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용달 한국발생생물학회 2015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5 No.9
한국발생생물학회가 1995년 창립된 지 벌써 20년! 회고담을 준비하게 되니 기쁘고 벅찬 가슴에 힘이 솟습니다. 그 동안 학회를 이끌어 주신 회장님들과 더불어 임원진들 그리고 발생학회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주신 회원님들의 노력의 결과이기에 여러분들께 충심으로 감사와 치하를 드립니다. 우리 학회의 최초 10년은 기초를 다지는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우리 한국발생생물학회가 창립된 초기 상황을 약간 소개하려 합니다. 다음 10년은 여러분이 같이 학회의 발전을 만들어온 시기이고, 앞으로 10년은 우리의 운명이 스스로의 결정과 노력으로 우수한 학회, 우수 논문을 싣는 학회지를 가진 학회로 자리잡는 시기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윤용달,이창주,전은현,이준영,Yoon, Yong-Dal,Lee, Chang-Joo,Chun, Eun-Hyun,Lee, Joon-Yeo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8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5 No.2
혈액에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bioavailable) steroid hormone은 주로 비결합형(free form)과 알부민 결합형(albumin-bound form)으로 구성된다. 특히 Testosterone (T)과 5 alpha-Dihydrotestosterone (DHT)의 활성적 분획이 전체의 T, DHT 양에 비해 생리적 현상과 보다 잘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섬광면역측정법(Luminescence immunoassay, LIA)으로 혈청내 활성적 T 및 DHT의 농도의 측정에 이용하고져 하였다. 항체는 T- 또는 DHT-3-CMO-BSA를 항원으로 토끼에 면역주사하여 얻었다. 추적자는 T-3-CMO, DHT-3-CMO에 aminobutylethylisoluminol(ABEI)를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항체중 IgG분획을 Protein-A-Sepharose CL-4B로 분리한 후 Immunobead(Bio-Rad)에 부착시켜 Solid-phase LI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LIA는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 감도(sensitivity), 교차반응도(specificity)등을 조사하고, 기존의 방사면역측정법(RIA)과 비교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혈청내 T및 DHT의 활성적 분획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T의 경우는 남성에서 T의 전체량의 33% 이상으로 $7.1{\pm}1.5nmol/l$, 여성에서는 26% 이상으로 $0.28{\pm}0.05nmol/l$이었다. DHT의 활성적 분획은 남성의 경우 $601.7{\pm}85.8pmol/l$, 여성의경우 $52.4{\pm}19.9\;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본 연구에서 이용된 LIA는 혈청내 활성적 농도를 측정하기에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여성의 Androgenicity 및 남성 정소기능등의 제어방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omen(II);Change of Serum Prolactin
윤용달,이준영,Yoon, Yong-Dal,Lee, Joon-Yeo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8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1 No.2
본 연구는 황체기 단축현상(Short luteal phase, SLP) 을 가진 한국여성의 월경주기내 Prolactin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정상월경주기 (Normal luteal phase, NLP)와 비교하고져 하였다. 한편, Circadian rhythm 내 PRL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고 임신기간중 PRL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RIA) 으로 조사하였다. SLP여성의 PRL 농도는 후기의 여포성숙기(Late follicular phase) 및 초기황체형성기(Early IuteaI phase) 정상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정상 월경주기에서는 PRL/Progesterone(mU/1/mg/ml)의 비율이 후기 여포성숙기까지 증가한 후 LH Peak day 이후 감소하는데 반하여 SLP여성의 비율은 조기 여포성숙기부터 계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취침전 (04:00시) PRL의 농도는 SLP여성에게는 현저히 낮았다. 임신주기중 PRL의 농도는 4개월째 1,077mU/l 에서부터 9개월째 4,462mU/l까지 점진적인 증가를 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황체기단축현상은 PRL의 분비이상이 하나의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PRL/Progesterone의 농도비율이 SLP의 판정에 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냉동절편을 이용한 돼지 자궁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측정
윤용달,박철홍,이영근,Yoon, Yong-Dal,Park, Chor-Hong,Lee, Young-Keun 대한생식의학회 198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6 No.2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estrogen receptor in porcine uterus using frozen sections. Cryostat sections were incubated with $^3H$-estradiol($^3H$-$E_2$)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ethylstilbestrol(DES) and the radioactivity of 3H-E2 bound to estrogen receptor(ER) was detected. The level of specific estrogen receptor was determined by Scatchard analysis. The highest ratio of specific binding against total binding was achieved in 3 sec. tions(5mm x 5mm) which was corresponded to lOO${\mu}$/ml protein concentration. Optimal binding was obtained during incubation with $^3H$-$E_2$ for 30 minutes at 23$^{\circ}C$ after treatment of sections with acetone for 20 seconds. Three time-washing of sections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the removal of unbound 3H-E2. 200-fold molar excess of DES was substituted for the binding of $^3H$-$E_2$ to ER sufficiently(binding efficiency of 54.8%). ER was saturated with 4nM of $^3H$-$E_2$ and its dissociation constant was 0.1nM. ER assay using frozen sections(Histological radioreceptor assay, HRR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adioreceptor assay for estradiol(RRA, 0.976 , p<O.05). The present method has been proved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mall tissue samples, particularly for the specialized part of tissue, and for researches on reproductive physiology and pathology.
여포성숙의 대사에 관한 생화학적인 연구 II. 돼지 난소내 중여포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조성 및 동일여포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윤용달,이창주,도병록,김종흡 한국통합생물학회 1990 동물학회지 Vol.33 No.1
포유류의 난소내 여포의 폐쇄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정상과 폐쇄를 형태적으로 판정한 돼지의 난소내 개개 중여포의 여표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단백질을 방사면역측정법과 SDS-전기영동으로 각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rogesterone은 여포성숙기의 여포액내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testosterone의 경우 황체기의 정상여포 및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estradiol은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정상여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여포액내 존재하는 단백질의 SDS-PAGE 결과, 혈청에 존재하지 않는 4종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난소주기에 따라 112K, 141K의 단백질이 확인되었고, 폐쇄여포액내 특이하게 존재하는 23K, 24K의 단백질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난소주기에 따라 여포액재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단백질의 조성이 서로 같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포의 폐쇄기작에 있어서도 난소주기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폐쇄여포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생리적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To study the follicular atretic mechanism in mammalian ovary, the medium-sized (3.0-6.0mm) follicles of porcine ovary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as nonnal and atretic.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follicular fluid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the proteins in that fluid were electrophoretically separated.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in the atretic follicular fluid of follicular pha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ones (p < 0.05). Concentrations of testosterone were high in normal luteal and atretic follicular-phases follicles.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remained significanily lower in atretic follicular-phases follicles than normal. After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f follicular fluid proteins, four kinds of proteins (20K, 32K, 33K, 38K) were detected, and those proteins were not present in sera. According to the ovarian cycle, proteins of MW of 112K and 141K were identified. In atretic follicular fludies, MW of 23K and 24K were specifically detected.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as ovarian cycle changes, steroid contents and protein composition in atretic follicular fluid are different from the normal developing follicular fluid. To further understand the physiologic roles of the proteins present in the atretic follicular fluids, these proteins need to be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Ultrasensitive Enzymeimmunoassay for Testosterone in Human Saliva
윤용달,전은현,이창주,도병록,이준영 한국발생생물학회 2000 발생과 생식 Vol.4 No.1
남성 및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감도 효소면역측정법 (ultrasensitive enzymeim-munoassay; EIA)을 정립하고, 이 EIA를 이용하여 한국인 정상 여성 및 남성의 타액에서 testosterone의 정상농도를 얻고자 하였다.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 18명에서 아침 6~9시 사이에 타액을 채취하였고, 남성의 타액도 오전 (9~10시)중에 채취하였다. EIA의 표지물질로는 horseradi A few enzymeimmunoassay (EfA) for testosterone (T) have been reported but was not suitable for all biological sampl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rapid, ultrasensitive EIA and to apply this technique for study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 in biological samples.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at 06:00~09:00 hour during one menstrual cycle from 18 normally menstruating women and on 09:00~10:00 hour from 20 normal men. The present study shows an established EIA for testosterone, using horseradish peroxidase (HRP), which was covalently bonded to testosterone-3-carboxymethyloxime (T-3-CMO). One batch of T-antisera was also covalently linked to microcrystalline cellulose particles by a mixed anhydride method in order to facilitate separation of bound and free steroids. The established EIA was validated in terms of sensitivity, accuracy, specificity, precisions etc., comparing with conventional radioimmunoassay. The sensitivity of the established EIA was less than 25 pg/tub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xpected T-values and observed T-values measured by EIA or RIA were r=0.985 and r=0.941 respectively. The cross reactivity of antiserum in EIA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RIA, especially by 5 -DHT. The intra- and inter-assay precisions of the present EIA were similar to those of RIA. The present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normal T-values in saliva of Korean male & female samples are 265.6515.80 pmol/l and 109.74 12.01 pmol/l, respectively. The present EIA seems to be established and suitable for use in the endocrinological studies. The advantages of this EIA system also might make the present T-EIA an ideal procedure for use in a routine assay of ordinary laboratory with a conventional spectrophotometer.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0MEN (III);CHANGE OF STEROID GLUCURONIDES
윤용달,Yoon, Yong-Dal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8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2 No.1
월경주기 중 황체기가 짧은 여성 즉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SLP) 의 특성을 조사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재료는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12명의 여성에서 26주기와 8명의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에서 17주기를 선택하였다. 기상후 첫 오줌에서 steroid glucuronides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SLP 의 estrone -3 -glucuronide ($E_1G)의 농도는 초기 여포기와 황체기 동안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또한 SLP 의 전 월경기 중 pregnanediol-$3{\alpha}$-glucuronide($P_2G$)의 농도 역시 유의성있게 낮았다. 그러나 $E_1G/P_2G$의 비율은 여포기가 황체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고, SLP 여성의 비율이 정상인 보다 각 월경주기 중 유의성있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E_1G$, $P_2G$및 $E_1G/P_2G$의 농도차로 황체기 단축현상을 가진 여성을 진단 하고 또 치료시 난소의 기능조절에 이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The Effects of Endocrine Disrupters o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Wild Animals
윤용달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 발생과 생식 Vol.2 No.2
지난 반세기 동안내분비 장애물질의 제한없는 생산과 무분별한 소비, 방출, 폐기는 물, 흙, 공기 등 자연을 오염시켜 왔다. 그 결과 생태계의 야생동물이 오염되어, 생식과 발생의 이상이 일어나고, 멸종이 예견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동물 자신은 물론, 후세대에 내분비계의 교란을 일으켜 정상적인 성생활, 발생과 생식의 기형, 정자수 감소 등의 불임유발, 성행동, 신경계와 면역계의 이상, 암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암이 개체의 사멸을 일으키는 반면 Recently public concerns about the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 have resulted in the increased legistrative and regulatory attentions in many countries. Endocrine disrupter is an exogeneous chemical interfering the synthesis, transport binding, action or elimination of natural hormones in the body,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maintenance of homeostasis, reproduction, development and/or behavior. Reported possible harmful effects on human and animal lives, possible developmental anomalities, reproductive malfunctions and behaviors, and the ways of EDC accumulation in animal kingdom are reviewed. The current scientific papers and knowledges on the global contamination of EDCs demonstrates the conclusive data that EDCs have the potentials to cause the calamitous extermination of human and animal species by the global contamination.
Adrenal and Testicular Androgens in Serum of Men after Physical Endurance Training
윤용달,이창주,이준영 한국발생생물학회 2001 발생과 생식 Vol.5 No.1
최근 격심한 운동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 (HPG)축의 교란을 일으켜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능에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격심한 운동을 하는 여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소월경, 무배란, 황체기 단축, 성성숙 지연등에 따른 생식호르몬의 변화가 유발된다. 남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도한 운동, 정신적 장애와 긴장, 군 훈련 등 격심한 운동으로 생식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증상은 미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otal and bioavailable androgens reduced in male and female athletes and that physical exercise reduces the body weight and increases the reproductive abnormalities such as oligomenorrhea, anovulation, inadequate luteal phase, and delayed puberty in women by the inhibi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HPG) axis . In addition, high mileage endurance 겨nning, psychological stress, and military endurance training in men also reduce the secretion of reproductive hormones. To investigate the efffcts of physical endurance exercise on the secretion of reproductive hormones in men, androgenic hormones from adrenal glands and testis were measured in serum by the conventional radioimmunoassays after long-term (more than3 months), short-term (1 week), and acute (12 hours) physical exercises. Androgenic hormones from adrenal glands and testis such as total testosterone (TT), free testosterone (fT),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androstenedione (A) decreased after thesestrenuous endurance trainings, whereas ACTH,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fetes (DHEAS) increased. Conadotropins (LH and FSH) were not idluenced by the physical exercises. Based upon the present results, we assume that the decrease in adrenal and testicular androgens by physical endurance exercis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reproductive abnormalities in athletes by unknown factor(s) in addition to the HPG axis disturbance.
Dihydrotestosterone과 Testosterone의 섬광면역 측정법과 응용( I );측정법의 정립
윤용달,김성례,Yoon, Yong-Dal,Kim, Sung-Rye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8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4 No.2
5${\alpha}$-dihydrotestosterone(DHT)과 testosterone(T)은 남성 생식기관의 주 생성 호르몬들로 그 구조가 매우 비슷하여 이들 각 개를 특이하게 측정(specific determination)하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하여 이들을 분리한 후 섬광면역측 정법(Luminescence immunoassay, LIA)으로 정량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이들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져 하였다. DHT와 T의 retention time은 각각 10.3min, 17.6min이었다. DHT-LIA와 T-LIA에 서 다른 스테로이드들과의 교차반응도는 방사면역측정법(RIA)과 대동소이하였다. 정도관리(quality control) 시료의 intra-assay variation은 DHT-LIA가 8.7%, T-LIA가 6.0%의 변이계수를 나타내었고, inter-assay variation의 변이계수는 각각 12.0% 및 15.3%이었다. 실측치(y)와 기대치(x)간의 관계를 보면, DHT-LIA경우는 Y=0.94X+0.9(r=0.989), T-LIA는 Y=1.01X+0.06(r =0.988)로 두 측정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측정방법을 이용하여 DHT-enanthate와 T-enanthate 처리후 혈청내 DHT 및 T의 농도변화를 조사한 실험결과 LIA와 RIA의 값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본 실험에서 개발된 DHT와 T의 섬광면역측정법은 정립되었다고 사려된다.