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의 장관골 골 결손 부위에 이식한 골막 유래 줄기 세포의 골 형성 유도

        김휘택,윤평주,이동호,안미영,장희경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 적: 미분화 줄기 세포를 골 조직 유도 촉진제 사용 없이 직접 동종 이식 시 골 형성의 정도를 알아보았다.대상 및 방법: 성장 중인 백색 가토를 대상으로 경골 부분 절제술 후 이식 물질에 따라 제1군(줄기 세포와 agar), 제2군(agar), 제3군(골 절제술만 시행)으로 나누었다. 8주에 걸쳐 매주 단순 방사선 검사 후 가토를 희생시켜 신생 골의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형성된 골 조직이 이식한 줄기 세포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고자 줄기 세포를 CM-Dil로 표시시켜 골세포에서 형광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결 과: 골수와 인접한 부위에서 섬유 모세포와 골모세포로 분화되는 세포들이 전자현미경 상 관찰되었다. 골막 및 골수 강에서 유래한 골세포에 의한 연골내 골화와 줄기 세포에서 분화된 골모세포에서 형성된 유골이 함께 관찰되었다. 이식 6주째까지 형광을 발현하는 세포를 신생 골 조직 내에서 관찰할 수 있어 새로 형성된 골은 이식한 줄기 세포에서 기원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관절경을 이용한 슬개골 골절의 치료

        서정탁,류총일,윤평주 대한슬관절학회 1997 대한슬관절학회지 Vol.9 No.1

        Fractures of the patella are intra-articular fractures of a sesamoid bone. The goal of treatment is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extensor mechanism and congruity of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knee. So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is minimized by an accurate reduction of the articular surfaces. We analyzed nine cases of the patella fractures which were treated by the use of arthroscopy to allow visualization of and working inside of joints, and the use of the image-intensifier fluoroscope to allow real-time visualization of the skelet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xation of patella fractures using an arthroscopy could be applied to transverse or vertical fractures without comminution and severe osteoporosis. 2. In the treatment of two types of patella fractures(simple transverse or marginal vertical fractures without comminution), clinical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ccurate reduction of articular surface using an arthroscopy and image-intensifier.

      • 슬근 좌골 결절 견열 손상의 지연 수술후 발생한 좌골신경 손상 - 증례 보고 -

        김휘택,류총일,윤평주,이종서,Kim Hui Taek,Yoo Chong Il,Yun Pyung Ju,Lee Jong Se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슬근의좌골결절부착부 견열손상은스포츠인구의증가와군대훈련을받고있는 젊은 남자에게 간혹볼수있는손상이며 대부분은젊은성인 특히 운동선수에게주로발생한다. 이는 슬관절이신전된상태에서고관절이 과도히굴곡되면슬근에강력한 긴장을 일으켜야기된다. 조기에진단하여 견열된 근육을 좌골에 부착시키는 수술적 치료로 기능을 회복시키고 기형을 교정할수있으나진단과치료가지연되면기능적으로나임상적으로양호한결과를얻기어렵다. 좌골결절에서슬근견열골절의수술적치료후생길수있는합병증은이소성골형성과고정실패외에크게알려진것이없으며, 특히좌골신경손상은보고된적이없다. 저자들은수상후3개월된슬근의좌골결절부착부파열을수술적치료한후좌골신경손상을경험하여보고하는바이다. Avulsion of the hamstring tendon from the ischial tuberosity is common in many sports, especially with younger athletes. The injury results from a sudden forceful flexion of the hip joint when the knee is extended and the hamstring muscles powerfully contracted.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repair with reattachment of avulsed muscles to the ischial tuberosity restore function and correct deformity. But, a dela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leads to a poor result functionally and clinically. Complication, such as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failure of the fixation, etc., were reported following a surgical procedure for this injury. However, sciatic nerve injury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report our experience of a sciatic nerve palsy after surgery that was performed three months after that the initial injury.

      • KCI등재
      • KCI등재

        가토의 장관골 골 결손 부위에 이식한 골막 유래 줄기 세포의 골 형성 유도

        김휘택(Hui Taek Kim),윤평주(Pyung Ju Yun),김인보(In Bo Kim),이동호(Dong Ho Lee),안미영(Mee Young Ahn),장희경(Hee Kyung Ch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미분화 줄기 세포를 골 조직 유도 촉진제 사용 없이 직접 동종 이식 시 골 형성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성장 중인 백색 가토를 대상으로 경골 부분 절제술 후 이식 물질에 따라 제1군(줄기 세포와 agar), 제2군(agar), 제3군(골 절제술만 시행)으로 나누었다. 8주에 걸쳐 매주 단순 방사선 검사 후 가토를 희생시켜 신생 골의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형성된 골 조직이 이식한 줄기 세포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고자 줄기 세포를 CM-Dil로 표시시켜 골세포에서 형광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수와 인접한 부위에서 섬유 모세포와 골모세포로 분화되는 세포들이 전자현미경 상 관찰되었다. 골막 및 골수 강에서 유래한 골세포에 의한 연골내 골화와 줄기 세포에서 분화된 골모세포에서 형성된 유골이 함께 관찰되었다. 이식 6주째까지 형광을 발현하는 세포를 선생 골 조직 내에서 관찰할 수 있어 새로 형성된 골은 이식한 줄기 세포에서 기원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단순 줄기 세포에 의한 골 형성 능력은 골 결손에 있어 골유합을 유도하려는 경우 향후 적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determine if stem cells transplanted directly into a bone defect of rabbit tibias have osteogenic induction potential. Materials and Methods: Immature white New Zealand rabbits underwent tibial osteotomies,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mplant material used: stem cells embedded in agar (group 1); agar alone (group 2); nothing (group 3). For all rabbits, radiographs were taken weekly for 8 weeks, and histological studies of the newly formed-bone were performed. CM-Dil was used to label the stem cells prior to transplantation to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newly formed bone was derived from the transplanted stem cells. Results: Fibroblasts and osteoblasts (osteoid matrix-forming cells) derived from the stem cells were identified by electron microscopy. Interspersed enchondral ossification (probably induced by osteogenic cells from the remaining periosteum and marrow) and pure osteoids (created directly from the osteoblasts originating from the transplanted stem cells) were identified. Fluorescent-labeled cells were conspicuous in the new bones until 6 weeks after surgery, which indicates that the new bones were induced by the stem cells. Conclusion: The osteogenic induction potential of the undifferentiated stem cell has promise for therapeutic application, which may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bone def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정형외과 특정질환에 따른 β-glucuronidase의 활성에 관한 연구

        류총일 ( Chong Il Yoo ),서근택 ( Kuen Tak Suh ),김철영 ( Cheol Young Kim ),문희철 ( Hee Chul Moon ),윤평주 ( Pyung Ju Yoon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7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help in order to diagnose orthopaedic disease, measure its activity and determine treatment plan by measuring the β-glucuronidase activity in urine, serum and joint fluid. Methods: The β-glucuronidase activity was determined in the serum, urine and joint fluid of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osteomyelitis and osteogenic sarcoma, and some other disease to study the change of the enzyme activity. These values of each specimen were calculated by standard curve and treated by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β-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serum, urine and joint fluid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osteomyelitis and osteogenic sarcoma etc. 2. The increased β-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serum and joint fluid of each disease does not show a specific finding about respective disease, but the increased β-glucuronidase ac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rine of all disease groups (male: p=0.0041, female: p=0.0001).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β-glucuronidase activity was affected by the orthopaedic disease and differed according to each speci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