가 나타났는데, 띄어쓰기 오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용언류의 오류가 608회(47.9%)로 가장 많았고, 명사류의 오류 358회 (28.2%), 체언과 용언의 결합 시에 나타난 오류 189회(14.9%), 조사류의 오류 56회 (4.5%), 복합적 양상류의 오류 32회(2.5%)로 나타났고, 부사류의 오류가 25회(1.9%)로 가장 낮았다. 오류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용언과 보조 용언의 결합 시 나타난 오류가 514회 (40.5%)로 가장 많았고, 명사와 명사의 결합 시 나타난 오류 277회(21.8%), 용언과 의존 명사의 결합 시 나타난 오류 81회(6.4%), 용언에서 나타난 오류 70회(5.5%), 명사와 용언의 결합 시 나타난 오류 48회(3.8%), 용언과 명사의 결합 시 나타난 오류 33회(2.6%), 복합적 양상 32회(2.5%) 순이었다. For a writer to effectively deliver his or her thoughts and feelings, the piece of writing should be well composed in both form and content. However, many university students find it hard to use proper word spacing and commit many mistakes in their writing. To assist with the systematic teaching of word spacing, this article analyzed the patterns of word spacing errors in 373 writings of the 102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elective course, Basic Writing. at University C,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1,268 errors were found in 975 sentences of 373 pieces of writing, including 608 errors with predicates (47.9%), 358 errors with nouns(28.2%), 189 errors with combinations of an uninflected word and a predicate (14.9%), 56 errors with postpositions (4.5%), 32 complex errors where two or more errors were combined (2.5%), and 25 errors with adverbs (1.9%). More specifically, errors that included a combination of both predicate and auxiliary predicates totaled 514 (40.5%), followed by errors involving a combination of nouns (277, 21.8%), errors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a predicate and a bound noun (81, 6.4%), errors involving predicates (70,5.5%), errors with a combination of a noun and a predicate (48, 3.8%), errors with a combination of a predicate and a noun (33, 2.6%), and complex errors where two or more errors were combined (32, 2.5%). Much research shows that university students find it hard to use proper word spac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form of writing, committing many errors in their writing. Various methods are used by teachers to teach the proper use of word spacing. However, in real education settings, time and other restrictions prevent them from teaching about the finer points of word spacing. Hopefully the analysis of patterns of word spacing errors in this article may help them in re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B16F10 흑색종 세포에 대한 Biorenovation 기법을 이용한 파리풀 캘러스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이경미(Kyung-Mi Lee),박태진(Taejin Park),지은이(Eun Yee Jie),김석원(Suk Weon Kim),한동환(Dong-Hwan Han),김승영(Seung-Young Kim) 한국생물공학회 2021 KSBB Journal Vol.36 No.1

        Bio-renovation is the microorganism-assisted conversion of the structure and improvement of biological efficacies of natural products and synthetic compoun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t callus on anti-melanogenic effect and compared the activity changes of bio-renovated callus. Phryma leptostachya bio-renovation products at the concentrations of 100, 200, 400 μg/mL suppressed tyrosinase activity and the expression of melanogensis-related protein such as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ithout a loss of cell viability in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relative to its substrate. Moreover, cell viabilities of PLBR increased over the tested concentrations compared to its substrate (PL). PLBR at 400 μg/mL inhibited the α-MSH-induced melanogensis effect to the level of non-treated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ucture of various compounds contained in Phryma leptostachya (PL) were modified through a bio-renovation technique and which conferred anti-melanogenic properties to PL.

      • KCI등재후보

        보문 : C57BL/6 마우스에서 하수오 열수추출물의 육모촉진 효과

        이경미 ( Kyung Mi Lee ),이재순 ( Jae Soon Lee ),오지영 ( Ji Young Oh ),김영철 ( Young Chul Kim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0 대한미용학회지 Vol.6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goni mulitiflori Radix water extracts (PMWE) on hair growth and hair follicle development in C57BL/6 mice. Six weeks old femal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cluding normal group (saline, N), vehicle control group (jojoba oil+100% ethanol+saline, VC), positive control group (3% minoxidil, PC), and experimental group (PMWE, E), and they were topically applied with an amount of 0.2 mL experimental compounds once a day, 6 days a week for 4 week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the gross examination. Topical treatment of PMWE and 3% minoxidil to dorsal skin accelerated hair regrowth faster than N and VC groups. E and PC groups promoted development and elongation of hair follicles compared with N and VC groups. In week 4, absolute weight of heart and spleen were significantly heavy in PC group compared with N, VC and E groups. Relative weight of spleen was significantly heavy in PC group compared with N and VC groups. Relative weight of right kidney was significantly light in PC group compared with N, VC and E groups. Whereas absolute and relative weight of thymus were significantly light in E group compared with N group (p<0.05). In week 4,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value of RBC count in PC group compared with N and VC groups, and significantly low value of platelet count in PC group compared with N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MEW effectively stimulated hair growth with development of hair follicle in an animal model and that it showed more safer than minoxid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