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처리 공정을 이용한 Si-doped β-Ga<sub>2</sub>O<sub>3</sub> 박막의 전기적 특성의 이해

        이경렬,박류빈,Lee, Gyeongryul,Park, Ryubin,Chung, Roy Byung Kyu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7 No.4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Si 도핑된 n형 β-Ga2O3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킨 후 전도도 변화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β-Ga2O3 시편들은 공기 또는 N2 분위기에서 800℃~1,200℃ 온도범위 내에서 30분 동안 열처리되었다. 우선 열처리로 인한 결정성 개선은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공기중 열처리된 시편은 전도성이 악화된 반면 N2 열처리된 시편은 Hall 캐리어 농도와 이동도가 일부 개선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XPS)분석 결과, 산소공공(VO)의 농도는 가스 분위기에 상관없이 모든 열처리된 시편에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공기중 열처리된 시편에서의 VO 농도 증가는 β-Ga2O3내 VO가 Shallow donor가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N2 열처리된 시편은 VO가 아닌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서 전도도가 향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Si의 경우 SiOx 결합상태를 보이는 Si의 농도가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특이하게도 SiOx의 Si 2p peak의 면적 증가는 기존 Si의 화학적 변화 보다는 XPS 측정 영역내 Si농도 증가로 보였으며, SiOx와 전기전도도와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존 보고된 실험결과와 달리 VO가 Deep donor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β-Ga2O3 전도성의 결함 및 불순물 의존도에 대한 연구는 β-Ga2O3의 전기적 특성의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물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In this work, the electrical property of Si-doped β-Ga2O3 was investigated via a post-growth annealing process. The Ga2O3 samples were annealed under air (O-rich) or N2 (O-deficient) ambient at 800~1,200℃ for 30 min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e quality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lms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xplored in this work. However, it was observed the air ambient led to severe degradation of the film's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N2-annealed samples exhibited improvement in both the carrier concentration and Hall mobility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Interestingly, the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 (XPS) revealed that both annealing conditions resulted in higher concentration of oxygen vacancy (VO). Although it was a slight increase for the air-annealed sample, high resistivity of the film strongly suggests that VO cannot be a shallow donor in β-Ga2O3. Therefore, the enhancement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N2-annealed samples must be originated from something other than VO. One possibility is the activation of Si. The XPS analysis of N2-annealed samples showed increasing relative peak area of Si 2p associated with SiOx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from 800 to 1,200℃. However, it was unclear whether or not this SiOx was responsible for the improvement a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quickly degraded above 1,000℃ even under N2 ambient. Furthermore, XPS suggested the concentration of Si actually increased near the surface as opposed to the shift of the binding energy of Si from its initial chemical state to SiOx state. This study illustrates the electrical changes induced by a post-growth thermal annealing process can be utilized to probe the chemical and electrical states of vacancies and dopan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ectrical property of Si-doped β-Ga2O3.

      • IPv6 - IPv4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드웨어 설계 및 구현

        이경렬(KyongYeol Lee),공인엽(InYeup Kong),이중렬(JoongLyul Lee),이정태(JungT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IPv6 도입 단계에서는 IPv4 Network와 IPv6 Network가 혼재하게 되는데, 이 때 IPv4 Network와 IPv6 Network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IPv6-IPv4 프로토콜 변환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성능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존에 구현한 프로토콜 변환기는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어서 Network 간의 모든 트래픽을 처리하기에는 성능 상의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변환기의 성능 인자 분석 연구를 토대로 하여, 하드웨어 기반의 고성능 64Translator를 제안하였다. 64Translator는 하드웨어 TCP/IPv6와 TCP/IPv4를 내장하고 개선된 메모리 엑세스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구현 방식에 비해 성능을 개선하였다. 구현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과 시험망상에서의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그 기능을 검증하였다.

      • “불교는 강요하지 않잖아요”

        이시윤(Siyoon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불교는 능동적 종교인가 수동적 종교인가? 본 연구는 불교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피하고,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불교 공동체들이 주어진 사회적 맥락 하에서 어떻게 사회와 관계맺음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공동체의 재생산에 직결되는 청년 신자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서울 시내 3개 대학교 내 불교학생회들의 현황 조사와 성원들과의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사회의 축소판인 대학 내 경쟁적 종교환경 속에서 최근 대부분의 불교학생회들은 무기력을 겪고 있다. 그 원인과 동학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종교시장이론의 개념틀을 사용하되,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해 불교학생회 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내러티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교학생회들의 무기력의 중요한 원인으로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유의 ‘불교는 강요하지 않는다’는 내러티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경쟁적인 대학교 종교환경 내에서 다른 종교에 대비되는 일종의 비교우위를 획득하면서 새로운 성원이 소수 유입되게 하는 긍정적 효과를 낳기도 한다. 그러나 불교 교리 중 한 측면만을 강조하여 일반화하는 이 내러티브는 성원들의 적극적인 상황 타개 노력을 조기에 좌절시키면서 궁극적으로 반복되는 무기력한 불교학생회 운영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Is the nature of Buddhism active or passive? Avoiding the essentialistic approach to Buddhism,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Buddhist community interacts with society in a specific given context through the concrete case study. For this, the research of the current state of the organizations and the interview with the member was taken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rea. These days, Buddhist student organizations are suffering the lethargy under the university’s religious environment which is considerable as a microcosm of the entire society.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this study basically uses the conception of religious market theory, but for overcoming its limitations, the analysis of narrative shared among the members was taken. Consequently, the unique narrative of ‘Buddhists do not bother’,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lethargy of Buddhist students was evaluated. This narrative might bring the positive effect which can attract a few newcomers into their gathering attaining some relative advantage in the university’s competitive religious environment. However, this narrative which is weighing and generalizing the skewed facet of Buddhism also frustrates the intention of active effort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earliest stage, which eventually results in the repetitive lethargic management of organizations.

      • KCI등재
      • KCI우수등재SCOPUS

        줄기세포 배양을 통한 들깻잎 로즈마린산 대량 생산 기반 기술 개발

        이선화(Seon Hwa Lee),이주호(Ju Ho Lee),이선경(Seon Kyeong Lee),이경렬(Kyeong Ryeol Lee),박종석(Jong Sug Park),조우석(Woo Suk Cho) 한국약용작물학회 2024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32 No.1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ablish a cambium-derived stem cell culture method for stable mass production of rosmarinic acid (RA) from Perilla leaves for industrialization. Methods and Results: Perilla frutescens leaves of the Bora variety were used as starting material. These leaves accumulated the highest levels of RA among the 32 Perilla varieties examined. Callus was successfully induced in solid MS medium containing 2.0 ㎎/ℓ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nd 0.05 ㎎/ℓ benzylaminopurine. Then, white, soft, and crushable stem cells were isolated using a microscope. RA was obtained at a concentration of 40.4 ± 1.4 ㎎/g after culturing callus stem cells in a quarter-strength MS liquid medium containing 0.5 ㎎/ℓ 2,4-D to produce RA in large quantities.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stem cells, we performed the catalase test. When hydrogen peroxide, a strong oxidizing chemical, was applied to stem cells, bubbles appeared almost immediately, demonstrating the antioxidant ability of these cells. In addition,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se stem cells include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iny vacuoles, whereas callus contained large vacuoles. Conclusions: A cambium-derived stem cell culture method was developed. The method enables the production of RA from P. frutescens leaves in large, industrial-scale quantities.

      • 범죄수익 자금의 세탁과 횡령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 검토 - 대법원 2017. 4. 26. 선고 2016도18035 판결 -

        이경렬 ( Lee Kyung Lyul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5

        불법원인급여란 불법한 원인으로 재물을 급여했기 때문에 급여자가 그 재물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게 된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형법상으로는 이를 기화(奇貨)로 수탁자(내지 수익자)가 불법한 원인으로 급여된 재물을 임의로 처분한 경우, 그에게 횡령죄가 성립되는지가 문제된다. 먼저 학계는 불법원인급여물에 대한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가에 따라 부정설과 긍정설, 그리고 불법원인급여와 불법원인위탁의 경우를 구별하는 절충설의 입장으로 횡령죄의 성부를 논의하여 왔다. 이에 대해 판례는 기본적으로 부정설의 입장을 취하지만 예외적으로 수탁자의 불법성이 급여자의 그것보다 현저히 중한 경우에는 수탁자에게 횡령죄의 성립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대법원은, 피고인이 甲으로부터 수표를 현금으로 교환해 주면 대가를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위 수표가 乙 등이 사기범행을 통해 취득한 범죄수익 등이라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교부받아 그 일부를 현금으로 교환한 후 丙, 丁과 공모하여 아직 교환되지 못한 수표 및 교환된 현금을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고 하여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이 甲으로부터 범죄수익 등의 은닉범행 등을 위해 교부받은 수표는 불법의 원인으로 급여한 물건에 해당하여 소유권이 피고인에게 귀속되므로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하지만 범행을 목적으로 지급한 급여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므로 민법상의 반환청구가 부정된다고 하더라도, 그 반사적 효과로서 소유권이 이전되기 때문에 수탁자의 그 이후의 범행에 대해까지 죄가 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 부정설의 입장은 수긍하기 곤란하다. 민법 제746조는 불법한 원인 때문에 재산의 복구에 사법(司法)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겠다는 의미이지, 그 소유권을 박탈하고 이를 침해하는 수탁자의 별도의 행위 또는 제3자의 행위에 대해서까지 면죄부를 부여하고자 하는 규정은 아니기 때문이다. 설령 불법한 원인의 급여에 대해 민법상의 반환청구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이 경우 수탁자에 대해서는 이를 급여자에게 반환하든가 또는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한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민법 제103조) 범행을 자행하든가, 아니면 범죄로 나아가지 않고 이를 개인적 용도로 처분하는 제3의 길 중 어느 것이 형사정책상으로 바람직한 것인가의 문제는 남아 있다. 그런데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의 자금세탁범죄를 자행하고서 이를 임의로 처분한 제4의 선택을 행한 경우이다. 여기서는 대법원 판례가 예외적으로 취하고 있는 불법성의 비교형량이론에 따르는 급여자와 수탁자의 불법성을 비교형량하는 방법과, 불법원인급여물에 대해 다른 범죄를 실행한 경우에 그 다른 범죄의 성립에 관한 문제 나아가 불법원인급여의 요건으로 판례가 말하고 있는 불법의 의미를 기준으로 [대상판결]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means giver's no request of properties because of giving of properties by illegal causes. Beneficiary who disposes of properties by illegal causes may applied by embezzlement crime. Negative theory and affirmative theory, and compromising theory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and illegal consignment were used depending upon ownership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Precedents adopted negative theory, and beneficiary having more il-legality is admitted to commit embezzlement crime. The supreme court recently judged as follow: A defendant is given suggestion from Party A to give benefit in exchange for check by cash and to exchange some of them by money acknowledging criminal income by fraud of Party B, and to embezzle cash with help of Party C and Party D to spend cash at discretion to be accused, and defendant was judged not to commit embezzlement crime of the check. But, allowance for the crime belongs to illegal performance to deny request of return and to transfer ownership so that negative theory of no crime of beneficiary was not accepted. Article 746 of the Civil Law says no positive help of recovery of properties at illegal cause not to give exemption of beneficiary's act and/or third party's act. Even if request of return of the Civil Law for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is not admitted, beneficiary shall return benefit to the giver and to commit crime of 'violation against good custom and social order according to Article 103 of the Civil Law, and to dispose of for private purpose. Defendant commits money laundry crime in violation of the law of regulation of concealment of criminal benefit to dispose at discretion. The study examined Supreme Court of adoption of giver's comparative sentencing of illegality as well as beneficiary's illegality,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of illegal cause to another crime, and judgment based on illegality.

      • KCI등재

        범행중지의 자의성 판단과 프랑크 공식

        이경렬(Lee, Kyung-Lyul)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균관법학 Vol.26 No.1

        Als Versuch bezeichnet man die Bestiitigung des Tatentschlusses durch die Handlungen, die zur Verwirklichung des Tatbestandes unmittelbar ansetzen, aber nicht bzw. noch nicht zur Vollendung geführt haben. Drei Wesenselemente müssen danach gegeben sein: das Fehlen der Tatvollendung, ein bestimmter Tatentschluβ und ein unrnittelbares Ansetzen zur Tatbestandsverwirklichung. Da beim KorStGB der Versuch von den meisten Delikten strafbar ist, hat der Täter nach dem § 25 KorStGB mit dem unmittelbaren Ansetzen zur Begehung einer Straftat Strafe verwirkt. Der § 26 KorStGB gibt ihm die Möglichkeit, diese Strafbarkeit nachträglich rückgängig zu machen. Der Rücktritt vom Versuch liegt danach vor, wenn der Täter freiwillig die weitere Ausführung der Tat aufgibt oder deren Vollendung verhindert. Die Abgrenzung zwischen diesen beiden Erscheinungsformen des Versuchs richtet sich nach der Freiwilligkeit, die aus der konkreten Tätersicht zu beurteilen ist. Früher wurde die Freiwilligkeit mit Hilfe der Frank'schen Formel ermittelt. Voraussetzung für die Annahrne von Freiwilligkeit ist so, daβ es freiwillig ist: Ich will nicht, obwohl ich kann; unfreiwillig: Ich kann nicht, selbst wenn ich wollte. Gegen diese Formel sind in der Literatur Einwiinde erhoben worden, die von einer normativen Auslegung des Freiwilligkeitskriteriums ausgehen und als Voraussetzung für Freiwilligkeit vom Täter über die autonom entschiedene Aufgabe der Tatvollendung hinaus eine innere Distanzierung von der Tat verlangen, welche quasi als Gegenstück zur strafbarkeitsbegründenden Gesinnung der Versuchstaters erscheint. Gleichwohl ist auch in der Rechtspechung des KorObGH eine kritische Beurteilung aus der Betrachtungsweise sozialer akzeptierten Idee gegeben. Nach dieser normativen bzw. sozialen Bestimmung beben die einen in der Frage der Freiwilligkeit darauf ab, ob der Rücktritt nach der Strafzwecktheorie eine Rückkehr zu rechtstreuem Verhalten bedeutet, andere, ob der Täter durch den Rücktritt in die Bahnen des Rechts zurückkehrt oder die Erschütterung des Normvertrauens der Allgemeinheit wieder rückgängig macht. Eine solche normative Ausdehnung des Freiwilligkeitskriteriums hat aber die Anwendung von § 26 KorStGB nicht von einer Bewertung der Freiwilligkeit abbängig gemacht; auch mit dem Gesetzgebungshaltung vom KorStGB lieβt sich eme solche nicht vereinbaren. Die Feststellung der Freiwilligkeit im Sinne einer autonomen Entscheidung ist auβerdem ohne Bewertung der Tätermotivation nicht möglich, welche im Grenzbereich zwischen Tatbestandsvorsatz und auβertatbestandlichem Aufgeben der Tat die Vorstellung des Täters von dessen Verhaltens wesentlich mitbestimmt haben. Die Frage nach Freiwilligkeit stellt sich nur dann, wenn dem Täter noch eine Wahlmöglichkeit offen steht. Je gröβer die Rücktrittsmöglichkeiten des Täters sind, desto geringer ist das Risiko seiner Strafbarkeit wegen Versuchs. Diese Erklärung bezieht sich darauf, daβ bei Feststellung der Rücktrittsfreiwilligkeit nicht nur den Gegenstand der Bewertung sondem auch einen deren Maβstab der EntschluB vom Täter als Kriterium aufstellt, weder ein Interesse der zweckrational überlegten Allgemeinheiten noch einen Gesichtspunkt des einzelnen Opfers. Auf diesen Gründe ist die Freiwilligkeit beim Rücktritt vom Versuch heute noch an der Frank'schen Formel zu messen. Hierbei muβ aber zum Schluβ dargestellt werden, daβ der Entschluβ der Aufgabe eines Tatvollendung die Wille des Verzichtes auf den Tatbestandsvorsatz bedeutet und als eine von subjektiven Elementen des Tatbestands beim Rücktritt vom Versuch dargestellt wird. Um die Bewertung der Freiwilligkeit vom Täter über die solchenarte Entscheidungen geht es beim Schuldbereich. Diese Aussage bezieht sich gerade auf den d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