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국가정체성 변화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다문화교육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윤현희 ( Yoon Hyunhee ),김나영 ( Kim Na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다문화교육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초4패널 1차년도(2011)부터 6차년도(2016)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할함수 성장혼합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은 ‘고 수준-증가집단(11.5%)’,‘중 수준-감소집단(14.5%), ’저 수준-증가집단(6.8%)’, ‘평균(무변화)집단(67.2%)’의 네 가지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 성취동기와 같은 인지·심리적응적 요인이, 가정 환경요인으로는 부모양육태도가, 학교 환경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 환경요인으로는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과 관련된 다문화교육 정책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and determinants of latent classes in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eriods. To this end, the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using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data from the 1st year(2011) to the 6th year(2016) of the 4th panel of elementary schoo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identified into four latent classes: ‘high level-increasing group (11.5%)’, ‘middle level-decreasing group (14.5%)’, ‘low level-increasing group (6.8%)’, and ‘average (unchanging) group (67.2%)’. Second,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home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e level of awareness of local commun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rajectory patterns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 농촌관광마을의 지각된 가치가 장소애착과 친환경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현희(Hyun-Hee Yoon),이진호(Jin-Ho Lee)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3 농어촌관광연구 Vol.2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perceived value of rural tourism village on place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perceived valu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are composed of single dimension, and place attachment is classified into place dependence and place identity. As a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perceived value of rural tourism vill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respectively. Also place ident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help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rural tourism villages into sustainable and pro-environmental tourism attrac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사의 탈북학생 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윤현희 ( Yoon Hyun-hee ),김영순 ( Kim Young-s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학생을 지도한 초등교사의 교육경험에서 나타난 내러티브를 통해 탈북학생 교육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탈북학생 지도 경험이 2년 이상이고, 탈북학생 교육관련 특별한 공적이 확인 가능한 초등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탈북학생 교육 활동 사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탈북학생 교육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학생과의 만남 이전 경험의 의미는 ‘소수자와 이방인의 경험, 탈북학생을 이해하는 마음의 준비를 하다’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 모두 탈북학생 교육 이전에 소수자나 이방인으로서의 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은 탈북학생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바탕이 되어 적극적 실천으로 연결되었다. 둘째, 탈북학생과의 만남 경험의 의미는 ‘헌신과 돌봄의 교육 활동을 펼치다’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사이면서 엄마였고, 가족이자 이웃이며 학부모의 멘토 역할까지 담당하는 ‘키다리 아저씨’로 존재했다. 셋째, 탈북학생과의 만남 이후 경험의 의미는‘탈북학생 교육 경험,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 확대되다’로 도출되었다. 이는 탈북학생 교육의 일반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탈북학생 교육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로 확장되어 교사 개인의 역량과 책임에 집중되어 있는 현재의 탈북학생 교육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using the narrativ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ith the purpose to explore their narratives. The mea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based on before the meeting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as experience as a minority and a stranger, to prepare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ducation. Both participants had experience as a minority before teaching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uch experience has been linked to active practice as a basis for recognition and practice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econd, the meaning based on meeting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as to carry out education activities of dedication and care. Both participants took the role of teacher, mother, family member, neighbor, and mentor. Third, the meaning based on after the meeting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as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tended to education for all. This is a meaningful implication of the generalization possi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ducation.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ducation. In addition, it will help to set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ducation.

      • KCI등재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운영 실태 분석

        정소민 ( Chung Somin ),윤현희 ( Yoon Hy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이 연구는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운영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탈북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반편견교육과 비판적 페다고지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총 10곳의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 결과보고서에 드러난 운영 목표와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을 비교 분석하고, NVivo10을 이용하여 보고서 내단어 빈도 분석 및 연관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학교별로 제시한 연구학교의 운영 목표는 탈북학생의 적응, 진로, 학습이라는 세 가지 운영 주제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구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세 가지 운영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탈북학생 위주의 교육지원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단어 빈도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이해`, `통합적`이라는 단어가 유의미하게 대두되었으며, 이들 단어가 사용된 맥락을 살펴본결과 탈북학생 교육 정책연구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주로 `부가적 접근법`의 수준에 해당하였으며, 교사나 일반학생이 탈북학생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탈북학생을 위한 `통합적` 지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에서 강조하는 형평성의 관점에서 탈북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지원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학교에서 탈북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과제로 개인적 결핍을 채우기 위한 교육 지원만을 제공했다는 사실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그들의 개인적 요인에 기인한다는 관점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의 삶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으로서 탈북학생과 일반학생과의 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in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olicy-Research School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on integrated unific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ports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olicy-Research Schools, based on anti-prejudic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critical pedagogy.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aim and design of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and query analysis using NVivo10 for words frequency and their relatedn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ims of the school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adaptation, guidance consultation,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econd, their progra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 categories and mainly focus on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ird, three meaningful words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integrated`- are extracted from query analysis. In specifically, reconstructing `curriculum`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additional approach level; `understanding`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by teachers or non-defector students; and `integrated` support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Doubtles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tra educational supports for them are essential in terms of equity. However, the fact that most of the schools offer the educational support to help their adaption by reinforcing individual deficits reveals a implied perspective that their maladjustment comes from individual deficits without considering any soci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for empowering citizens who prepare lives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FGD 활용 교육 선진국의 미래 교육 동향 탐색

        김영순(Kim, Youngsoon),윤현희(Yoon, Hyunhee),이영희(Lee, Y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교육 선진국의 미래교육 동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미래 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문가 집단 토의(FGD: Focus Group Discussion) 방법을 채택하였다. FGD를 위해 교육 선진국과 통합교육의 전문가 6명을 섭외하여 토의를 진행하였다. FGD 분석 결과 교육 선진국의 교육 동향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제도 세 가지 범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시민교육과 진로교육을 강조하며 방법적으로는 통합적 교수방법과 지역사회 연계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도 측면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 개별화 교육을 통한 교육 불평등 감 소 노력이 행해지고 있었다. 해외 교육 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방향이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 현재의 문제점 고찰을 통한 정책 개선, 교육 불평등 감소를 통한 사회통합 지향, 교육정책과 운영을 총괄하는 중심타워 설립의 네 가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래 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목표가 설정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교육 선진국의 다양한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비전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이에 해외의 사례와 정책들을 참고로 우리나라의 상황과 실정에 맞는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ducational trends in educationally developed countrie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vision of future education in Korea. FGD (Focus Group Discussion)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conduct the research. For the FGD, six experts were invited to the discussion. FGD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contents of education, civic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integrated teaching method and community–based education were actively carried out. On the institutional side, it emphasized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emphasized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reduces education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f a central administration supervises the policy orient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and the education policy and operation. Various examples of educationally developed countries ar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vision of sustainable future education. Futur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ference to overseas cases an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that are appropriate to situations in Korea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산성염료폐수의 응집 탈색에 관한 연구

        한태성(Tae Sung Han),윤현희(Hyon Hee Yoon),김병식(Byoung Sik Kim) 한국화학공학회 199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7 No.3

        The effect of various surfactants used in textile dyeing processes on coagulation treatment of dying wastewater was investigated. When alum was used as a coagulant, the color removal rate of milling-type acid dy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presence of nonionic surfactants. The combined use of inorganic and organic coagulants achieved an excellent color removal rate of more than 95% for the most of acid dyes tested in this study. In the combined coagulants treatment, nonylphenol ether nonionic surfactants and anionic surfacta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or removal efficiency. However, poly(oxyethylene) alkylamine nonionic surfactants decreased remarkably the color removal rate. The decrease of the color removal rate was more severe by the surfactant having smaller number of ethylene oxid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