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TX차량의 동역학적 거동의 안정성 평가

        윤지원(Yoon Jiwon),김남포(Kim Nampo),김영국(Kim Youngguk),김석원(Kim Seog-Won),박태원(Park Taewon) 한국철도학회 200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tilting train is able to tilt its body towards the center of the turning radius, preventing roll-over of the train as it runs on a curved rail at high-speed. This train, widely accepted for commercial purpose internationally is very beneficial in that the operating time is shortened without much capital investment to the infrastructure where there are many curved rails. Over several years,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KRRI) has developed such a train. In this paper, the safety of the Korean tilting train express(TTX) is investigated using a dynamic simulation model. Since, proper safety standards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the TTX, those for the Korean train express(KTX) is employed instead to analyze the safety and ride comfort of the TTX. This study will prove useful in predicting the behavior of the TTX and ride comfort, and conforming that designed TTX measures up to the safety standards. It would be useful to recommend proper normal operating speed and determine the maximum safety speed, according to the result. Furthermore,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when analyzing the dynamic effect of the catenary system and the fatigue of the bogie.

      • KCI등재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윤지원(Yoon Jiwon),박미라(Park Meer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2020년에 운영된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목의 비실시간온라인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온라인 글쓰기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창원 소재의 C대학교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대상으로 1학기와 2학기에걸쳐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는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 내용, 교수자, 수업 환경, 글쓰기 역량 네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보았을 때 수업 환경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수업 영상의 품질에대한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전체 항목 중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것은 상호작용과관련된 것으로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다양하게이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온라인 글쓰기 수업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보다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위해서는 글쓰기 피드백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이에 대한 실제적 방안 및 실천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nding out better ways for future online writing classes by identifying learners’ perception regard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classes in 2020 which were organized due to COVID-19.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by the writing class learners at C University in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synchronous online class. Second, the learn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setting, especially, class video quality. Lastly, the learners though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professor was noticeably satisfying in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e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asynchronous online writing ones. In order to improve online writing classes, it necessarily takes a variety of efforts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and writing feedback. Also, more practical measures and further research should proceed in more detail.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실시간-비실시간)의 교수 실재감 연구

        윤지원 ( Jiwon Yoon ),박미라 ( Meer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수업 방식(실시간-비실시간)에 따른 교수 실재감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창원 소재의 C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교양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한 28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교수 실재감(수업의 체계적 실행, 의사소통 촉진, 교수적 콘텐츠, 학습촉진 및 점검, 교수자의 존재감)과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교수 실재감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섯 개의 영역 중 의사소통 촉진 영역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교수 실재감을 확인한 연구로서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경우, 수업 방식에 따라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 실재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음을 밝혔다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is to examine the teaching presence of a university online writing class (synchronous-asynchronous). For this, I collected 283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 out of enrolled students of the C university Changwon, Kyungnam province and analyzed the constructed survey questionnaires related to a teaching presence (systematic execution, facilitating a communication, educational contents, learning promotion and monitoring, teaching presence of teacher). A teaching presence in a synchronous online class and an asynchronous online class is really high, a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Looking into the sub-categories,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promotion. This study identified teaching presence in university online writing class and has a significance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a teaching presence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way of teaching.

      • SA를 활용한 록업클러치 댐퍼스프링의 최적설계 및 비틀림 진동특성

        윤지원(Jiwon Yoon),김철(Cheol Kim),장재덕(Jaeduk J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presence of high powers of wire and coil diameters, e.g., terms involving d⁴, etc., result in difficulty for gradient methods. The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is especially attractive on the spring optimization problem. The objective is to increase the factor of safety. Since the spring can fail by fatigue or by yielding, our objective is to maximize the smaller of the two safety factors of fatigue and in yielding. To determine the optimum wire diameter d and coil diameter D such that alternating shear stress, mean shear stress, endurance limit, strength, and torsional natural frequency are satisfied. Several optimum design candidates were obtained to avoid resonance and excessive noise in the lock-up clutch of and automatic transmission. The determination of number, location, number of turns, and deflection of damper spring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in the system. A recent need for a thinner torque converter require the optimum double springs attached to a clutch piston to fit a slender torus case. In this study, change in natural frequencies has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short or long travel damper springs.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윤지원(Yoon, Jiwon),최천근(Choi, Cheon 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 간의 영향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H대학 4학년 학부 재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H대학에서 자체 개발한 핵심역량 2020년 조사데이터, H대학 학부교육실태조사 2020년 조사데이터, H대학 내부 학사자료 2021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크론바흐 알파 신뢰검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핵심역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핵심역량과 학업성취의 영향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학업성취는 그들의 핵심역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만, 그 자체가 학업성취라는 결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업성취로 이어진다는 점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제공해야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 -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y of college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s composed of 318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Hansung University, Korea. This study uses the HS-CESA 2020 data, K-NSSE 2020 data, and 2021 Hansung university education data. Cronbach alpha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aron & Kenny s three-stage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Results Academic self-efficacy was able to identify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The university needs to recognize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s greatly affected by their core competencies, but it is not only leading to the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leads to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self efficac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llege students with a lot of programs to enhance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직무능력 기반 한국어교육 연구

        윤지원 ( Jiwon Yoon ),이선중 ( Sunjo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한국 내 학령인구의 감소는 국내 대학들을 국제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점차 늘어나는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 요구와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사회의 다양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삼았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의 다양한 대학 수학 목적 중 취업에 집중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직무능력 기반의 한국어교육에 대해 논하고, 나아가 취업 역량 교과목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외국인 유학생 역량을 대응·융합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직무능력’을 설정하였다. 이후 해당 ‘직무역량’이 교과목 개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특정 교과목 개발에 대해 예를 들며 서술하였다. 본고에서 설정한 ‘직무능력’은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 역량 교과목을 개발할 때 준거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를 선발하는 시험을 개발하는 데 평가 준거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n Korea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internationalizing domestic univers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meet the increasing learning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and various social expectations for foreig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employment among the various objective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y, to discuss job competency-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and to propose a plan to develop employment competency subjects. To this end,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job competency’ for foreign students by coping and fusion of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the competencies of foreign students. Afterwards, how the relevant ‘job competenc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subject was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subject. The ‘job competency’ set in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as a criterion for developing foreign students ‘job competency’ courses, but also as a criterion for evaluation in developing a test to select foreign workers.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교수 불안감 연구

        윤지원 ( Yoon Jiwon ),최정순 ( Choe Jeong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시 갖게 되는 어려움의 원인 중 하나인 불안감에 대한 연구이다. 29개국 131명의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교수 불안감은 2.62점이었다. 교사의 불안은 교수에 방해가 되는 주요 요소로서 수업에서의 자신감 결여, 그리고 교수 불안감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불안감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문항 분석을 통해 얻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주요 원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수업 상황에서 어휘나 문법 영역에 대해 느끼는 불안은 철저한 사전 수업 준비로 완화시킬 수 있다. 둘째,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꾸준한 자기 개발 노력이다. 셋째, 위의 개인적 노력을 넘어선 한국어교육 전공자 집단이나 세종학당재단이나 국립국어원 등 한국 정부 기관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수 불안감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으나 그들의 국적, 연령, 성별, 한국어교육 경력 등의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설문에 참여한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실제 한국어 숙련도(한국어 능력)을 파악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불안을 이해하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xiety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they are facing in the clas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urvey on 131 non-native Korean teachers from 29 countries, the anxiety of non-native teachers at the Korean class was 2.62 points. It wasn’t a high result, but it still causes the lack of confidence and teaching anxiety at the class. It is needed to put effort to solve the non-native teacher’s anxiety because it is the main factor which hinders teaching in th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on the main cause of non-native teacher’s anxiety based on the facts through out the analysis of questionaires. Firstly, anxiety at the area of vocabulary or grammar in the class situation can be dimin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Secondly, non-native Korean teacher’s constant effort for self-development. Thirdly, It is essential to run parallel with the effort of individual and with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support by Korean government such as King Sejong foundation or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r by the group of people who maj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though this study confirmed there is anxiety of non-native teacher by the survey, it has a limit Because it hasn’t discus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age, gender and work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and also Korean proficiency of non-native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However, it significance not only it understands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anxiety but also it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finding the solu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in Korean class.

      • KCI등재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윤지원(Yoon, Jiwon),김상욱(Kim, Sangwook)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2

        본 논문은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문화적 적응, 그리고 사회적 적응으로 구성된다. 배재대학교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국인이 아닌 유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중국인 유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둘째, 중국인 여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학년별로 보면 1학년이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2학년과 3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낮아지다가 4학년이 되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넷째, 유학기간별로 보면 2년-3년 기간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유학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낮아지고 있다. 다섯째, 거주형태별로는 학교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 밖에서 혼자 자취하는 경우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발견은 향후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학년별로 나타나는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의 U자 형태는 전공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includes the academical adaptati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the social adaptation. We research the foreign student in PaiChai universit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non-Chinese foreign student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Chinese foreign student. Secon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emale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male. Thir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irst year class is highest, the second year class and the third year class more and more low, and the fourth year class higher than the third year class. Four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econd-third year is highest by the study abroad period, the study abroad period more longer,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more low. Fif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chool dormitory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outside residence by the residence type.

      • KCI등재

        QR 코드를 이용한 패션제품의 정보제공에 대한 20대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조사 연구

        윤지원 ( Jiwon Yoon ),유신정 ( Shinjung Yoo )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2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consu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providing information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QR cod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for consumer-to-consumer and consumer-to-company conn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a population among whom the rate of smart phone penetration is higher than in any other age group and who tend to exchange information onlin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amount of information, terms of instructions, and ambiguous washing symbols currently provided.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better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found that QR code, which is able to deliver high-quality information on fashion products, can be an efficient alternative. Moreover,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detailed washing instructions, information on handling, and functionality of material on high-involvement fashion products such as outdoor, padding, suit, and underwear worn next to the skin. They also desire styling tips or purchasing information such as SNS OOTD (Outfit Of The Day) utilizing the product, other products that may go well with the one purchased, and similar products on casual wear and coat used on a daily basis. Therefore, QR code used as a link to information web pages or a social network can help consumers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and to use the products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