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대학교양으로서의 비교과 교육과정 탐색연구

        추성경(Chu, SungKyung),윤혜경(Yoon HaeGyung),변소연(Byeon, S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온라인 강의가 일반화됨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동료튜터링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함으로써 동료튜터링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D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포스트휴먼의이해>와 <융복합적사고와실천> 교과목 수강생 116명을 대상으로 16차시 온라인 동료튜터링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화상학습지원시스템(Microsoft Teams)을 활용한 녹화된 영상물을 비롯하여 튜터와 튜티의 활동보고서와 동료튜터링 운영과정에서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실행방안 탐색으로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둘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공동체 구축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 온라인 피드백 시스템 구축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온라인 동료튜터링 과정을 통해 교양과목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교양교육의 학습효과 향상과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As online lectures become more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on plan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peer tutoring by linking online peer tutoring with a extra curriculum to revitaliz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subjected for 116 students in the courses of <Posthuman Understanding> and <Convergence thinking and practice>, which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D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16th session of online peer tutoring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learning support system(Microsoft Team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 recorded video, activity reports of tutors and tutees, and the output from the peer tutoring operation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by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online peer tutoring operation case, It is confirmed as followed; first,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extra curriculum, second, establishing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xtra curriculum, third, establishing an online feedback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and lastly, establishing a mileage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and diversify the learning eff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linking liberal arts and extra curriculum through an online peer tutoring cours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추성경(SungKyung Chu),윤혜경(HaeGyung Yoon),변소연(SoYeon B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가 지구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통해 인류세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D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OOO연구소 인류세 프로젝트 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인류세의 ‘어제’, ‘오늘’, ‘내일’ 등으로 3개 주제, 10개 의미범주, 20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인류세 어제’에서는 ‘인류세’를 생소한 단어로 인식하였으나 본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세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주변을 돌아보는 성찰의 계기가 되었고, ‘인류세 오늘’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류는 대가를 치르고 있고, 이로 인해 기상이변, 환경파괴, 쓰레기섬을 확인함으로써 인류세 위기심화에 우려를 표출하였다. ‘인류세 내일’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대한 반성,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관심과 실천 그리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으로 인공돔, 인공태양, 냉동방주, 교양 인류세 콘텐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 지구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인류세를 초래한 근본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찰을 통해 지구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인류세 문제대응과 관련하여 대학생으로서 실천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Recognizing that anthrop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e intend to seek ways to deepen and respond to the anthropological crisi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ur times for 14 students of the Anthropocene Project at OOO Research Institut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t D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ur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ree themes, 10 semantic categories, and 2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Anthropocen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Anthropocene Yesterday,” “Anthropocene” was recognized as an unfamiliar word, but through this projec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with awareness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in “Anthropocene Today,” mankind is paying a price for human activities. As a result, concerns were expressed about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logical crisis by confirming weather chang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garbage islands. “Anthropocene Tomorrow” proposed artificial dome, artificial sun, frozen ark, and liberal arts anthropocene Contents as reflections on human activities, interest and practice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Conclus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Anthropocene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crisis of global ecology through insights into the root causes and solutions that led to the Anthropocene problem.

      • KCI등재

        온라인 튜터링 교양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영향분석

        변소연(Byeon, SoYeon),추성경(Chu, SungKyung),윤혜경(Yoon HaeG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튜터링 방식으로 진행된 교양수업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21년도 1학기 D대학교 튜터링 교양수업에 참가한 105명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들의 튜터링 참여 전 학습실재감과 16차시 참여 후 학습실재감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진행하였고, 튜터와 튜티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은 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는 학습실재감 중에서 사회적 실재감(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튜티는 감성실재감의 감정인식,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내용과 지식창출, 사회적 실재감의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실재감은 다양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성공적인 온라인 튜터링을 위해서는 학습실재감 변인을 포함한 학습전략 설계 및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perceived by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conducted through online tutoring and to present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 Method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5 people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liberal arts classes at D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 26.0.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esence before participating in tutoring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16th session; an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utors and tutees’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s, it was performed the calcul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utors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presence(co-presence, influence, and cohesiveness) among learning presence, and tutees significantly predicted emotional recognition of emotional presence, understand learning and knowledge constructing of cognitive presence, and cohesiveness of social presence. Conclusions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pres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learning performance at vari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for successful online tutoring, the need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learning presence variables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 D대 교양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윤혜경, 김용하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9 대학교양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중에서 ‘교 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 행정적 지원’내용과 D대학 운영사례의 부합성에 대해 제시한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사업을 수행한 대학을 교양교육운영의 선진사례로 설정하여, 총 54개 대학 중 대형 대학 22개를 선정하여 D대학과 비교 분석한다. D대학을 중심으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체계의 실태와 운영사례를 고찰한 후 대학 교육과정의 지향점에 부합하는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D대학은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양교육원에서 교양대학으로 직제를 개편하는 등 교양기초교육의 강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교양교육의 질 관리 를 위해 교양교육전담 부설연구소를 신설하고, 교양교육과정의 주체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 해 교양대 산하에 8개 학부를 편성하여 교양교육을 위한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교양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체계를 갖추었다. 교양교육은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주체성 확보와 교양 교육과정의 체계를 주기적으로 개선하고,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내용을 개선하며, 교양교 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 방법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양교육은 교육과정의 토대로서 그 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위해 교양교육의 전문성과 학술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교육 분야의 차별화된 R&D가 필요하다. This study presents the conform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standard models of university ba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Basic Education. The universities that carried out ACE projects from 2010 to 2018 are set as advanced cases of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and 22 large universities out of a total of 54 universitie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D universitie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cases of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University presents measures to improve it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 curriculum’s goals. D University reorganized its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o reflect social needs,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strengthening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by reorganizing its job system from a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to a liberal arts college. To manag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by securing faculty members for liberal arts education by organizing eight departments under the liberal arts college to enhance the self-reliance and professionalism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Cultiv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eriodically improve the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secure the self-reliance of institutions dedicated to cultural education, improve the contents by reflecting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for quality control of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differentiated R&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define its role 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