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력분야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계획

        이가영(Gayoung Lee),천성남(Sungnam Chun),강수지(Suji Kang) 한국열환경공학회 2020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0 No.춘계

        미세먼지 문제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환경문제 중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 중 하나로 이를 위해 정부 및 산업계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국내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화력발전소들에 대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발전분야에서는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효율 향상 및 환경설비 개선과 같은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시행 중에 있다. 오염물질 제어 전략 수립 및 배출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서는 발전소 굴뚝에서의 미세먼지 직접 배출량이 정확히 산정되어야 하나, 현재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항목에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발전소에서는 총먼지(TSP)만을 측정하고 관리하고 있으며 미세먼지는 간헐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발전소 전수를 포함한 총 74기의 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굴뚝에서 실제 배출되는 1차 미세먼지(PM10, PM2.5)의 질량농도를 측정하고 배출량을 평가하였으며, 보일러 형식, 사용 연료, 가동년수 및 발전부하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특성과 미세먼지 성분분석 결과 및 발전소 주변지역 환경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평가와 지역별 오염물질 확산영향평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석탄 및 중유화력발전소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총먼지의 배출농도는 약 3 mg/m3 수준의 저농도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의 1/2 이하로 관리되고 있으며, 석탄화력 배출 초미세먼지(PM2.5) 중 1차 배출량은 약 11%로, 2차 미세먼지 전구물질의 대기중에서의 전환을 고려하여 발전소 배출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신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내부로부터의 세계화?

        이가영(Gayoung Lee ),김우선(Denis Woo-Seon Kim)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이 글은 국제자원활동이 참여 청년들에게 끼친 재(탈)영토화된 삶과 정체성의 변화를 연구한다. 청년들의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참여자의 동기나 만족도,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집중되어 있기에, 활동으로 말미암은 정체성의 변화는 기존 연구가 간과하고 있는 주제이다. 국제자원활동은 한국과 소임 국가를 가로지르고 연결하는 초국적 사회적 장에서 전개되기에, 이들은 외국으로의 이주와 활동과 귀환을 통해서 문화 혼종과 탈영토화/재영토화를 체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자원활동 후 귀환한 청년들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그들의 재영토화과정을 한국형, 현지형, 세계시민형, 유목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논의는 귀환 청년들이 갖는 정체성의 다양한 유형을 보임으로써, 동질적인 한국적 정체성의 유지라는 가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내부로부터 진행되는 주관적 세계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The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the young Korean volunteers’ experience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upon their identity formation. Their experience entails not only the departure from and the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but also the life and work in the transnational field. Hence, they have to face cultural hybridization and de(re)-territorialization. This article explores how this experience influences upon the identity formation and thereby identifies the four different paths of returnees’ identity as ‘Korean,’ ‘the assigned country,’ ‘cosmopolitan’ and ‘nomad’ identity. This finding challenges the assumption of a continuity of a homogeneous Korean identity and calls for attention to the gsubjective globalization of Korean society from within.

      • KCI등재

        대전 갑천의 수질변화 경향 및 주요 수질 영향 인자 분석

        이가영(Gayoung Lee),서동일(Dongil Seo) 大韓環境工學會 2015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7 No.9

        대전 3대 하천의 199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질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대전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갑천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4년 대전의 갑천3 지점의 BOD, COD, TN, TP 연평균 농도는 각각 1.53, 3.36, 2.16, 0.03 mg/L로서 우리나라 하천수질기준으로 Ib 급수의 수준을 나타내나,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유입된 이후 금강으로 유입되기 직전 지점인 갑천A 지점에서는 각각 3.43, 11.51, 8.62, 0.12 mg/L 수준으로써 COD는 매우 나쁜 수준인 VI 급수의 수준에 해당하며 BOD와 TP는 III 급수의 수준을 나타낸다. 대전하수처리장이 가동을 시작한 1994년 이전의 수질에 비하여 고도처리 시설이 완공된 2013년 이후의 수질을 비교하였을 경우, 전체적으로 수질이 개선되었으나, 갑천 최상류 봉곡교 지점 및 최하류 지점의 TN농도는 각각 2배 및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갑천 최하류의 수질에 기여하는 오염부하량 분포를 산정한 결과 대전의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TN, TP, BOD와 COD 총부하량의 각각 76%, 63%, 35% 및 46%를 차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강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갑천의 수질관리는 TN 및 TP 등 영양염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추가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BOD 및 COD를 포함하는 유기물은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오염부하와 함께 위 부하량의 각각 54% 및 47%를 차지하는 각종 소하천 및 우수거등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는 부하량을 함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된다. This study analyzes water quality change trends in three major rivers in Daejeon and effect of discharge from Daeje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between 1992 and 2014. As of 2014, COD concentration in the Gab-cheon-A station is in level VI for Korea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while BOD and TP are in level III. As expansions of the treatment plant, water quality in the Gab-cheon River has been improving accordingly. However, during the study period, TN concentrations of the headwater and the most downstream locations of the Gab-cheon River have increased about twice and three times,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treatment plant is responsible for 35%. 46%, 76% and 63% of BOD, COD, TN and TP loadings of the Gab-cheon River, respectively. It was also estimated that small tributaries and nonpoint sources are responsible for 54% and 47% of BOD and COD loadings of the Gab-cheon River.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further reduce nutrient loadings from the treatment plant and also reduce surface runoff organic loading from nonpoint sources including small tributaries and storm sewers.

      • KCI등재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 탐색 연구

        이가영(Lee Gayoung),한송이(Han Song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1인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흐름에 따라 최근 국내 대학들이 학부 교육 혁신과 대학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1인 미디어 창작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공모전, 지원금 등 다양한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례조사 및 선행문헌에서 나타난 대학교육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지원전략은 단발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치우쳐 운영되거나 장비 대여 및 환경 구축에 많은 예산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어, 학내 구성원들이 크리에이터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에서의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콘텐츠 지원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을 개발하고, 둘째,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이 내적, 외적으로 타당한지 검토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다음의 절차로 수행되었다. 우선 초기 지원전략을 개발하기 위해서 선행 문헌고찰과 요구조사를 시행하였고, 타당화를 위해 내적, 외적 타당화 검토를 하였다. 내적 타당화의 경우 대학 교수학습개발원 관련자 및 영상 전문가 5인이 2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외적 타당화의 경우 전략 수요자인 교수, 대학생 각 5인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은 크게 3가지(1. 계획, 2. 실행, 3. 평가)로 구성되었다. 지원전략은 원리 및 지침과 지원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10개의 지원 원리와 18개의 세부 전략이 포함되어있으며, 관련된 지원항목이 포함되어있다. 본 지원전략의 최종적인 수혜자라고 할 수 있는 대학 구성원인 교수,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에 타당화를 받은 결과 본 전략이 1인 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ith the growing size of one-person media market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s development for one-person media, many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including training programs, competitions, and support funds related to one-person media contents creation for their faculties and students; th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in the institution as well as to innovate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follow the current trend. However, the support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contents observed in case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 tends to represent one-time educational programs and spend large sums on equipment rental or environment structuring, which limits the participants’ growth as creators. This study focuses on strategie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development aid projects for one-person media contents to provide more effective methods for nurturing creators i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it aims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is study adopted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utilized it by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initial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followed by an expert usability test and a validation process. Five individuals, including those working in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ose with expertise in video making, were invited to perform the professional validation process. In the case of external validation, five individuals including professo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volved. As a result of the study, one-person medi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planning, execution, evaluation). A support strategy consists of sections including principles and a support guide and a total of 10 strategies, and 18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The validation performed by individuals at universities such as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who were the final beneficiaries, proved that the strategy provided in this research was effective in developing one-person media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대만해협과 심리전 : 냉전시기 중국과 대만의 삐라를 중심으로

        이가영(Lee Ga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냉전시기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대만이 살포한 삐라를 중심으로, 중국과 대만 간의 심리전을 분석한다. 주지하다시피, 대만해협은 1949년 국공내전에서 패한 국민당이 대만으로 본거지를 옮긴 이후부터 지금까지 냉전과 열전이 혼재해있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대만의 ‘본토 수복’과 중국의 ‘대만 해방’이라는 기치아래 발생한 고령두 전투, 제1차 대만해협위기 및 제2차 대만해협위기 등은 열전과 냉전이 교차된 갈등의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특히, 제2차 대만해협위기 이후 양측의 갈등은 대만해협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진 국지전이자, 양측의 육·해·공군이 합동으로 전개한 전면전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또한 상대를 향해 대규모의 포탄을 발사한 포격전이자 다양한 형태의 선무방송, 선전보도, 삐라살포가 이루어진 심리전의 성격도 나타난다. 양측은 자신의 이념과 사상을 선전하고 상대의 전의 상실과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심리전을 전개하였다. 그중 삐라전은 다양한 운송수단과 제작기법 및 기획 전략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많은 적들에게 노출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심리전의 방식으로 인식되어왔다. 삐라는 넓은 지역에 광범위한 심리전을 펼칠 수 있는 방법이자, 신문·잡지·라디오·방송 등 제도적 매체를 접할 수 없는 일반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비제도적 매체로서 뛰어난 접근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대만해협에서 진행된 중국과 대만의 삐라전을 분석하여, 양측의 전투 목적과 운용 전략을 분석한다. 두 번째는 문헌과 자료의 분석을 통해, 중국과 대만이 운용한 다양한 삐라 살포 방식을 정리하고, 각각의 살포 방식이 지닌 특징을 도출해낸다. 세 번째는 중국과 대만의 삐라에 담긴 주제의 전형성을 추출하고 이를 분류함으로써, 각 삐라의 제작목적과 삐라 속에 담긴 논리를 추적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China and Taiwan, focusing on propaganda leaflets distributed by China and Taiwan about the Taiwan Strait during the Cold War. As is well known, the Taiwan Strait has remained a space where the Cold War and the hot war coexist since the Kuomintang, who was defeated in the Civil War in 1949, moved to Taiwan. The Battle of Goringdu which took place several times under the banners of Taiwan s Restoration of the Mainland and China s Taiwan Liberation , the 1st Taiwan Strait Crisis and the 2nd Taiwan Strait Crisi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nflicts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Cold War. In particular,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after the second Taiwan Strait Crisis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local war centered on the Taiwan Strait and an all-out war jointly conducted by the land, sea, and air forces of both sides. In addition, the nature of a bombardment war in which large-scale shells were fired at the opponent and a psychological warfare in which various types of consolidation broadcasts, propaganda reports, and leaflet spraying were performed. Both sides conducted an all-round psychological warfare to promote their ideology and ideology and induce the other s loss and surrender. In particular, propaganda leaflets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effective psychological warfare method in that it could be exposed to more enem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ransportation methods, production techniques, and planning strategies. This is because a leaflet has excellent accessibility as a method to conduct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warfare in a wide area and as a non-institutional medium that can deliver information to ordinary people who cannot access institu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radio, and broadcast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is to analyze the Chinese-Taiwan warfare in the Taiwan Strait, and analyze the combat objectives and operational strategies of both sides. Second is to organize various leaflet spraying methods operated by China and Taiwan, and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raying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data. Third is to trace the purpose of each leaflet and the logic contained in the leaflet by extracting the typicality of the themes contained in the Chinese and Taiwanese flyers and classifying them.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용 마음읽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가영 ( Lee Gayoung ),하문선 ( Ha Moons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용 마음읽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과 자유기술 및 인터뷰 방식을 통해 선정된 예비문항 총 53개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한 결과, 총 2요인 17문항이 최종 도출되었다. 이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새로운 표집에 대해서도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총 2요인 17문항으로 구성된 마음읽기 척도가 타당화되었다. 둘째, 본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살펴본 결과 상당수의 문항이 축약되었음에도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화, 또래관계문제, 실행기능 간 상관분석 결과 통해 수렴, 변별 및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교 아동용 마음읽기 척도는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바탕으로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초등학생의 마음읽기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ind-reading scal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on a total of 53 preliminary questions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fre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view method, a total of 17 questions with 2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on this item, it was found that the fit was good even for new data. Through these process, the mind-reading scale consisting of 2 factors and 17 questions was validat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Cronbach's α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is scale,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was good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items were abbreviated. Finally, convergence, discrimination, and criterion validity were secured throug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mentalization,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mind-reading scale can easily mea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nd-reading in a short time based on s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드럼 교육에서의 합주 역량 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활용 사례연구

        이가영(Lee Gayoung),김명선(Kim Myungsun),조성민(Cho Su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드럼은 다른 악기들과 함께 연주하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드럼 교육은 학습자의 합주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대학의 드럼 전공실기 수업은 드럼 전공자의 합주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개인 레슨에 해당하는 드럼 전공실기 수업 경우 시간 부족, 진도 문제, 교실 환경의 문제로 수업 대부분을 리듬 패턴, 필인, 솔로 등의 기초적인 부분과 테크닉적인 부분에 할애하고 있으며, 합주 수업의 경우, 드럼 전공 학습자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현실적인 제약을 고려하는 동시에 합주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드럼 전공실기 수업에서 플립러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드럼 전공실기 레슨을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수업은 3주간 진행되었으며 합주 상황에서의 Rock Drumming이라는 주제로 플립러닝을 설계하였다. 1주차의 수업은 합주를 위해 기본적인 테크닉을 배우는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2주차의 수업부터 3주차 수업까지 합주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해 질적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인지 및 심동적, 정의적 측면에서의 합주 역량 효과뿐만 아니라, 수업 중 상호작용 증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합주역량 증진을 위해 개인 레슨인 드럼 전공실기 수업만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제한점을 지닌다. 그러므로 추후 합주 실기 수업에서의 합주역량 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가능성 등을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 As drums are played along with other instruments, drum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learners’ ensemble competency. However, practical classes at universities have difficulty enhancing the ensemble competency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rums. In the case of private drum lessons, most classes are devoted to basic and technical aspects such as rhythmic patterns, fills and soloing, owing to time and classroom environment constraints. The public setting of ensemble practice lessons hinders the instructor’s ability to provide customized feedback for each instru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s an enhancement method for ensemble competency in university drum lessons of contemporary music.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students taking drum lessons. Flipped learning lessons were conducted on a rock drumming theme in ensemble situations for three weeks. The first week was designed to teach basic ensemble techniques. From the second to the third week, classes were designed to improve ensemble abilit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after all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positive effects such as cognitive and psychomotor improvement of learners’ ensemble competency and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only examines individual lessons to enhance ensemble competency.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enhance ensemble competency in ensemble classes.

      • KCI등재후보

        백운산권역의 산지이용 및 가치성에 대한 지역이해관계 그룹의 인식

        이가영 ( Gayoung Lee ),최수임 ( Sooim Choi ),김민희 ( Minhee Kim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백운산권역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대 남부학술림의 소유 및 관리에 대한 지역민의 갈등을 봉합하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국유림 상생경영방안을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인 요인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이해관계 그룹은 서울대 그룹, 지역주민 그룹, 백운산 고로쇠영농조합 조합원 그룹, 지자체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설문 및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대 그룹을 제외한 이해관계 그룹은 산림이용 및 가치성에 대해 대학 학술림이라는 고유기능인 교육 및 연구기능보다 환경보호기능, 휴양서비스기능의 실현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림이용 및 가치성의 18인자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Ⅱ사분면의 우선시정 요인으로 도출된 속성은 서울대 그룹의 경우, 탐방객의 산림휴양 및 힐링 기능, 산지재해(산사태, 토사유출 등) 예방에 대한 기능,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기능, 생태교육 제공에 대한 기능, 산림문화 및 체험으로 총 5개 속성으로 나타났고, 지역주민 그룹은 산림문화 및 체험 기능의 1개 속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로쇠 영농조합그룹의 경우는 임산물(고로쇠수액, 수실, 산채, 약초 등) 생산에 의한 소득창출, 산림사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기능의 3개 속성으로 나타났고, 지자체 그룹의 경우는 생태교육 제공에 대한 기능의 1개 속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백운산권역 산지에 대한 산림기능구분을 재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관리, 활용, 보전이 될 수 있도록 산림기능을 재해석하고, 백운산권역의 이해관계 그룹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백운산권역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basic factors that could resolve the national forest win-win management plan for national forests with local people while sealing the conflict betwee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Southern Academic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the Mt. Baegun area. Interest groups were divided into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Local Residents Group, Mt. Baegun Acer mono Union Member Group, and Local Government Group,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est groups exclu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put more importance on the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unctions and recreation service functions than the educational and research functions, which are unique functions of university academic fores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18 factors in forest use and value showed that the attributes derived from the priority factors in Section II were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oup: forest recreation and healing, forest accident prevention functions, forest education expert training functions, forest culture and experience, Local residents’ groups were found to be one attribute of forest culture and experience function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cer mono Union Member Group, there were three attributes of the ability to generate income from forestry product production, create jobs by forest business, and train forest education experts, while in the case of the local government group, there was one attribute of the function for providing ecolog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was reinterpreted to enable the most appropriate management,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by reanalyzing the forest function of the Mt. Baegun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t. Baegun area governance as a way to resolve conflicts among the interested groups in the Mt. Baegu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