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 산물처리에 의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

        이춘우,윤의병,구본철,백성범,손영구,서세정,남중현,김완석 韓國作物學會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6

        보리의 산물처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처리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립율은 2.5-2.2mm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경도는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색도는 산물건조와 관행인 천일건조와 차이는 없었다. 3. 흡수율은, 고형용출물, 퍼짐성 등의 취반특성은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산물처리에 의하여 관행의 ha당 46시간에 비하여 21시간으로 54.3%의 생력효과가 있었고, 수확 후 관리는 54.3% 생력화되었다. 5. 산물처리로 수확 후 관리노력이 관행에 비하여 ha당 25시간이 절감되어 101,83원의 경영비 절감효과가 있었다 Post-harvest treatment for barley production requires many steps including drying, cleaning, and packing, and these steps be needed many labor input. Rice processing complex (RPC) is useful for post harvest management system in rice production. However, it is rare to be used for barley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variations of quality and labor saving between conventional method and bulk-management system in post-harvest using RPC. The sorting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manual method and bulk management. The hardness of non-polished grain was ranged 10,175-10,329 g/3.14mm2 , and that for non-polished grain was higher than that for polished grain, but there was not different between drying method. There was not be showed the hunter's value such as L, a and b according to drying method. Cooking characters such as water absorption ratio, swelling ratio, and water soluble extracts by circulated or continued dryer was higher than manual drying using solar heat. Labor input per ha for each cultivation process in bulk-management of barley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was 21 hours, compared to 46 hr/ha in the conventional method, labor input was greatly saved by up to 54.3% in the post-harvest bulk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보리의 미맥종합처리 시설을 이용한 산물처리 실태

        이춘우,윤의병,백성범,구본철,손영구 한국작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2

        The post harvest treatment of barley had many hard work steps, such as drying, cleaning, and packing. This is a reason why farmer doesn''''t like to cultivate barle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post harvest management of bulk-harvested barley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RPC). Bulk-harvested barley was stored to 61.1% after 6pm at RPC. Grain moisture contents of bulk-harvested barley differed from storing date, farmer household, and field. Required dry hours were different with grain moistures contents. The average dry hour was 9.5 hours per 10a and dry rate was 0.89%. The proportion of impurity removed by coarse cleaning differed from grain moisture contents, as higher grain moisture content made impurity rate increase up to 38.9%. Cost of drying of bulk-harvested barley was 50won per ㎏ at above 24% of grain moisture contents, and the average dry cost was 41.25 won/㎏ and 14,400won/10a. The 62% of barley treated was stored in indoor-grain bin, and the others packed in 500 ㎏-poly con bag were stored in warehouse insulated.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수매 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보리의 산물수매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1.보리의 입고는 오전 10시부터 시작되었고, 오후 3시 이후에는 전체 산물 수매량의 61.1%가 입고되었다. 입고된 보리의 일별 평균 수분함량은 15.8-29.6%범위이었고, 건조기에 투입된 보리의 날짜별, 농가별, 필지별 수분함량의 변이가 켰다. 2. 건조 시간은 투입되는 보리의 수분함량에 따라 차이가 많았으며, 평균 건조시간은 9.5시간, 평균 건감율은 0.89% 이었다. 수분함량이 너무 높으면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투입구나 저류부의 탱크를 막는 고장의 원인이 되고, 품질이 떨어지므로, 후작물 재배에 지장이 없는 한 늦게 수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입고 보리에 함유된 이물질량은 보리의 수분함량 19.7-30%범위에서는 0.3-l.2%로 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함량이 30%이상이 되면 급격히 증가하여 수분함량 38.9%에서는 이물질의 양이 5.9%로 많아졌다. 이물질 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분리능력이 좋은 조선기로 교체가 필요하였다. 4. 건조비용은 14% 종자수분 함량 환산 중량 기준으로 24% 이상은 50원, 17%이하는 30원이었다. 저장은 실내 사각빔과 폴리 콘 백에 담아 평상창고에 보관하였다. 저장 중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 저장사일로의 증설이 필요하였다.

      • KCI등재

        보리의 미맥종합처리 시설을 이용한 산물처리 실태

        이춘우,윤의병,구본철,손영구,백성범 韓國作物學會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3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수매 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보리의 산물수매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1.보리의 입고는 오전 10시부터 시작되었고, 오후 3시 이후에는 전체 산물 수매량의 61.1%가 입고되었다. 입고된 보리의 일별 평균 수분함량은 15.8-29.6%범위이었고, 건조기에 투입된 보리의 날짜별, 농가별, 필지별 수분함량의 변이가 켰다. 2. 건조 시간은 투입되는 보리의 수분함량에 따라 차이가 많았으며, 평균 건조시간은 9.5시간, 평균 건감율은 0.89% 이었다. 수분함량이 너무 높으면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투입구나 저류부의 탱크를 막는 고장의 원인이 되고, 품질이 떨어지므로, 후작물 재배에 지장이 없는 한 늦게 수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입고 보리에 함유된 이물질량은 보리의 수분함량 19.7-30%범위에서는 0.3-l.2%로 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함량이 30%이상이 되면 급격히 증가하여 수분함량 38.9%에서는 이물질의 양이 5.9%로 많아졌다. 이물질 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분리능력이 좋은 조선기로 교체가 필요하였다. 4. 건조비용은 14% 종자수분 함량 환산 중량 기준으로 24% 이상은 50원, 17%이하는 30원이었다. 저장은 실내 사각빔과 폴리 콘 백에 담아 평상창고에 보관하였다. 저장 중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 저장사일로의 증설이 필요하였다. The post harvest treatment of barley had many hard work steps, such as drying, cleaning, and packing. This is a reason why farmer doesn't like to cultivate barle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post harvest management of bulk-harvested barley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RPC). Bulk-harvested barley was stored to 61.1% after 6pm at RPC. Grain moisture contents of bulk-harvested barley differed from storing date, farmer household, and field. Required dry hours were different with grain moistures contents. The average dry hour was 9.5 hours per 10a and dry rate was 0.89%. The proportion of impurity removed by coarse cleaning differed from grain moisture contents, as higher grain moisture content made impurity rate increase up to 38.9%. Cost of drying of bulk-harvested barley was 50won per ㎏ at above 24% of grain moisture contents, and the average dry cost was 41.25 won/㎏ and 14,400won/10a. The 62% of barley treated was stored in indoor-grain bin, and the others packed in 500 ㎏-poly con bag were stored in warehouse insulated.

      • KCI등재

        보리 춘파 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생육단계별 소요일수와 적산온도 및 수량관련 특성변화

        이춘우,구본철,윤의병 韓國作物學會 2000 한국작물학회지 Vol.45 No.6

        춘파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생육단계별 적산온도, 소요일수, 엽 전개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성 I인 사천6호와 파성 IV인 새찰쌀보리를 공시하여 2월23일부터 10 및 간격으로 4시기에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사천6호를 2월 23일 파종하면 6월 16일에 성숙하여 생육일수가 111일 소요되었고, 3월 24일 파종하면 6월 21일에 성숙하여 생육일수는 87일 소요되었다. 파종이 늦어지면 생육일수가 단축되어 성숙기는 비슷하여지는데 이는 주로 파종에서 출수까지 일수가 단축되기 때문이었다. 2. 품종에 따라 적산온도는 출현까치는 111-142℃ , 출수까지는 683-756℃ , 성숙까지는 1274-1326℃ 소요되었다 추파성인 새찰쌀보리는 만파하면 파성이 완전히 소거되지 않아 성숙까지의 적산온도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많았다. 3. 2월 23일 파종한 사천6호는 엽이 하루에 0.1938개 전개되었으나 3월 24일 파종은 0.2156개 전개되어 파종이 늦을수록 엽전개는 빨라졌다 새찰쌀보리도 3월 24일 파종을 제외하고 같은 경향이었다. 4. 파종이 늦을수록 천립중이 감소하고 설립이 증가하여 수량이 감소하였는데, 사천6호의 2월 23일 파종은 수량이 10a당 299kg에 비하여 3월 24일 파종은 125kg으로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5. 춘파보리는 파성이 낮고 대립종인 사천6호가 좋았고, 가능한 일찍 파종하는 것이 좋고, 수원지방에서 늦어도 3월 10일 이전에 파종하여야 수량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days and the accumulated temperatures to development stages, leaf emergence, and yield in spring-planted barley. Two barley varieties, Sacheon #6 in spring type (growth habit I) and Saechalssalbori in winter type (growth habit IV), were seeded on four seeding date, Feb. 23, March 4, March 13, and March 24. Growth periods to emergence, heading and maturity were shorten when seeding dates were delayed, except for the heading date of Saechalssalbori (winter type barley)at the later seeding date. The rate of leaf emergence was 0.1915 in a day, and was slightly high when seeding was delayed. The accumulated temperatures were 111-142~circC for emergence, 683-756~circC for heading, and 1274-1326~circC for maturity. In general, the accumulated temperature to heading was higher in Saechalssalbori than in Sacheon #6 because the winter growth habit of Saechalssalbori was not removed perfectly, One-thousand grain weight and yield were reduced by delayed seeding. In order to reduce the yield when barley were planted in spying, it is desirable to select the spring type varieties, and to plant them as early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