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관계의 맥락과 네트워크 중심성: 중국의 전랑외교 사례를 중심으로

        은진석,이정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1

        From Mao to Xi, China’s diplomacy has transformed into more proactive nature. Such change triggered the US-China trade war with a fierce rivalry that can be defined as new cold war, leading to change in the nature and form of diplomatic practice of the two nations followed by tensions in international system and market. Network-based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with emphasis on the notion of centrality – a positional value that provides hierarchical superiority and benefits in various form –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tool of analysis for such condition. Centrality is a value created by asymetrically connected relations toward an actor, therefore effected by contexts within each relation. Centrality is thus a dual-value concept that can provide either benefit or source of concern to the hub depending on distribution of relation that includes relational context. This idea leads us into exploring an analytic value of relational context that inlucdes an application of the concept to the case of China’s Wolf Warrior Diplomacy(戰狼外交). Wolf Warrior Diplomacy is a diplomatic style employed by China to overcome ontological security crisis by restoring its position in the global society as ‘central state (中國)’. However its offensive and aggressive character can be understood as denial of other states’ status and thus can cause ontological security dilemma between China and others that can lead to anti-Chinese diplomacy. Recent movement by China to alleviate its aggressiveness may be a result of understanding such issues. However this trial may not be easily accomplished as the root of Wolf Warrior Diplomacy is located in domestic politics. 불칭패(不稱覇)에서 도광양회(韜光養晦), 유소작위(有所作爲)를 거쳐 위대한 중화의 부흥을목표로 하고 있는 중국외교는 시진핑 정부의 중국몽(中國夢), 인류운명공동체을 거치며 적극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미・중 무역전쟁이 촉발되고 이른바 신냉전으로 표현될 정도의 대립구도가 형성되면서 미중은 주도권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미중의 관계의 경색이 국제체제와 시장에 투영되면서 양국이 구사하는 외교의 성격과 형태도 변하고 있다. 최근 제기되어온 네트워크 국제정치이론은 이러한 경쟁의 양상을 분석하는데 유의미한 수단이 될 수 있는데, 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심성(centrality)이 그 핵심개념이다. 중심성은 특정 행위 주체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관계가 만들어낸 결과로서 관계의 속성에 따라 행위 주체에게 이익이나 위협을 제공하는 양가적 개념이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에서제시한 중심성이 제공하는 효과의 형성과 이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관계의 맥락(relational context)에 주목하여 시진핑 중국정부가 전개해온 외교의 한 형태인 전랑외교(戰狼外交)에 적용하였다. 전랑외교는 중국이 당면한 존재론적 안보위기(ontological security crisis)와 국내정치적 불안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시진핑 정부의 외교 스타일이며, 과거 중국이 누렸던 중심국가로서의 정체성(中國, central state) 회복을 목표로 한다. 전랑외교가 주변국들의 위신을 폄훼하여 존재론적 안보 딜레마를 야기하고 주변과의 관계를 악화시켜서 주변국들로 하여금 탈중국 및대중국 견제외교 노선을 선택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중국 일각에서 전랑외교노선수정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국내정치적 요인으로 인하여 당분간 현재의 기조를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코로나 사태의 국제정치학적 함의* -비인간은 ‘행위자’인가?-

        은진석,이정태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4

        Traditionally, IR has placed states as the main unit of analysis. This approach has been in the mainstream of IR methodology along with domestically oriented theories. However these approaches, has been demonstrated limits in explaining transnational issues such as spread of diseases or suicidal bomb attacks an act to which are hardly applicable rationality of man. Based on such analytic issues, this research suggests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non-human as an actor. By stating non-human actor, it suggests that ‘things’, both artificial or natural, can be employed as units of analysis. It is differentiated from state or human actor, which has been emphasized by traditional approach. This research uses Actor-Network Theory(ANT) to facilitate such view, which stresses the role of non-human actors and relations created between them. ANT’s perspective shares some commonality with geopolitics which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on-human being such as natural resources, territory or terrain. However ANT is differentiated due to its view that such elements have autonomy and therefore stronger focus should be placed onto them. This research conducts case study on COVID-19 incident to evaluate ANt’s methodological effectiveness. The case suggests that virus interacts with human and states, living in the blurred boundary between them, and are able to change the meaning of human rationality. It also suggests virus is a member of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should be discussed at the same level of analysis. It concludes that ANT, as alternative tool for the IR analysis, and as a tool for the consilient approach, has potential to provide fresh analytic perspective to the study of IR. 국제정치학은 전통적으로 분석의 중심에 국가를 두는 접근법을 취해왔다. 이러한 접근은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요인을 강조하는 이론들과 더불어 효과적인 분석 수단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국가경계를 초월하여 발생하는 전 지구적 문제들, 그리고 질병의 확산, 또는 자살폭탄 테러와 같은 인간의 합리성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대한 설명에서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기존의 국제정치학 방법론이 지닌 국가중심성과 인간중심성의 한계에 대하여 비인간적 요소를 변수로 도입하는 연구가 지닌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인간 행위자라 함은 국제정치에서 분석을 위해 주요 단위로 활용해 온 국가 또는 인간 행위자와는 차별화 되는 사물 또는 자연적 요소를 의미한다. 본 연구가 비인간 행위자를 다루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론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천연자원과 영토, 지형과 같은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이론적 개념화를 시도해 온 지정학과도 일정부분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그러나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자연, 즉 비인간적 요소에 보다 강조점을 둔다는 점에서 지정학과는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이 지닌 방법론적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 대두된 코로나19 사태를 활용한다. 본 사례에서 바이러스는 인간 또는 국가로 구분할 수 없는 존재이지만, 국제정치의 다양한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며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또한 국제정치의 한 일원이며, 따라서 인간 및 국가와 동등한 수준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제시된다. 나아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필요에 대응하는 방법론이자 통섭의 수단으로써 기존의 국제정치이론이 제시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케네스 월츠의 세력균형이론에 내재된 관념적 요소

        은진석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2 국방연구 Vol.65 No.1

        본 연구는 세력균형이론에 제기 되어온 물질 중심성에 대한 비판을 논의의 중심에 둔다. 특히 본 연구는 세력 균형의 유지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인 역량의 분포(distribution of capability) 개념에 주목하고, 해당 개념이 단순히 물리적 역량의 차원 뿐만 아니라 역량의 수준과 투사 의도에 대한 인식 상태를 함께 고려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양극 체제에 대한 월츠의 옹호와 세력 균형이 지니는 전쟁이 억제된 상태로서의 의미에 있다. 본 연구는 월츠의 이론에 제기되어온 물질 중심성에 대한 비판이 그의 이론을 다소 편향된 관점에서 이해한 결과로 보고, 이에 대한 책임이 관념적 요인을 독자의 상식 차원으로 밀어낸 월츠 본인에게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월츠가 소홀히 다룬 관념적 요인이 세력 균형에 끼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한 인식의 분포(distribution of perception) 모델을 제안하며, 이를 6·25 전쟁과 쿠바 미사일 위기 사태에 적용해 보았다.

      • KCI등재

        핵무기·사드·판문점: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한 북핵문제 연구

        은진석 한국국방연구원 2019 국방정책연구 Vol.35 No.1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AAD - which has been at the center of the debate among Korea, the U.S. and China - in alleviating north Korean nuclear issue. Limiting its scope to the period of Kim Jong-un regime, when nuclear race has been taken in higher pace than past, this research employs network-based approach as a method of analysis. By employing the method,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non-human actor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north Korea-related studies by suggesting a different perspective. 본 연구는 북핵문제가 최근의 해빙무드로 접어들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최근까지 한·미·중 사이에서 논쟁의 중심에 섰던 사드를 꼽는다. 본 연구는 북한의 핵증강 노력이 가속화된 김정은 정권 이후를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중국과 미국이라는 국가 행위자와 더불어 북핵과 사드라는 비인간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검토하고자 네트워크 이론을 주요 분석수단으로 사용한다. 비인간 행위자를 강조하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최근까지 진행되어 온 북한관련 연구들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이중지위 국가 호주의 다층 패권게임: 중국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은진석 ( Jinseok Eun ),이정태 ( Jung Ta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국제지역연구 Vol.26 No.2

        미·중 전략경쟁의 맥락 속에서 호주·영국·미국이 체결한 AUKUS(Australia-United Kingdom-United States) 협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AUKUS는 중국과의 갈등에 직면한 호주가 내린 선택으로 볼 수 있으며, 그 발단이 중국의 호주 국내 정치 개입 스캔들에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정치적 요인에 의존한 설명만으로 본 사례의 전말을 모두 설명하기에는 한계도 있다. 호·중 갈등에서 특기할 만한 사실은 호주의 대중국 외교에서 발견되는 강경한 성격에 있다. 호주가 제기한 중국의 인권 문제나 화웨이와 ZTE에 대하여 취한 제재는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당시 교역량이 절정을 향해 달리고 있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예상을 상회한다. 또한 이는 호주가 자국 경제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일견 합리성의 원칙을 무시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호·중 갈등이 보이는 특수성의 원인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는 렘키(Douglas Lemke)의 지역패권이론의 시각을 활용하여 분석을 전개한다. 종래의 연구는 호주를 중견국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각에는 호주의 국가전략에 내재된 성격을 방어 편향적으로 인식하게 될 소지가 존재한다. 국가 역량의 크기나, 국제사회에서의 지위인식 등의 기준으로 볼 때 호주는 한국과 더불어 중견국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주변에 다수의 강대국들이 포진한 한국과 달리, 호주가 처한 역내 관계의 분포는 태평양 제도국(Pacific Island Country)들로 인하여 호주에 보다 높은 전략적 자율성을 제공한다. 이를 고려하면 호주는 지구적 차원에서 중견국이지만, 역내에서는 패권적 지위를 보유한 이중지위국(a dual-status nation)으로 규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의에 바탕을 두고 렘키의 이론을 수정한 다층 패권게임 모델을 호주의 외교정책 사례에 적용하여 호·중 갈등의 원인을 탐구한다. The formation of AUKUS(Australia-United Kingdom-United States) treaty marks an important moment 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UKUS may be understood as a strategic choice made my Australia facing conflict with China,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flict was ignited by China’s intervention into Australia’s domestic politics. However, considering Australia’s behavior after the event, we argue that there is also limits to the domestic approaches to fully understand Australia’s motivation behind the conflict.. It is a notifiable fact that Australia is partially responsible for China-Australia relation’s souring, as it fueled the crisis by posing human rights questions and enacting sanctions to Huawei and ZTE. The proactive nature of the sanctions, which were imposed ahead of the US action, are unexpectedly hardline considering Australia’s heavy dependence on trades with China, and may seem irrational to some observ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is research employ Douglas Lemke’s multiple higherarchy model. Previous research tended to define Australia as middle power. However, this definition can cause defensive bias in understanding Australia’s geopolitical strategy. Surely Australia can be defined as a middle power along with south Korea, considering its capability and status-orientation of self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where south Korea is located in the region where strong states are present, Oceania’s distribution of power among Pacific Island Countries provides higher autonomy to Australia. Understanding such condition, Australia can be defined as a dual-state nation which is identified as a middle power state in the global scale and an hegemon in the regional scale. Based on this definition we apply a multi-layer hegemonic game model, a modified model of Lemke’s multiple hierarchy model, to the case of Australia’s diplomatic policy adjustment in order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Australia-China conflict.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 코로나 바이러스 진원지 논쟁과 미중 관계에의 함의

        은진석(Jinseok Eun),이정태(Jung Tae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믿음이란 특정한 정치적 목적의 달성에 도움을 주기도 하는 바, 정치는 이를 의도적으로 생산하기도 한다. 역사적 사례들은 이러한 믿음의 생산이 매우 오래된 정치 전략임을 시사한다. 코로나 진원지에 대한 세간의 논쟁은 팬데믹 사태 이래 지속적인 부침을 거듭하며 오늘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자연 기원설과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는 두 진영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강한 증거의 부재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실재들이 난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학적 논쟁은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 숨겨진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상 과학의 위상을 차지하기 위한 여정이며, 국가가 패권과 같은 특정한 위신을 얻기 위해 주변국들과 우호적 관계를 수립해 나가는 과정과 유사성을 보인다. 코로나 논쟁이 지니는 과학적·정치적 담론으로서 성격은 논쟁을 주도하는 미·중의 이해가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탐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우려를 제기하는 한편, 논쟁이 가지는 국제정치적 함의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시각에서 고찰한다. As cases in history suggest, political interest played a role in formulation of public belief. Controversy on the origin of COVID-19 has continued to date, between believers of natural origin and the ‘lab-leak’ hypothesis. The two groups promote their own realities but evidence to support them are weak. Scientific process is a journey to obtain the status of normal science which requires relaions with human and non-human supporters, and such characteristics closely resembles political process of hegemonic status-seeking in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We argue for the possibility of the U.S. and China engagement into the scientific process due to the political nature of COVID-19’s origin controversy which may cause distortion of the scientific process. With concern for such, we explore an implication of COVID-19 controversy in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Actor-Network Theory’s Perspective.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한 신흥 안보시대 복합 안보 대응 모델 연구-코로나19를 중심으로-

        은진석 ( Jinseok Eun ),이정태 ( Jung Tae Lee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2

        인류는 불확실성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아, 난민, 질병, 환경문제는 인간의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제적 이슈로 부상하는 양질 전화의 기폭제가 된다. 인류 역사상 대규모 전쟁과 재난 중 상당수는 다양한 기저 요인들의 누적과 그러한 요인들을 재난으로 전이시킨 ‘사소한 사건’이 연결된 결과였다. 본 연구는 이를 복합 안보 이슈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응 모델을 제안한다. 복합 안보란 기존의 안보인 경성 안보에 연성 안보와 인간 안보를 통합하는 개념이며, 대응 모델이란 어떤 사건이 거대 사건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단기적 대응 전략의 모색에 활용될 수 있는 정책 결정의 틀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에 바탕을 둔 복합 안보 대응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점증하는 불확실성과 현실주의적 사고가 귀환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Men are faced with uncertainty. Starvation, asylum-seekers, disease, and environmental issues act as catalysts of complex security threat, affecting a nation’s diplomatic choices as well as the life of people. Many wars and disasters, those are marked in history due to their massive scale, were caused by a ‘tiny event’ that sparked arsenal of various issues accumulated within society. This research defines such issue,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embeddedness and accumulative nature, as a complex security issue, and proposes a policy framework. By using the term ‘complex security’ this research argues that security is a composite concept consists of various issues including diplomatic affairs, environment, econom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llow citizens. And by using the term ‘policy framework’, this research proposes a model, which can be used to achieve long- and short-term security aim in managing such issues before they interconnect and become a threat of a great scale. This research argues that such framework will contribute enhancing Korean government’s coping capability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in an era of growing uncertainty and the ‘return of realism’ among great powers.

      • KCI등재

        백신은 공공재인가 - 미·중 패권경쟁 사례를 중심으로 -

        은진석 ( Jinseok Eun ),이정태 ( Jung Ta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2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경험을 영원히 기억할 것 같다. 인간 역사에 출몰한 자연과의 전쟁 가운데 가장 무섭고 혹독한 전쟁 중의 하나가 코로나19이다. 개인의 삶은 물론이고 사회적 동물인 인간의 존재를 궁지로 몰고 간 상대였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대응능력도 만만치 않았다. 백신의 개발과 항전 소식은 국제사회에 기대와 희망을 주었다. 의료선진국가들의 백신개발과 보급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체계를 갖출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인간사회의 속성인 현실주의적 발상이 백신을 정치적 수단으로 삼는 상황을 발생시켰다는 점이다. 백신을 소유한 국가와 백신보급을 기다리는 국가 사이에 ‘백신이 공공재인가’라는 인식문제가 대두된 것이다. 규범적으로 볼 때 백신은 인류의 생존을 위해 공공재가 되는 것이 맞다. 그러나 현실은 자국우선주의와 국가이기주의로 인해 공공재가 아닌 상품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백신이 사적 상품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사이의 패권경쟁 과정에서 백신이 공공재로 인식되고 보급될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코로나 발생 후 잠시 소강상태에 빠진 미중 양국은 경제, 안보 중심의 패권경쟁 대신 백신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중심으로 경쟁하고 있다. 이를 본 논문에서는 패권안정이론의 공공재(public goods)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려 한다. 패권안정이론에 따르면 공공재는 비경합성(nonrivalness)과 비배제성(nonexlusiveness)을 지니는 재화로서 패권국이나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에게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패권국은 자국이 보유한 사적 자원을 공적 자원으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은 논리에 비추어 볼 때 백신은 사유재로서의 성격을 보이고 있지만 미중패권경쟁의 향방에 따라 공공재로 인식될 수도 있다. 전개과정에서 ‘수요자’군에 속하는 수혜국가들의 행동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ovid-19 will be part of our history. It does not only affect individual lives, but also pose economic and political challenge to our society as a whole. In the middle of this crisis, the new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vaccines provides us with anticipation for the normalization of our life as well as concerns over politicization of the vaccines. This situation poses us following question. Are Covid vaccines pulic goods? Normatively, it is ideal if vaccine is used as public good for the purpose of protection against virus. However our reality suggests that it is more probable for the vaccines to be used as private goods. The Covid-19 vaccines are more likely to be used as private goods within the context of US-China hegemonic contest and anarchical nature of the itnernational relations. However we also suggest that vaccines can be used in the form of public goods based on how other nations respon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we use the concept of public goods - a concept that hegemonic stability theory heavily depends on. According to the theory, public goods refer values that are distributed based on the norm of nonrivalness and nonexlusiveness by hegemonic nations. A hegemon can gain support - a resource that is crucial for the maintenance of hegemonic order - from the beneficiaries of such goods, and this process is done by converting hegemon’s private goods for public use. This suggests that although vaccines are primarily private goods, the ‘beneficiaries’ can influence how it is used in the context of US-China hegemonic contest.

      • KCI등재

        미ㆍ중 상징투쟁과 전략 -부르디외의 실천이론 적용-

        은진석 ( Eun Jinseok ),이정태 ( Lee Jung Tae )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3

        미ㆍ중 무역전쟁이 1차 합의로 소강상태로 접어든 것도 잠시, 양국 관계가 재차 갈등국면에 접어듦에 따라 국제사회의 불안감도 다시금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역전쟁에 내재된 이와 같은 성격, 즉 경제적이고 패권적인 성격을 넘어 그것이 지속될 경우 양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고찰한다. 무역전쟁이 지속될 경우 양국에 미칠 경제적 피해를 감안할 때 이와 같은 경쟁을 지속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점은 양국이 여전히 그러한 경쟁을 지속할 만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 이외에도, 그러한 경쟁에 내재된 경제적 실익 이상의 무엇인가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역전쟁에 내재된 이익 변수로 상기한 경제적 이익 이외에 상징이라는 무형적이고 관념적인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가 제기하는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ㆍ중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무역전쟁은 상징투쟁으로써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이다. 둘째, 무역전쟁이라는 상징투쟁의 전개과정에서 양국이 추구하고 있는 상징의 내용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미ㆍ중 무역전쟁은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우며, 양국이 모두 방어의 논리로 무장한 채 갈등의 지속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무역전쟁은 이를 둘러싼 청중 국가들, 즉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국가들에게 복잡한 셈법을 제시한다. 우리는 미ㆍ소 냉전 시기 무력충돌의 주된 전장이 미국과 소련이 아닌, 주변국들이었음을 잊지 않아야 한다. Soon after temporary settlement of US-China trade war, tensions between the two nations reemerges, causing concerns to international society. This research explores the nature of US-China trade war beyond economic and hegemonic dimension, and its possible consequences to the both nation. Continuation of the trade war, considering its impact on the two nations’ economy, is irrational. Despite of the irrationality, however, the war is still ongoing, and it suggests that both nations are aiming for something that is beyond their material gain.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symbol, which has immaterial and ideational value, lies in the US-China trade war. Argument lies in this research is threefold. First, it argues that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can be characterized as symbolic conflict. Second, the symbols that the two nations pursue are different. Finally, due to the two factors, it is difficult for the U.S. and China to find agreement to resolve the conflict. When both nations equipped with the defender’s logic,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onflict persists. This poses challenges to ‘audience’ nations, such as Korea, Japan, or Asian states due to its complexly interdependent n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US-Soviet Cold War, the main battlefield was not the two nations’ territory, but other states employed as prox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