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미술시장의 양상

        윤자정(Yoon Ja Jung) 현대미술학회 2012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6 No.2

        오늘날 현대미술의 장에서 미술시장의 역할이나 비중은 엄청나게 커져 있다. 미술시장은 미술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미술품의 단순한 수요?공급의 조절기능을 넘어 스스로 기획하고 독자적으로 가치를 생성?소멸시키는 단계에 와 있다. 미술시장은 그 자체 미술(사)학 혹은 미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의 하나로 부각되었다고도 말할 만하다. 이 글은 미술계에서 미술시장의 위세가 날로 강해지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이 미술시장의 양상을 좀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한 방편으로 시론(試論)적으로나마 서구에서의 미술시장의 역사적 행적을 추적한다. 기계적으로 연대를 나누되 가급적 유별난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되는 지점들을 매듭으로 삼아 살펴볼 것이며, 미술품의 가격을 매기는 요인(컬렉터, 아트딜러, 옥션 등)의 변화상황에 가급적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술시장의 현재적 양상과 의미를 그 역사성 속에서 음미해볼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function or weight of art market has grown up greatly in artworld. So the necessity of study on art market is demanded strongly. To consider the art market is to view art in terms of its exchange, consumption, economic valuation, and prestige rather than in terms of the qualities of individual works, the careers of artists, or the history of movements. In this essay I investigate the history of art market. Instead of mechanical division of times, I concentrate the special changes which thought to be important and factors(dealer, auction, gallery, etc.) which function on the prices of artworks. Through this historical survey of art market we"ll have the time to contemplate its today"s situation.

      • KCI등재

        현대미술의 매체환경 대응과 그 의미

        윤자정(Ja-jung Yoon)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2

        오늘날 우리 삶은 대중매체, 혹은 대중매체의 이미지에 크게 좌우되고 있다. 이 글은 대중매체를 이 시대 문화를 규정하는 본질적 국면으로 상정하면서 현대미술이 어떻게 대중매체 이미지와 대결해나가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문화와 삶에 관여 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삶의 편의'를 위한 대중매체가 '삶의 불편'으로 왜곡되는 지점은 어디에 있는가를 염두에 두면서 현대미술이 어떻게 이에 대해 직간접적인 대응을 행하는지를 논한다. 순서상에서는 우선 대중매체가 양산하는 이미지들의 본질이나 속성을 다루고, 다음으로 현대미술의 양상을 '대중매체 환경'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살핀다. 이를 통해 대중매체 환경에 대한 탄력적 대응이라는 측면이 현대미술의 최근의 주요한 국면이라는 점을 부각시킨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비주의적(非注意的) 시각정보 처리를 고려한 미디어 공간 연구

        윤자정 ( Ja Jung Yoon ),조택연 ( Taig Youn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미디어 공간은 인간의 지각능력을 다시금 확장시켰고,가상공간의 출현 이후 미디어 공간 배경은 수많은 고도의 정보를 넣을 수있게 되었다. 이에 반해 인간의 뇌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모든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인간의 시각은 선택적 주의를 하여 공간의 필요한 정보만을 습득한다. 인간이 비 주의적으로 인식하는 미디어 공간 배경에서 무엇이 인지하기 쉬운 공간정보인지 알아보고, 관람객의 호감 반응을 극대화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가상현실의 출현이후 진보된 디지털환경에 의한 미디어 공간의 가능성을 보고,인간의 시각 정보처리에 관하여 연구한다. 이에 따른 미디어 공간을 보는시각의 한계와 뇌의 처리과정에서 시각적 유의미한 정보를 알아보고 유의미한 정보가 들어간 비주의적 배경을 이용한 사례 분석하여 시각정보와의상관성 찾아본다. (결과)인간의 뇌는 자연현상발생 구조를 이용한 형태와경험적으로 학습된 형태를 비주의적으로 인지가 쉽게 된다는 결론으로, 이러한 공간정보를 사용했을 때의 호감은 극대화 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공간에 효과적인 공간 디자인을 제안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edia spaces extend human perception. After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space, the backgrounds of media spaces included high degrees of varied information. However, dur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 human brain cannot recognize every piece of visual information. As such, humans have selective visual attention and thereby only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easily recognized background information is perceived in attentionally by hum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favor of the audience. (Metho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of media spaces advanced by digital circumstances since the appearance of virtual reality and studies how humans process visual information. Thus, it searches for a visual limit that sees media space as meaningful visual information in the cerebral process. In addition, it seeks a correlation with visual information by analyzing cases that utilize in attentional blindness with backgrounds that include meaningful information. (Result)The study found that the human brain easily recognizes the natural and educated forms of genetic algorism. When using this spatial information, the audience`s favor is maximized. In this way, the study suggests effective spatial designs for media spaces.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지각이론: "인과적 효능성의 지각"과 "제시적 직접성의 지각"

        윤자정 ( Ja Jung Yoon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1

        화이트헤드의 철학, 특히 후기의 형이상학적 존재론이 기본적으로 인간의 모든 경험에 정당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그의 사상이 미학이라는 가치론으로 수렴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그 내용을 특히 그가 인간 지각의 차원에서 중요하게 언급하는 이른바 ‘두 가지 양식의 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본다. 화이트헤드는 현대철학에서 인간 경험의 가치적 측면이 무시되어 온 것이 로크나 흄의 경험론에 기인되는 바가 대단히 크다고 보고 이들의 경험론을 교정하는 일을 경험의 가치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단초로 여기고 있다. 그는 이 작업을 특히 두 가지 양식의 지각(인과적 효능성 양식의 지각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과 제시적 직접성 양식의 지각 perception i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개념을 통해, 근원적 차원에서 인간의 경험은 언제나 가치경험으로 존립하고 있음을 확인해내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원적 차원’이란 인간의 경험이 의식(意識)의 차원으로 떠오르기 이전의 일종의 원초적이고 무의식적인 차원을 말하는 것으로, 화이트헤드는 이 차원에서 성립하는 인간 경험의 가치성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특히 ‘인과적 효능성의 양식에서의 지각’에 대한 해명을 통해 증언하고 있다. 본고는 그 내용을 살핀다. 먼저 지각의 두 가지 양식 개념을 살펴보고, 이어서 로크와 흄의 경험론이 경험의 파악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한계를 노정하는지를 화이트헤드의 입장에서 확인하는 식으로, 인간 경험의 가치성이 지각 차원에서 부각되는 화이트헤드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검증한다. According to Whitehead, experience itself is reality. He explains "actual entity" as the final real things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Actual entities as the final real things are nothing but experience. And the fundamental figure of reality is the interconnection of all elements. To Whitehead as realist, the world is not a subjective idea (presention) but something which really exists, and is made up by the "really existing occasions". Then this really existing occasions is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the totality of reality. In this sense, all existing ones "feel" one another, and the world is a dynamic unity in which all constituent elements continuously influence mutually. And Whitehead regards this reality of concrete facts as continuously realizing "value" at the same time, and the word "beauty" in the fundamental sense as a synonym of "value". Boiled down, "reality" is equal to "beauty" because "reality" is equal to "value" and "value" equal to "beauty". In this sense, his aesthetic thought goes in gear with his "metaphysics" or "cosmology" itself. And this dynamic unity in which all constituent elements continuously influence mutually lies in human perception. According to Whitehead, in human perception there are two modes, the one is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and the other is perception i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And the former is fundamental and primary, the latter is similar to ``conscious sense perception`` which falsely be thought fundamental in traditional empiricism. In traditional empiricism, which be represented by J. Locke and D. Hume, conscious sence perception is the basis of all human knowledge. Whitehead criticize this viewpoint. In Whitehead``s theory of perception,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lies beneath perception i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and in this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cosmic interaction and dynamic unity occurs more fruitfully in dimension of making human experience as ``value experience``. So in this essay I search for the content of Whitehead`` two modes of perception theory, and inquire into Whitehead`` criticism on J. Locke and D. Hume. In doing so, we can become intimate with Whitehead`` thought which must be goo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uman value experience.

      • "가치정향" 대 "사실정향" -화이트헤드와 분석철학 간의 대비-

        윤자정 ( Ja Jung Yoo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6 화이트헤드 연구 Vol.13 No.-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은 ``가치정향``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존재의 본질은 바로 경험의 가치보유적 속성에서 결정적으로 발견된다. 그리고 이 점은 ``사실정향``을 지향하는, 흔히 ``분석철학``이라고 통칭되는 현대 영미철학의 주도적 흐름과 비교적 뚜렷하게 대비를 이루고 있는 부분이다. 분석철학에서도 일찍부터 ``사실정향``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반성이 활발히 일었고, 그런 맥락에서 다양하고도 풍부한 견해들이 도출되어 나온 것 또한 사실이지만 철학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나 철학적 방법론 및 인간 경험의 속성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 양자 간에는 근본적으로 심연이 놓여 있다. 분석철학에서는 방법론적이고 인식론적인 문제들을 형이상학적 체계화로부터 독립시켜 다루는 것이 거의 유행이 되어 있으나, 화이트헤드는 경험에 대한 올바른 이론은 일련의 해석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체계로부터 분리되어서는 결코 성립될 수 없다고 보았다. 화이트헤드에게는 어떤 포괄적인 우주론적 도식을 구성하는 일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분석철학은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에 도전한다. 분석철학은 전체적으로 반형이상학적이고 경험론적인 성격을 뚜렷이 가지며 그 근본정신에 있어서는 영국 경험론, 특히 흄의 사고를 대단히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흄에 따라 인간의 정신은 기본적으로 지각들의 묶음(다발)에 지나지 않아 ``사물세계를 초월해서 가치를 포함하는 또 다른 질서의 실재``가 존재할 가능성은 차단되고, 그런 의미에서 분석철학은 ``사실정향``의 길을 걷는다. 분석철학의 주요한 특징 중 화이트헤드의 접근방식과 두드러지게 대비되는 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어떤 완전한 사변적인 우주론의 체계를 시도하는 화이트헤드와 달리 거기에는 철학의 주된 방법론으로서 논리적 언어적 분석에 호소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둘째로, 인간의 경험은 일반적으로 철학자들에게서 인정되는 바의 것보다도 훨씬 넓은 것이라는 화이트헤드의 주장과는 달리 분석철학은 감각주의적 경험론(sensationalist empiricism)이라는 보다 좁은 견해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화이트헤드는 전자와 관련하여 논리적이고 언어적인 개념들을 자신의 형이상학 체계 내의 올바른 시각 속에 위치시키며 논리와 언어가 형이상학에 의존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과학적 인식과 가치경험 둘 다 어떤 단일한 통합적인 이론 안에서 설명됨을 보이는 방식으로 감각지각을 보다 넓은 인간의 경험 이론의 맥락 내에 위치시킨다. 결국 화이트헤드에게서는 분석철학과 달리 경험의 총체성이 추구된다. 그리고 화이트헤드에게 있어서 이 경험의 총체성은 어디까지나 경험의 근원적 가치성에 대한 주목을 통해 확보된다. 요컨대 분석철학으로 대표되는 현대 영미철학에서 대체로 간과되고 있는 인간 경험의 총체를 화이트헤드는 원상회복시키고 거기다 정당한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 The philosophy of A. N. Whitehead stands in marked contrast to the mainstream of twentieth-century philosophy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t the middle of the century and continuing into the present, the dominant philosophical emphasis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has been the so-called analytic approach to philosophy. In my opinion, the contrast be defined as ``value-oriented`` versus ``fact-oriented``. Two of the major emphases of analytic philosophy stand in contrast to Whitehead`s approach to philosophy. First, there is wide-spread appeal to logical and linguistic analysis as the primary methodology in philosophy in contrast to Whitehead`s attempt at a complete speculative cosmological scheme. Second, the dominant temper of analytic philosophy is decidedly empiricist, and it tends toward the rather narrow view of sensationalist empiricism, in contrast to Whitehead`s insistence that human experience is much broader than is generally recognized among philosophers. Whitehead was critical of both of these views, and, in the formulation of his own speculative scheme, he attempted to remedy their inadequacies. With respect to the former, he attempted to place logical and linguistic notions in proper perspective within his metaphysical system and to show the dependence of logic and language upon metaphysics. In regard to the latter, he attempted to place sense perception in the context of a broader theory of human experience, accounting for both scientific cognition and value experience in a single, integrated theory. According to Whitehead, experience itself is reality. He explains "actual entity" as follows. "``Actual entities`` -also termed ``actual occasions``- are the final real things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There is no going behind actual entities to find anything more real. … and these actual entities are drops of experience, complex and interdependent."(PR, p.4) So far as the above quotation tells us, actual entities as the final real things are nothing but experience. And the fundamental figure of reality is the interconnection of all elements. To Whitehead as realist, the world is not a subjective idea (presention) but something which really exists, and is made up by the "really existing occasions". Then this really existing occasions is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the totality of reality. In this sense, all existing ones "feel" one another, and the world is a dynamic unity in which all constituent elements continuously influence mutually. And Whitehead regards this reality of concrete facts as continuously realizing "value" at the same time. The expressions such that "``value`` is the word I use for the intrinsic reality of an event."(SMW, p.93), "Existence, in its own nature, is the upholding of value intensity. Also no unit can separate itself from the others, and from the whole. And yet each unit exists in its own right. It upholds value intensity for itself, and this involves sharing value intensity with the university."(MT, p.111) support this scheme. With the above outline of the Whitehead`s point of view, I especially focus on some points. Basically Whitehead` thought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so-called "analytic philosophy" in their philosophical methods. To cut a long story short, the former is "value-oriented" and the latter is "fact-oriented". I think that this difference should be emphasized and "value"(or "value-orientation") be stressed in our daily life. So I observe at first the anti-metaphysical position of analytic philosophy. Secondly, I research on Whitehead`s vindication of metaphysics. Thirdly, I discuss about Whitehead`s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so-called "analytic philosophy". Through these studies we`ll have one more time the opportunity of appreciation at the status and meaning on Whitehead`s thoughts in the framework of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